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1(1); 2025 > Article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이 교육효과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ing factors, educational effect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s in cosmetology major classes that applied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s, and to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 of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s on cosmetolog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teaching factors of flipped learning method, the higher the video learning, the role of the instructor, the learning efficiency, and the higher the self-direction, the higher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transfer.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it has been proven that one of the four teaching factors of flipped learning, namely video learning, instructor role, learning efficiency, and self-direction, cannot be neglected. In addition, among the teaching factors of flipped learning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direction, learning efficiency, and video learning,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proving that the flipped learning teaching factor induces self-directed learning improvement and improves problem-solving abi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arning transfer, the higher the learning satisfaction,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so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transfer is also a factor that increases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o learning satisfaction.

I. 서 론

현재의 교육은 기존 지식 전달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교육, 즉 학습자 중심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학습자 중심 교육의 적절한 수행은 학생들의 학습동기 및 학습 참여를 이끌어내고, 교육 내용에 대한 성찰과 이해 및 긍정적 태도를 함양하게 한다(Shin, 2014). 학습자 중심교육은 문제해결 과정이 강조되어 교수자가 학습자로 하여금 전공역량 이외에도 의사소통역량, 문제해결역량 등을 함양 및 증진할 수 있는 수업설계, 학습경험 지원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Kim, 2024). 이 중 문제해결형을 대표하는 교수법은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액션러닝(Action Learning), PBL(Problem-Based Learning), 이 있는데 이들 교수법의 특징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향상, 의사소통능력 및 문제해결력 신장을 유도하고자 하는 교과목에 적용된다는 점이다. 특히 플립러닝은 코로나 19로 인해 불가피하게 온라인 수업, 또는 혼합 수업을 할 수 밖에 없는 시기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으며, 사전학습과 수업 시간의 학습을 결합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학습 방식으로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이루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 Kim, 2024).
플립러닝은 ‘거꾸로’, ‘뒤집다’의 뜻을 가진 Fliped와 ‘학습’의 뜻을 가진 Learning이 합쳐진 합성어(Park, 2018)로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의 학습 방식을 뒤집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기존의 강의실 수업 방식과 달리 수업 전에 디지털 영상의 선행학습 자료를 기반으로 학습 내용을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수업 시간에는 선행학습 내용을 토대로 토론, 실습, 실험 등을 통해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심화된 학습을 진행하는 학습 모델이다, 주목해야 할 점은 학년과 교과목에 구분 없이 적용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기존의 학습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통한 학습 탐구 및 문제해결 능력 증진, 수업 집중력 및 참여도 향상, 학습자의 흥미와 성취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 실기 중심의 교과목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플립러닝의 교수법의 효과성이 검증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미용분야에서의 연구는 플립러닝 기반 헤어수업 참여자의 학습만족도 연구(Kim, 2017)를 필두로 하여 미용전공 학생들의 플립러닝 학업태도와 학업성취도 및 지속참여도에 대한 연구(Suh et al., 2021), 네일미용 수업의 플립러닝 적용사례연구(Seol, 2022), 남성 헤어 교육에 따른 플립러닝 활용 교육과정 개발 연구(Kim & Kim, 2023), 플립러닝이 미용전공 여대생의 학습참여 동기, 학습만족,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In & Kim, 2024)등 다른 분야에서의 연구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미용전공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수업요인과 교육효과, 학업성취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플립러닝 교수법이 미용교육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II. 이론적 배경

1.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

플립러닝 교수법은 대면수업에 임하기 전에 먼저 온라인으로 선행학습을 실시한 다음 실제 대면 수업시간에는 보다 심도 있는 내용의 교육을 진행하게 되는 방식이므로 역진행((逆進行) 수업, 거꾸로 학습이라 한다(Park, 2018). 따라서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은 선행학습 시 접하게 되는 온라인 동영상, 온라인 동영상을 제작하고 대면 수업에서 질의와 응답 및 토론을 진행하는 교수자 역할,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학습을 계획하고 책임지고 행동하는 자기주도성, 효과적으로 학습의 효율을 높여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학습효율성으로 구분된다.

2. 교육효과

교육효과는 교육효율과 구분되는 개념으로(Kim, 2023), 학습자의 능력향상, 행동의 변화에 초점을 둔다(Kim, 2023). 교육효과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다양하여 교육을 통한 지식, 기술, 태도를 효과적으로 업무상황에 적응하는 것(Tracey et al., 1995)을 교육효과성으로 보기도 하고, 학습, 전이, 조직성과(Holton et al., 2000; Kim, 2023)로 교육효과성을 구분하기도 하며, 교육의 효과를 학습효과와 전이효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도 한다(Song, 2019).

3. 학업성취

학업성취는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가 얼마만큼의 성과를 거두었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며 학습활동의 효과 및 효율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Kim, 2024). 또한 학업성취의 개념을 단순히 학습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거나 기억하는 것 뿐 아니라 학습에 대한 동기, 흥미, 태도, 가치 및 학습의 성과인 성적과 그에 따른 행동 변화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Lim, 2020).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객관적 학업성취의 척도를 중간 및 기말고사 성적으로 사용하고 있다(Kim, 2024).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 미용 관련학과 재학생 중 플립러닝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4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조사는 답변에 문제가 있을 시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으므로 성실한 답변자 145명이 조사대상자로 채택되었다.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은 미용전공학생의 대다수가 여성이기 때문이고, 4학년을 대상으로 한 것은 다양한 교수법을 경험하였을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본 연구에 알맞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플립러닝 수업요인은 Jung & Kim(2019), Kim(2023)의 연구를 참고로 16문항으로 구성하였고, 교육효과성은 Kim(2023), Park(2018)의 연구를 참고로 8문항을 구성하였다. 학업성취도는 강의계획서에 따른 개념 및 이해와 적용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주·객관식 문항을 제작하여 시험을 보도록 하고 성적이 따라 학업성취도를 평가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연구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본 연구자가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회수된 자료에 사용된 구체적인 실증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p<.05 하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과 교육효과, 학업성취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 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이 교육효과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전공은 메이크업/네일 76명(52.4%), 헤어 40명(27.6%), 피부 29명(20.0%) 순으로 나타났고, 플립러닝 교과목 수강 수는 1-2개 교과목 50명(34.5%), 3-4개 교과목 59명(40.7%), 5-6개 교과목 32명(22.1%), 7개 교과목 이상 4명(2.8%)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수업요인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수업요인에 대한 총 16문항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3에서와 같이 고유치 1이상인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이들 요인의 전체 변량은 88.317%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으로 요인 1(22.245%)은 ‘동영상 학습’, 요인 2(22.170%)는 ‘자기주도’, 요인 3(22.084%)은 ‘교수자 역할’, 요인 4(21.818%)는 ‘학습효율’로 명명하였다. 또한 4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교육효과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교육효과에 대한 총 16문항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4에서와 같이 고유치 1 이상인 2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이들 요인의 전체 변량은 90.526%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으로 요인 1(45.806%)은 ‘학습만족’, 요인 2(44.720%)는 ‘학습전이’로 명명하였다. 또한 2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상관관계 검증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 결과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 중 동영상 학습, 교수자 역할, 자기주도, 학습효율은 교육효과의 하위요인별 학습만족, 학습전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학업성취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교육효과의 하위요인별 학습만족, 학습전이는 학업성취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는 강의내용, 상호작용, 학습편리성, 자기주도성이 학습만족, 학습전이와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에 있다는 Kim(2023)의 연구와 관련 깊다.

4.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1)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이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이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설명력(R2)은 52.4%로 나타났고, F값은 38.580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동영상 학습(β=.239, p<.01), 교수자 역할(β=.209, p<.05), 학습효율(β=.202, p<.05), 자기주도(β=.192, p<.05)가 학습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 중 동영상 학습, 교수자 역할, 학습효율, 자기주도가 높을수록 학습만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 중 어느 한 가지라도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며, Sin & Kim(2016), Kim(2024)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2)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설명력(R2)은 67.9%로 나타났고, F값은 73.929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교수자 역할(β=.360, p<.001), 동영상 학습(β=.256, p<.001), 학습효율(β=.179, p<.05), 자기주도(β=.157, p<.05)가 학습전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 중 교수자 역할, 동영상 학습, 학습효율, 자기주도가 높을수록 학습전이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역시 학습만족과 마찬가지로 플립러닝 교수법 수업요인의 중요성이 검증되는 것으로 Macaskill & Denovan(2013), Kim(2023)의 연구와 일치한다.

5.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설명력(R2)은 38.9%로 나타났고, F값은 22.270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자기주도(β=.263, p<.05), 학습효율(β=.204, p<.05), 동영상 학습(β=.190, p<.05)가 학업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 중 자기주도, 학습효율, 동영상 학습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학습의욕, 학습태도, 자신감이 높아질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아진다는 Suh et al.(2021)의 연구와 관련 깊다.

6. 교육효과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효과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설명력(R2)은 34.8%로 나타났고, F값은 37.914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는 학습전이(β=.422, p<.001), 학습만족(β=.217, p<.05)이 학업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교육효과 중 학습전이, 학습만족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학습만족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다는 In & Kim(2024)의 연구와 일치하며, 학습전이가 높을수록 학업성취가 높다는 Kim(2023)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V. 결 론

본 연구는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미용전공수업에서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과 교육효과, 학업성취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진행된 연구로서 플립러닝 교수법이 미용교육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 중 동영상 학습, 교수자 역할, 학습효율, 자기주도가 높을수록 학습만족과 학습전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 중 자기주도, 학습효율, 동영상 학습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플립러닝의 수업요인이 자기주도적 학습향상을 유도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플립러닝 교수법이 운영방법과 특징, 전략과 지침대로 운영된다면 미용전공 수업에 적합하다는 것을 검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교육효과 중 학습전이, 학습만족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만족과 더불어 학습전이 또한 학업성취를 높이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플립러닝 교수법이 학습에 기여하는 바는 전통적인 교육의 학습 방식을 뒤집었다는데 의미가 있고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학습방식이라는데 있다. 또한 교수자가 수업 설계를 얼마나 철저하게 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달려있기도 하며 학습자가 사전학습에서 습득한 지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학습에 대해 책임을 갖게 되며,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개별화 접촉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직접적인 강의와 학습자, 주도적인 참여자가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또한 수업 결손이 일어난 학습자들에게도 학습이 제공되며 모든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에 참여하게 되고 모든 학습자들이 개별화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학습 내용이 지속적인 재검토 또는 다시 적용되기 위해 축적되며,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에 참여하게 되며 모든 학습자들이 개별화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미용분야는 궁극적으로 인체에 직접 시술을 해야 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들여 훈련을 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적절한 교수법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 교수법의 수업요인 중 환경적 요인을 배제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교육효과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여겨지는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여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야야 할 것이다.

Table 1.
Composition of Survey Questions
Division Number of Questions Prior research Measure
Flipped Learning Lesson Factors 16 Jung & Kim (2019), Kim (2023) 5Likert
Educational Effectiveness 8 Kim (2023), Park (2018)
Academic achievement 1 Researcher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2 Researcher development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 (%)
Major Skin care 29 20.0
Hair 40 27.6
Makeup & Nail Art 76 52.4
Flipped Learning Course Attendance 1-2 Courses 50 34.5
3-4 Courses 59 40.6
5-6 Courses 32 22.1
7 or more courses 4 2.8
Total 145 100.0
Table 3.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Lesson Factors
Question Factor
E-Learning Self-directed Instructor roles Learning Efficiency
2. The topics of e-learning are structur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lessons. .873 .227 .215 .231
3. The amount of e-learning was moderate. .849 .175 .205 .332
4. The e-learning viewing time was appropriate for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content. .805 .234 .383 .164
1. The difficulty of e-learning was appropriate for me. .788 .329 .299 .231
11. I learned in advance through e-learning and was interested in the class faithfully. .271 .832 .298 .257
9. I pre-learned through e-learning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class. .227 .825 .171 .353
10. I can do well in any situation, whether online or in the classroom. .242 .810 .279 .337
12. I set learning goals before class and tried to achieve good results. .253 .801 .352 .269
8. The professor was enthusiastic enough to guide the students. .251 .239 .873 .246
7. The professor has structured the lecture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233 .275 .798 .227
5. The professor has faithfully prepared e-learning and face-to-face lectures. .305 .314 .792 .256
6. The professor's teaching technique was appropriate. .321 .219 .772 .337
15. The time spent learning through e-learning was beneficial. .207 .298 .255 .843
14. E-learning made it easy for me to understand the objectives of the lessons. .267 .341 .223 .829
13. I was able to prepare for what I was going to learn through e-learning. .285 .305 .266 .792
16. Through flipped learning classes, I have improved my major ability in this subject. .223 .234 .288 .745
Eigenvalue 3.559 3.547 3.534 3.491
Variance explanation (%) 22.245 22.170 22.084 21.818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 22.245 44.415 66.499 88.317
Reliability .954 .962 .951 .945
KMO=.909, Bartlett's test χ²=3011.337 (df=120, p=.000)
Table 4.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Question Factor
Learning Satisfaction Transfer of Learning
3. This class gave me confidence.. .898 .341
4. I think this class was worth the time and effort.. .897 .336
1. I'm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lasses I've received. .894 .329
2. I want to recommend my classes to others. .881 .356
8. I am able to pass on what I have learned in class to others. .293 .920
6. I have improved my job performance thanks to what I have learned in class. .339 .898
7. I believe that what I have learned in class helps me solve problems that arise in my real job. .333 .883
5. I tried to apply what I learned in class to my actual job.. .409 .825
Eigenvalue 3.664 3.578
Variance explanation (%) 45.806 44.720
Cumulative variance explained (%) 45.806 90.526
Reliability .968 .961
KMO=.876, Bartlett's test χ²=1549.570 (df=28, p=.000)
Table 5.
Correlation Validation
Division Teaching Factors of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s
Educational Effect
Academic Achievement
E- Learning Instructor roles Self-directed Learning Efficiency Learning Satisfaction Transfer of Learning
E-Learning 1
Instructor roles .662*** 1
Self-directed .621*** .663*** 1
Learning Efficiency .619*** .654*** .701*** 1
Learning Satisfaction .622*** .627*** .621*** .621*** 1
Transfer of Learning .702*** .750*** .680*** .683*** .670*** 1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494*** .565*** .546*** .500*** .568*** 1

*** p<.001

Table 6.
The Effect of Flipped Teaching Factors on Learning Satisfaction
Division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Commonlineity statistic
B S.E β Tolerance Limit VIF
(constant) .247 .303 .815 .416
E- Learning .261 .092 .239 2.844** .005 .481 2.081
Instructor roles .217 .092 .209 2.351* .020 .430 2.325
Self-directed .194 .091 .192 2.130* .035 .417 2.396
Learning Efficiency .231 .102 .202 2.257* .026 .425 2.354
R²=.524, Adj.R²=.511, F=38.580***, p=.000

* p<.05,

** p<.01,

*** p<.001

Table 7.
The Effect of Flipped Teaching Factors on Learning Transfer
Division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Commonlineity statistic
B S.E β Tolerance Limit VIF
(constant) .404 .231 .556 .579
E- Learning .260 .070 .256 3.705*** .000 .481 2.081
Instructor roles .347 .070 .360 4.925*** .000 .430 2.325
Self-directed .148 .069 .157 2.124* .035 .417 2.396
Learning Efficiency .190 .078 .179 2.429* .016 .425 2.354
R²=.679, Adj.R²=.670, F=73.929***, p=.000

* p<.05,

*** p<.001

Table 8.
The Impact of Flipped Teaching on Academic Achievement
Division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Commonlineity statistic
B S.E β Tolerance Limit VIF
(constant) .404 .316 1.278 .203
E- Learning .191 .096 .190 1.999* .048 .481 2.081
Instructor roles .057 .096 .060 .592 .555 .430 2.325
Self-directed .244 .095 .263 2.575* .011 .417 2.396
Learning Efficiency .215 .107 .204 2.017* .046 .425 2.354
R²=.389, Adj.R²=.371, F=22.270***, p=.000

* p<.05,

*** p<.001

Table 9.
The Effect of Educational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Division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Commonlineity statistic
B S.E β Tolerance Limit VIF
(constant) .833 .285 2.919 .004
Learning Satisfaction .200 .084 .217 2.376* .019 .551 1.816
Transfer of Learning .418 .090 .422 4.624*** .000 .551 1.816
R²=.348, Adj.R²=.339, F=37.914***, p=.000

* p<.05,

*** p<.001

References

Holton, E. F. Ⅲ., Bates, R. A., & Ruona, W. E. A. (2000). Development of a generalized learning transfer system inventory.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1(4), 333-360.
crossref
In, O. N., & Kim, S. H. (2024).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the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30(2), 270-278.
crossref pdf
Jung, M. E., & Kim, N. H. (2019).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lipped Learning Factors, Attitude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Flipped Learning. Journal of the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63(4), 197-224. http://dx.doi.org/10.17754/MESK.63.4.197.
crossref
Kim, E. G., & Jeun, H. J. (2019). Impact of Study Motivation of Flip Learning on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Classes Related to Aesth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42-59. https://doi.org/10.52660/JKSC.2024.30.2.270.
Kim, E. H. (2023). Correlations between Team-Teaching Factor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Convergence Education: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3), 643-355. http://dx.doi.org/10.52660/JKSC.2023.29.3.647.
crossref pdf
Kim, S. H. (2023). The Effect of Habruta Teaching Method on Communication and Self-directed Ability of Beauty Major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4), 1016-1025. http://dx.doi.org/10.52660/JKSC.2023.29.4.1016.
crossref pdf
Kim, S. H. (2024). Analysis of the Achievement of the Major Competency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Focusing on Grades and Maj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30(3), 450-460. https://doi.org/10.52660/JKSC.2024.30.3.450.
crossref pdf
Kim, Y. S. (2023). Effect of Flip Learning-based Community Nursing Education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related self-direction,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3(4), 311-324.
crossref
Kim, Y. S. (2024). Effect of Health Education Classes Applying Flipped Learning.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4(2), 173-187. https://doi.org/10.22251/jlcci.2024.24.2.173.
crossref
Lim, J. H. (2020).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eam Teaching Methods for Facilitating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Innovation Research, 30(3), 23-51.
Macaskill, A., & Denovan, A. (2013). Developing autonomous learning in first year university students using perspectives from positive psychology.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8(1), 124-14.
crossref
Park, E. S. (2018). Korea Chinese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27:187-216. doi: 10.24285/CLER.2018.6.27.187.
Seol, H. J. (2022).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lass model for nail beauty educ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30(3), 444-454. doi: 10.29049/rjcc.2022.30.3.444.
crossref
Shin, S. Y., & Kim, J. S. (2016).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affecting perceived class, perceived class learning outcomes, and education satisfaction. Learner-centered Subject Education Society, 16(11), 383-402.
crossref
Song, S. I. (2019).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Education for Naval First Officers -Focusing on Comparison by Type of Commission-,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06-110.
Suh, Y. J., Nam, H. J., & Park, E. J. (2021).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cademic Attitude on the Academic Achivement and Continuo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2(2), 225-236. doi: 10.18693/jksba.2021.22.2.225.
crossref
Tracey, J. B., Tannenbaum, S. I., & Kavanaugh, M. J. (1995). Applying Trained Skills on the Job: The Importance of the Work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2), 239-252.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