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의 외모인식도가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선호도, 서비스 의향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Men’s Appearance Perception on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Service Preferenc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adult men’s appearance perception on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service prefer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also examines how the sub-factors of appearance perception, including ‘appearance social orientati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appearance interest’, influence service experience and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28 adult men aged 20 to 59.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mi-permanent makeup service experience across age groups. As appearance perception increased, service prefer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increased. Additionally, as appearance perception grew,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lso rose. Among the sub-factors of appearance percepti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followed by ‘appearance social orientation’ and ‘appearance interest’. The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reflecting age group characteristics is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perception and develop various campaigns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benefits of semi-permanent makeup. Third, customized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e sub-factors of appearance perception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n’s appearance perception and semi-permanent makeup service, providing a foundation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t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 서 론
현대 사회는 외모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면서, 외모지상주의라는 용어가 일상화 되었다. 신체적 매력은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Jeong, 2011). 외모관리는 사회생활 속에서 자신을 알리는 방법이며, 이를 통해 자신감과 사회적 혜택을 얻는다(Kang, 2017).
남성들은 건강하고 매력적인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뷰티 관리 방법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행동은 자기 이미지와 자신감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심리적 안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Lee, 2016). 여성을 중심으로 성장해 온 뷰티 시장에서,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제품과 다양한 서비스들이 늘어나면서 남성들이 새로운 뷰티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Oh, 2023).
남성의 눈썹은 대인관계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남성들이 눈썹 관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눈썹 화장이나 눈썹 반영구 화장, 눈썹 이식술 등을 통해 눈썹을 보완하려 노력하고 있다(Kim, 2016). 얼굴 이미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눈썹은 인상을 선명하게 만들어주고 신뢰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사회활동이 활발한 남성들에게는 중요한 표현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Kim, 2023).
반영구 화장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외모인식과 반영구화장 시술 선호도가 만족도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Ji, 2022), 20-30대 남성의 외모관심도와 반영구화장 인식 관계(Song & Kim, 2022), 남성반영구 자연 눈썹 시술에 따른 외모인식 및 자아효능감 연구(Han, 2020), 눈썹 반영구화장 이용 관련 요인 및 만족도(Kim, 2023), 반영구화장 시술에 대한 경험 인식 및 만족도 연구(Kim, 2016), 퍼머넌트메이크업 시술동기가 경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An, 2023) 등이 있다. 이들 연구는 뷰티 시장에서 눈썹 반영구 화장의 중요성을 부각시켰으나, 남성 뷰티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사회적 인식 변화를 고려할 때 남성의 외모 관리, 특히 눈썹 반영구 화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학문적, 실용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는 남성 뷰티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기반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남성의 외모인식도가 눈썹 반영구화장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대별로 눈썹 반영구 서비스 경험과 서비스 의향의 차이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이해하고, 그 경향성을 바탕으로 연령대별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제안한다. 둘째, 외모인식도가 반영구 화장 선호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이를 통해 외모인식도의 하위 요인이 남성의 반영구 화장 선호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고, 남성의 미용 행동과 심리적 요인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셋째, 파악한 외모인식도의 요인에 따라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을 로지스틱 회귀 분석함으로써 각 요인의 영향의 정도와 방향을 규명한다. 이를 통해 외모인식도가 서비스 의향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력을 이해하고 이 결과를 기반으로 남성의 외모 관리에 대한 실질적인 개입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성인 남성의 외모인식도가 눈썹 반영구 서비스 및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남성 뷰티 산업에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 남성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뷰티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I. 이론적 배경
1. 외모인식도
외모인식은 자신과 타인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구분하고 내면적으로 판단하며, 외모에 대한 이상형과 사회적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Hong, 2018). 외모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은 개인의 미용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외모를 중시하는 사람일수록 메이크업이나 화장품 구매와 같은 뷰티 행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외모자신감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최신 유행을 따르거나 브랜드 중심의 제품을 선택하는 등 보다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미용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Kim & Lee, 2023). 이러한 특징은 외모인식도가 단순한 심리적 요소를 넘어 개인의 실질적인 행동 양식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남성의 미의식은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미의식의 미적 가치관과 사회적 가치관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미의식의 미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헤어 및 패션 관리와 다이어트 관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사회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피부 관리와 체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다(Lee & Yoon, 2022). 남성의 외모인식도가 개인의 뷰티관리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현대 사회에서 외모는 자신을 표현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며, 사회가 지향하는 외모의 기준은 개인이 아름다운 외모를 위해 얼마나 관리하느냐에 따라 영향을 미친다. 본인이 인식하는 외모에 대한 만족감은 자존감을 높이고, 상대방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Kang & Kim, 2020). 외모인식도는 개인의 외모 관리 행동과 심리적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외모 관리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들은 외모 만족도가 높고, 이는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한다. 특히 외모 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행복감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외모인식도가 긍정적인 감정 형성과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Kim & Kwak, 2023). 본 연구에서는 남성의 외모인식도가 눈썹 반영구 화장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2. 반영구 화장
반영구 화장은 피부와 유사한 색을 착색하는 것으로 피부의 표피층에서 진피층 상부까지 침투시키는 시술법으로 개인의 개성이나 시대의 유행에 따라 자연스러운 시술이 가능하다. 시술 부위는 주로 두피, 헤어 라인, 눈썹, 아이라인, 미인점, 입술 등 얼굴 전체에 시행되고 있다(Jo & Kim, 2020). 남성의 눈썹은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인 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짙은 눈썹은 선명한 인상으로 상대방에게 높은 신뢰감을 주기 때문에 여성에 비해 사회활동이 많고 외모 표현이 적은 남성들에게 더욱 중요하다(Han, 2020). 남성의 눈썹 반영구 화장은 이미지 변화를 추구하거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며, 사회생활과 첫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술로 인식되고 있다. 시술 받은 남성들은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추후에도 시술을 받을 의향과 추천할 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23). 반영구 화장이 남성들의 외모 관리와 심리적 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반영구 화장은 남성들에게 외모를 개선하고 자신감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외모에 대한 관심과 관리 욕구가 높은 남성일수록 반영구 화장과 같은 시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개선하려는 경향이 있다. 특히, 반영구 화장은 자연스러운 외모를 유지하면서도 선명하고 정돈된 인상을 제공하여 대인관계나 사회적 활동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다(Song, 2021). 반영구 화장이 단순한 외모 관리 시술을 넘어, 남성들의 외모 관리 행동과 심리적 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3. 서비스(시술) 선호도
서비스 선호도는 고객들이 시술을 선정하고 평가하며 관리 후 느끼는 감정의 만족도와 선호도로 인해 재 시술 의도가 높아지고,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서비스 선호도를 검토하고 분석하는 목적은 고객에게 보다 나은 관리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 후 만족감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Lee, 2022). 서비스 선호도는 고객마다 격차가 있을 수 있으나, 피부타입, 고객의 얼굴형, 이미지, 사전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고객과 충분한 상담 후 진행하는 것이 관리 후 시술 선호도를 최대화 시킬 수 있다(Choi, 2023). 반영구 화장에서 서비스 선호도는 고객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테크닉 선호와 트렌드 선호가 높을수록 시술 설명, 테크닉, 서비스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한다(Hong, 2018). 서비스 선호도가 고객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 된다. 서비스 선호도는 개인이 특정 시술을 선택하고 평가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외모 관리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반영구 화장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시술의 편의성, 결과의 자연스러움, 유지 기간 등 실질적인 요인을 고려하며, 이러한 선호도는 관리 후 만족감과 재 시술 의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Ji, 2023). 이러한 경향은 서비스 선호도가 외모 관리 행동의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2025년 2월 현재, 비의료인의 문신 및 반영구 화장 시술을 허용하는 법안이 국회에 계류 중임을 고려하여, ‘반영구 화장 시술’ 대신 ‘반영구 화장 서비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4. 심리적 행복감
심리적 행복감은 인간관계를 통해 느끼는 개인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이 증진되는 것이라고 하며, 개인의 가치관과 욕구를 달성함에 따라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한다(Jeong & Jin, 2023). 심리적 행복감을 구성하는 요인에는 다양한 것들이 포함되는데 자신에 대한 이미지 평가, 외모, 신체적 활력 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Jeon & Jeong, 2022). 반영구 화장에서 심리적 행복감은 자신의 얼굴을 아름답게 관리하거나 관리 받아서 욕구가 만족되어, 부족함이나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안도하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Moon, 2023). 심리적 행복감은 개인이 외모 관리 행동과 외모 만족도를 통해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외모 관리에 적극적이며 관리 비용을 많이 투자하는 사람들은 외모 만족도가 높고, 이는 심리적 행복감의 증진으로 이어진다. 외모 관리 행동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자아실현의 감정을 강화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심리적 안정과 행복감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Park, 2023). 외모 관리와 외모 만족이 심리적 행복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심리적 행복감은 개인의 외모 만족감과 외모 관리 행동에서 비롯되며, 삶의 질과 정서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외모를 중시하고 외모 만족감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감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며, 대인관계와 삶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향상시킨다(Kim, 2015). 이는 심리적 행복감이 단순한 정서적 요소를 넘어 외모 관리와 외모 만족이라는 행동적 요인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20대-50대 성인 남성이다. 조사기간은 2024년 10월 7일부터 2024년 10월 13일까지 무기명으로 온라인 설문지 수집을 하였다. 표본 크기는 G*Power 3.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효과 크기(Cohen’s f²=.15), 유의 수준(α=.05), 검정력(Power=.80)을 기준으로 최소 표본 수를 계산하였다. 불성실 응답자 설문지를 제외한 328부(20대 81명, 30대 82명, 40대 83명, 50대 82명)를 SPSS 29.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2. 측정도구
본 연구의 설문도구는 선행연구(Kim, 2016; Kim, 2017; Kim, 2021; Kim, 2022; Ji, 2022; Han, 2020)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5문항, 외모인식도에 관한 14문항,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선호도에 관한 7문항, 심리적 행복감에 관한 10문항,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경험과 의향에 관한 2문항으로 총 38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경험과 서비스 의향은 명목척도로 구성하였고, 외모인식도,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선호도, 심리적 행복감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인 외모인식도의 하위 요인(외모성공지향, 외모관리행동, 외모관심도)과 종속변수인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1=‘있다’, 0=‘없다’)을 측정하기 위한 명목형 문항을 설문에 포함하였다. 이를 통해 외모인식도와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자료처리와 통계분석 방법 과정을 수행하였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과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경험과 서비스 의향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인 연령대별로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경험 여부와 서비스 의향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종속적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적용하였다.
셋째, 외모인식도,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선호도,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문항들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하였다.
넷째, 외모인식도,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선호도, 심리적 행복감의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외모인식도의 하위 요인(외모성공지향, 외모관리행동, 외모관심도)이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선호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검토하고 변수 간의 설명력을 평가하였다.
여섯째, 외모인식도의 하위 요인인 ‘외모성공지향’, ‘외모관리행동’, ‘외모관심도’가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종속변수가 두 가지 범주형 변수인 ‘있다, 1’과 ‘없다, 0’으로 나타날 때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통계적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1: 있다, 0: 없다)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외모인식도의 하위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분석은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령대는 ‘20대’ 81명(24.7%), ‘30대’ 82명(25.0%), ‘40대’ 83명(25.3%), ‘50대’ 82명(25.0%)이었고, 결혼 상태는 ‘미혼’ 174명(53.0%), ‘기혼’ 151명(46.0%), ‘기타’ 3명(0.9%)이었다. 최종 학력은 ‘고졸이하’ 46명(14.0%), ‘전문대 제/졸’ 40명(12.2%), ‘대학교 제/졸’ 199명(60.7%), ‘대학원 이상’ 43명(13.1%)이었고, 직업은 ‘사무직’ 155명(47.3%), ‘전문직’ 38명(11.6%), ‘자영업’ 33명(10.1%), ‘판매/서비스직’ 21명(6.4%), ‘학생’ 33명(10.1%), ‘기타’ 48명(14.6%)이었다. 월수입은 ‘200만원 이하’ 69명(21.0%),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72명(22.0%),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69명(21.0%),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51명(15.5%), ‘500만원 이상’ 67명(20.4%)이었다. 눈썹 반영구 화장 경험여부는 ‘예’ 57명(17.4%), ‘아니오’ 271명(82.6%), 서비스 의향은 ‘예’ 125명(38.1%), ‘아니오’ 203명(61.9%)이었다.
2. 연령대별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경험과 서비스 의향의 차이
조사대상자의 연령대에 따른 눈썹 반영구 화장의 서비스 경험과 서비스 의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종속적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2>, <Table 3>과 같다. 연령대에 따라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경험(p<.0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대에 따라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p>.05)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연령대별로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경험에는 차이가 있었고, 연령대 중 30대가 24.8%로 가장 높았고, 40대 21.7%, 20대 14.8%, 50대 12.3% 순이었다. Kim(2017)의 연구에서는 연령이 많을수록 반영구 화장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대별로 반영구 화장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연령대별 맞춤형 마케팅 전략과 서비스 제공이 반영구 화장 서비스의 수요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서비스 의향은 연령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높게 나타나, 다양한 연령층에서 높은 서비스 수요 잠재력이 있음을 반영한다. 즉, 특정 연령대에 국한되지 않고 전 연령대에서 반영구 화장 서비스에 대한 높은 수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뷰티 서비스 산업이 다양한 연령대의 남성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 주요변수들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외모인식도’의 요인분석과 신뢰도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본 연구에서는 항목 5번과, 13번 항목이 타당도를 저해하여 두 항목을 제외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KMO값이 .881, Bartlett 구형성 검정결과 χ2=1749.342(df=66, p=.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결과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첫번째 요인은 전체 분산의 23.59%를 설명하며 ‘외모성공지향 요인’이라 명명하였고, 두 번째 요인은 전체 분산의 21.72%를 설명하며 ‘외모관리행동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세 번째 요인은 전체 분산의 20.82%를 설명하며 ‘외모관심도 요인’이라 명명하였다. ‘서비스 선호도’, ‘심리적 행복감’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는 <Table 5>, <Table 6>과 같다. 서비스 선호도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분산의 66.07%를 설명하며 ‘서비스 선호도 요인’이라 명명하였다. 심리적 행복감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분산의 67.75%를 설명하며 ‘심리적 행복감 요인’이라 명명하였다.
4. 외모인식도가 서비스 선호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외모인식도가 서비스 선호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외모인식도가 서비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모관심도(β=.354, p<.001)가 서비스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외모관리행동(β=.297, p<.001), 외모성공지향(β=.266, p<.001)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모인식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선호도가 증가함을 시사하며 특히,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반영구 화장 서비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외모인식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모관리행동(β=.427, p<.001)이 심리적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외모관심도(β=.341, p<.001), 외모성공지향(β=.176, p<.001)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외모인식도가 높아질수록 심리적 행복감도 높아지며, 특히 외모관리행동이 높아질수록 심리적 행복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외모인식도가 높은 남성들은 서비스 선호도와 심리적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Ji(2022)의 연구에서 남성들의 외모성공지향과 외모관리행동이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이 증가한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Park(2018)의 연구에서 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 특히 피부관리, 의복관리, 헤어관리 행동이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이 향상된다는 결과와도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에 관계없이 외모인식도 및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하며, 외모관리 행동이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5. 외모인식도가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에 미치는 영향
외모인식도가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8>와 같다. 모형 적합도 평가를 위해 Hosmer와 Lemeshow 검정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모형은 로지스틱 회귀모델에 적합하였다(p>.05). 독립변수는 외모인식도에서 요인분석으로 추출한 ‘외모성공지향’, ‘외모관리행동’, ‘외모관심도’이었고 종속변수는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1. 있다, 0. 없다)이었다.
회귀분석 결과, 응답자의 ‘외모성공지향’ 요인이 1단위 증가할수록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를 시행할 의향이 1.602배 증가한다(p<.001, 95% CI: 1.230-2.085). ‘외모관리행동’ 요인이 1단위 증가할수록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이 1.976배 증가하고(p<.001, 95% CI: 1.512-2.582), ‘외모관심도’ 요인이 1단위 증가할수록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이 1.529배 증가한다(p<.001, 95% CI: 1.182-1.978).
Jeon & Park(2023)의 연구에서 반영구 화장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신체적 및 위생적 위험 인식을 줄여주고, 비경험자의 향후 경험 의향을 높이는 방법임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외모 인식도가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초점이나 방법이 다르지만, 두 연구 모두 반영구 화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향후 경험 의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본 연구 결과는 외모에 대한 높은 인식과 관심이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외모를 향상시키려는 노력은 개인의 자신감과 만족도를 높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심리적 안녕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본 연구는 성인 남성의 외모에 대한 인식이 실제로 행동 변화와 심리적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V. 결 론
본 연구는 성인 남성의 외모인식도가 눈썹 반영구 화장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대별 반영구 화장 서비스 경험과 서비스 의향에 관한 교차분석 결과, 반영구 화장 서비스 경험은 30대-40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 의향은 모든 연령대가 일관되게 높은 비율을 보였다. 둘째, 외모인식도가 반영구 화장 서비스 선호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외모인식도가 높을수록 반영구 화장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와 심리적 행복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외모인식도가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외모인식도가 증가할수록 서비스 의향이 증가 하였다. 외모인식도 요인 중에서 ‘외모관리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외모성공지향’, ‘외모관심도’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남성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시장에서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30대와 40대에서 서비스 경험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이 연령대에 집중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이시기는 사회적 활동이 활발하고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시기와 맞물린다. 이미 관리 경험이 있는 고객층은 브랜드나 서비스에 대한 경험이 있으며 만족한 경험을 바탕으로 재이용의 확률이 높다. 이들에 대한 마케팅은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 것보다 비용 투자에서 효율적일 수 있으며 이는 고객 충성도로도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해당 서비스의 이점을 직접 경험했기 때문에 비슷한 추가 서비스나 관련 제품의 구매에도 열린 태도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 자신의 긍정적인 경험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으며 이는 자연스러운 구전 마케팅을 유발할 수 있다. 30대, 40대는 자기 관리에 투자할 의향과 능력이 높은 연령대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령대는 뷰티 서비스에 대한 지출이 더 높을 가능성이 있으며, 높은 마케팅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서비스 의향이 전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난 만큼, 특정 연령대에 국한되지 않는 전반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SNS, 유튜브, 블로그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연령대별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젊은 세대에게는 트렌디하고 혁신적인 시술을 강조하고, 중년층에게는 서비스의 효과와 안전성을 강조하는 캠페인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모든 연령층에서 서비스 의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며 넓은 범위의 고객을 유치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외모인식도가 높을수록 반영구 화장 서비스 선호도가 증가하며 심리적 행복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외모인식도의 하위 요인 중 ‘외모관심도’는 반영구 화장 서비스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외모관리행동’은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외모관심도와 외모관리행동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외모관심도를 긍정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SNS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트렌디한 외모 스타일을 소개하고, 고객이 자신만의 개성을 찾도록 돕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외모 관리에서 눈썹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반영구 화장 서비스을 통해 편리함과 스타일 유지의 용이성을 부각하여 외모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외모관심도가 높아질수록 외모관리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캠페인은 외모 관리 행동을 강화하는 데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외모관리행동은 심리적 행복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피부 관리와 스타일링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실질적인 관리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영구 화장 서비스 후 관리 요령을 제공하는 영상이나 포스터 제작, 맞춤형 상담 서비스 등을 통해 고객이 외모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천적인 방안은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고, 외모 관리 활동을 생활화하여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략을 통해 반영구 화장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고, 고객이 외모 관리 활동을 꾸준히 지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재이용률 증가와 고객 만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외모인식도가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외모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서비스 의향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외모관리행동, 외모성공지향, 외모관심도 요인 순으로 서비스 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각 요인을 타겟으로 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외모관리행동 요인을 높이기 위해 반영구 서비스의 지속적인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고, 외모성공지향 요인을 높이기 위해서는 매장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프리미엄 서비스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모관심도 요인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신 뷰티 트렌드와 신기술을 소개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전략은 남성의 외모 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을 장려하고, 서비스 의향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섯째, 반영구 화장 서비스가 단순한 미용 시술이 아닌 장기적인 외모 관리 루틴의 일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고객이 일정 기간이 지나면 리터치 필요성을 알림받거나, 맞춤형 외모 관리 피드백을 제공하는 디지털 관리 서비스를 도입하면 고객 유지율을 높이고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연령대별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스타일링 컨설팅과 프리미엄 패키지 개발을 통해 차별화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 30대 고객층에는 최신 뷰티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 컨설팅을, 40, 50대 고객층에는 자연스러운 스타일 연출과 지속성 높은 시술을 강조하는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무료 체험 상담 및 전문가 1:1 맞춤 컨설팅을 제공하여 고객 신뢰도를 높이고, 시술 후 만족도를 기반으로 한 자연스러운 구전 마케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반영구 화장 서비스가 남성 소비자들의 장기적인 외모 관리 방식으로 자리 잡는 데 기여할 것이며, 지속적인 고객 유입과 시장 확장을 위한 실질적인 기반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미용 산업에서 외모 인식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외모 관리 행동과 서비스 의향이 상호 연결되어 뷰티 시장에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남성의 외모인식도가 눈썹 반영구 화장 서비스 의향과 서비스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남성 뷰티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이해하고 향후 남성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의 기준을 제공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에 따라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조사 대상이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온라인 매체에 익숙한 성인 남성으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일반 성인 남성을 대표하는 표본을 확보하는 데 제한이 있다. 특히, 온라인 조사 방식은 인터넷 접근성이 낮거나 디지털 기기 활용도가 낮은 응답자를 충분히 포함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와 함께 대면 조사나 전화 인터뷰를 병행하여 표본의 대표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전국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역별 문화적 차이 또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반영되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세분화된 분석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연령대별 심층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통찰을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