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1(1); 2025 > Article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이 직무 열의(職務 熱意)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and job enthusiasm of beauty service worker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beauty service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45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from July 1, 2024 to October 30, 202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competencies recognized by beauty service workers were identified: professionalism, self-management, communicati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ree factors were derived for job enthusiasm.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he core competencies of beauty service workers on job enthusiasm, the core competency factor that has the highest influence was professionalism, which showed a high correlation of increasing immersion and commitment vitality. Self-management competency showed an influence on immersion and vitality, communication competency showed an influence on immersion and commitm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n commit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ore competencies ar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bring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evelop the core competencies of beauticians according to the times and environment.

I. 서 론

뷰티 산업은 인적 서비스와 예술적 감각을 기초로 한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미용 기술뿐만 아니라 학문적 영역에서도 점차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은 영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Choi & Lee, 2015). 특히, 고객과의 접점에서 긴 시간을 고객과 상호작용을 하는 헤어디자이너는 기술력뿐만 아니라 고객 만족을 높이고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고품질의 핵심역량이 필요하다(Kim, 2022). 미용실은 경제성장으로 고객의 기대와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헤어디자이너의 핵심역량을 보다 전문적이고 다각화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개발하고 발전시켜 더 많은 고객 유치, 높은 성과 및 수익 창출에 각종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Kim, 2020). 최근에는 역량, 전문성, 핵심역량 등의 개념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에서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Jeong & Kim, 2021). 직무 열의를 가진 사람은 기쁨을 얻고 보상을 받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적극적인 행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 독창적인 업무 수행 등을 통하여 직무에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다(Lee, 2021). 자신의 직무에 열의를 가진 경우 조직 차원의 성과와 더불어 구성원의 성장 및 역량 발전 등 개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직무 열의는 내재적 동기부여의 핵심 요소로 조직의 문제에 대하여 변화의 필요성을 자각하여 주도적으로 변화 지향적 행동을 한다(Sim et al., 2019). 핵심역량과 직무 열의를 다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뷰티 산업 종사자의 핵심역량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긍정적 영향력을 확인(Lee et al., 2020)하였고,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의 연구에서는 미용 종사자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Moon, 2021). Park & Kim(2021)은 헤어 미용 전공 학생들의 미래 핵심역량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에듀테크 인식 및 온라인 학습 전이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Kim(2023)의 연구에서도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공감 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성을 제시하였다. 미용실의 경쟁 우위의 요소로 종사자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최우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적자원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을 개인적 특성, 의사소통, 자기관리, 지식정보처리, 전문성 등의 항목을 공통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직무 열의와의 관련성에 대한 구성요인은 몰입, 헌신, 활력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과 직무 열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핵심역량이 미용실의 경쟁 우위의 근원으로 미용실의 핵심 자원인 헤어디자이너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 미용실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며,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을 규명함으로써 조직의 성과적 측면인 직무 열의와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핵심역량의 개선점을 제시하여 미용 기업의 성과 창출에 기여점과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핵심역량

1) 핵심역량 정의

현대 사회에서의 서비스업은 전문적이고 분업화되어 제시된 작업에 대해 지식을 습득하고 기능을 전달하는 것이 핵심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Lee, 2017). Kim(2021)은 본인의 전문성 있는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구성원과의 협력적 소통과 자랑스러운 자부심으로 필요한 역량이라 정의하였다. 역량은 조직역량과 핵심역량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조직역량은 나의 서비스를 경쟁자와 구분해주는데, 고객으로서는 경쟁 우위 요소인 가치를 확립하는 기술, 시스템, 문화 요소들을 뜻하고 핵심역량은 고유하고 독자적이며 궁극적인 능력(Lee et al., 2020)으로 뛰어난 과제 수행과 주어진 상황을 해결하는 인적 자원에 축적된 기업의 차별성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지적 능력, 기술, 태도, 인성 등의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능력과는 달리 교육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Kim, 2023). Kim(2021)은 본인의 업무와 관련하여 직원들이 직무수행을 하기 위하여 각자가 가져야 할 사무나 고객과의 의사소통, 고객관리와 고객 응대라고 정의하였다.

2)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

핵심역량은 업무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가치관, 자질, 지식, 기술, 태도를 해낼 힘과 능력으로(Jeong & Kim, 2021) 특히, Kim(2017)은 미용실에서 헤어디자이너의 핵심역량은 경쟁사와 다른 차별 있는 지식이나 노하우를 보유하고 효율적인 전략을 세우며 독특한 유·무형의 핵심역량으로 효과적으로 실행하면 업무성과를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호텔종사원의 핵심역량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에서 개인 역량에는 외모와 태도, 직무역량에는 실무능력, 대인관계 역량의 상호소통, 고객관리 등 모든 핵심역량의 변수들이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Go, 2015)으로 나타나 내면의 서비스 마인드와 고객의 존중 배려 등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Jang(2022)은 핵심 직무 특성이 조직몰입 관계에서 개인 역량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 중요성, 피드백, 자율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중 개인 역량의 기술은 매개효과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Seong(2023)은 헤어디자이너의 핵심역량을 외적 특성과 의사소통으로 제시하고 미용실에서의 고객 경험이 만족과 신뢰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Jang(2021)은 핵심역량의 구성요소로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델파이 기법으로 적용하여 전문대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정보처리 능력, 대인관계 능력, 자기관리 능력을 도출하였다. Lee(2016)의 연구에서도 미래사회에서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IPA 분석을 통해 창의적 역량, 비판적 사고 역량, 문제해결 역량, 의사결정 역량, 의사소통 역량 등의 핵심역량을 연구하였다. 뷰티 산업 종사자의 핵심역량으로 개인적 특성, 상황대처, 대인관계, 전문성을 구분하여 직무만족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성을 확인하였다(Lee et al., 2020).

2. 직무 열의(職務 熱意)

직무 열의(職務 熱意)는 작업 역할을 수행할 때 신체적·인지적·정서적으로 자아를 활용하고 표현하는 것으로(Kahn, 1990) 직무성과에 연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통합적으로 집중할 때 나타나는 심리적 경험이라 정의하였다. 조직의 구성원이 높은 열의를 가질 때 신체적으로 몰입하며 각성하므로 신체와 인지 정서적 요소들이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개인이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신적 에너지뿐만 아니라 정서적, 인지적, 육체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Kim, 2018; Kahn, 1992). Schaufeli & Bakker(2004)는 직무 열의의 세 가지 구성개념으로 몰입, 활력, 헌신을 제시하며 이 모든 개념은 업무의 성공적인 성취를 위한 긍정적인 심리라고 정의하였다. 몰입은 과업 수행 시 시간을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업무에 완전히 몰입하여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활력은 과업을 수행하며 높은 상태의 정신적 및 육체적인 에너지 상태를 유지하고 자신의 직무에 온전하게 집중하여 어려운 상황을 마주해도 지속해서 업무를 주도해 나가는 개념이며 헌신은 직무를 수행하며 개인이 느끼는 깊은 관여도로 정서적인 열정과 자부심, 도전정신을 가지고 꾸준히 과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Yoon & Jeong, 2019). 특히, 최근 심리적 웰빙과 같은 긍정 심리학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며 긍정적인 감정 요인인 직무 열의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Kim & Shin, 2019). Park & Choi(2020)은 직무 열의는 업무를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개인의 긍정적이고 열정적인 정서적인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에 직무 활동에 책임감을 느끼는 사람은 직무 활동을 독창적으로 수행하며 조직에 대한 강한 소속감과 긍정적 피드백을 하고 조직에 몰두하며 헌신한다고 하였다. Konstantellou(2001)의 연구에서는 두 국가, 영국 및 그리스 회사 직원들 총 30명을 인터뷰한 결과 직무 열의가 높은 직원일수록 직업윤리 즉, 본질적 직업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기술하였다. Na & Hwang(2023)은 뷰티 교육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이 핵심역량과 직무 열의의 상승요인으로 제시하였고 종사자의 지적 능력과 체계적 지시 등의 요인이 부분적으로 영향성이 나타났으며, 뷰티 사업 종사자의 핵심역량의 개인적 특성, 대인관계, 상황대처 요인이 직무에 대한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성이 확인되었다(Lee et al., 2020). Kim & Kwon(2024)은 뷰티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인 문제해결 능력, 자기 주도성이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학업 성과를 높여주는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의 하위요인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2. 직무 열의의 하위요인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3.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기간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미용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조사 방법으로 온라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4년 7월 1일부터 2024년 10월 30일까지이며, 배포한 470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458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으로 여성은 307(67%)명, 남성은 151(33%)명, 연령은 20대 287(62.7%)명, 30대 116(25.3%)명, 40대 이상 55(12.0%)명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고졸 65(14.2%)명, 전문대학 재학/졸업 159(34.7%)명, 대학교 재학/졸업 125(27.3%)명, 대학원 진학 이상 109(23.8%)명, 수입은 200만원 미만 84(18.3%)명,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 162(35.4%)명,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107(23.4%)명,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 57(12.4%)명, 500만원 이상 48(10.5%)명으로 나타났다.

3. 측정도구

핵심역량은 Jang(2021), Lee(2024)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정보수집과 정보 활용과 관련된 지식정보처리 역량, 고객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위한 표현 능력인 의사소통, 자기 이해와 자기 확신과 관련된 자기관리, 미용 관련 지식과 관련된 전문성, 단정한 외모와 바른 자세의 개인적 특성 요인의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직무 열의는 Schaufeli et al.(2004)Na & Hwang(2023)의 연구를 참고하여 활력, 헌신, 몰입으로 구성하였으며,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4.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연구 문제 수행을 위해 SPSS 24.0 패키지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과 측정 도구의 타당성 확인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측정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도

1) 핵심역량의 타당성과 신뢰도

핵심역량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표본의 적절성 측정은 KMO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MO값이 0.823로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는 근사 카이제곱값이 2454.896로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사용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 요인이 기존변수의 정보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고유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며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 수를 5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1의 고유값이 2.607, 설명비가 20.052%로 나타나 의사소통 요인을, 요인 2는 고유값이 2.316, 설명비가 17.816%로 나타나 자기관리 요인을, 요인 3은 고유값이 1.803, 설명비가 13.869%로 나타나 지식정보 활용 요인을, 요인 4는 고유값이 1.778, 설명비가 11.680%로 개인적 특성 요인을, 요인 5는 1.128, 설명비가 9.909%로 전문성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다. 주요 변수의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s α값이 0.6이상으로 나타나 허용치 수준으로 내적 일관성이 확인되었다.

2) 직무 열의 타당성과 신뢰도

직무 열의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표본의 적절성 측정은 KMO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MO값이 0.894로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는 근사 카이제곱값이 2090.603로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사용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각 요인이 기존변수의 정보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고유값(Eigen-value)을 이용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며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 수를 3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1의 고유값이 2.740, 설명비가 30.442%로 나타나 몰입 요인을, 요인 2는 고유값이 1.905, 설명비가 21.165%로 나타나 활력 요인을, 요인 3은 고유값이 1.866, 설명비가 20.736%로 나타나 헌신 요인을 설명해 주고 있다. 신뢰도는 모든 요인에서 Cronbach’s α값이 0.7이상으로 나타나 내적 일관성이 확인되었다.

2. 핵심역량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1) 핵심역량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이 직무 열의의 하위요인인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분석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67.2%이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205.135, p<.001). 하위요인별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전문성 b=.872(p<.001), 자기관리 b=.166(p<.01), 의사소통 b=.100(p<.01)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ahn(1990)은 자신이 직장에서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과업 수행 시 업무에 참여시킬 수 있는 신체적, 정서적 또는 인지적 자원을 본인이 가지고 있다는 개인의 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열의가 증가함을 제시하였고, Jeong(2004)의 비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핵심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미용 산업의 인적자원 측면의 경쟁전략으로써 의사소통과 종사자들의 전문성과 의사소통 역량이 미용 서비스 산업의 경쟁전략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나 미용 서비스 종사자들의 핵심역량이 직무에 대한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자기관리 역량은 몰입에 영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경쟁기업보다 높은 수준의 우월한 능력으로 과업 수행 시 노력하고자 하는 의지와 집중력을 높여주는 핵심역량의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2) 핵심역량이 활력에 미치는 영향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이 직무 열의의 하위요인인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3.6%이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16.680, p<.001). 하위요인별 활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전문성 b=.192(p<.001), 자기관리 b=.178(p<.01)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2021)은 업무 수행을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임하면서 어떤 어려운 상황이라도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이나 업무 활동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수록 업무를 활력적으로 임한다고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직무에 대한 전문성과 자기관리 역량이 높을수록 업무에 대한 활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핵심역량이 헌신에 미치는 영향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이 직무 열의의 하위요인인 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5.6%이며, 모형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추정된 모형은 유의하였다(F=35.270, p<.001). 하위요인별 헌신에 미치는 영향력은 전문성 b=.440(p<.001), 의사소통 b=.224(p<.001), 개인적 특성 b=.191(p<.01)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 & Hwang(2023)은 뷰티 교육 현장에서 종사자들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 열의의 하위요인인 헌신에 긍정적 영향성을 제시하였고, Lee(2022)는 뷰티 산업 종사자의 핵심역량의 대인관계 및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전문성과 의사소통 역량은 자신의 직무에 대한 열정과 자부심을 높여주는 요소로 나타나, 미용 서비스 종사자들의 이직률과 퇴사율이 높은 가운데 전문성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을 확대한다면 직무에 대한 열정과 소속 산업체에 대한 자부심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고객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필수적이고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언어로 적절하게 표현하는 의사소통 역량은 헌신에 영향력이 나타났는데, 이는 자신의 일에 대한 의욕을 고취하고 관계 형성에 중심적인 역량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개인적 특성은 헌신에서 영향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개인적 특성이 어떠한 상황이나 업무에서 효과적인 목표 달성과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한 원천이 될 수 있음을 분석할 수 있었다.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 서비스 산업의 미래가치와 지속적인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실증연구로 종사자들의 핵심역량과 직무 열의와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 서비스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핵심역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여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 수를 5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1은 의사소통, 요인 2는 자기 관리, 요인 3은 지식정보 활용, 요인 4는 개인적 특성, 요인 5는 전문성으로 총 5가지 역량이 규명되었다.
둘째, 직무 열의의 경우 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여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인 항목들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요인 수를 3개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1은 몰입 요인을, 요인 2는 활력 요인을, 요인 3은 헌신 요인으로 규명되었으며, 신뢰도는 모든 요인에서 Cronbach’s α값이 0.7이상으로 나타나 내적 일관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핵심역량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회귀모형이 유의하게 나타나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전문성 b=.872(p<.001), 자기관리 b=.166(p<.01), 의사소통 b=.100(p<.01)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전문성 b=.192(p<.001), 자기관리 b=.178(p<.01)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헌신에 미치는 영향력은 전문성 b=.440(p<.001), 의사소통 b=.224(p<.01), 개인적 특성 b=.191(p<.01)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핵심역량 요인은 전문성이었으며, 자신의 직무에 몰입, 헌신 활력이 증가하는 높은 상관이 있는 요소로 경쟁적 우위를 가져다줄 수 있는 미용 산업 성공적 경영의 지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핵심역량 요소는 미용 서비스 산업의 경쟁적 우위를 가져다줄 수 있는 경영적 지표라는 점이 확인되었으며, 미용 기업이 불연속적인 기술변화와 산업시장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지면서 외부적으로 경쟁이 점점 깊어지고 내부적으로 경영은 힘들어지고 있는데, 이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개인의 핵심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경영전략으로서 핵심역량과 성과변수인 직무 열의 관계에 대해 종합적인 측면에서 규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미용 서비스 산업에서 종사자들의 핵심역량인 지적 능력 역량을 높이 평가해 주는 문화와 경력개발 및 자부심을 높여줄 수 있는 핵심역량을 설정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시대 흐름에 따라 중요시 되는 역량과 능력은 변화하므로 미용인들의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가 미용 산업 성공 요인으로 핵심역량 분야에 대한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업체 규모에 따라 필요한 역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와 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able 1.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re Competencies
Measurement questions Communication Self Management Utiliz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Personal Characteristics Professionalism
Listen to the customer's needs. .786 .038 -.058 .029 .260
Try to respect each other with customers. .778 .079 .093 .145 -.213
It provides services appropriate to the needs of customers. .721 .003 .301 .453 .282
The sense of self-identity is high. .364 .831 .230 .244 .307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is high. .049 .719 .228 .503 .138
have a high degree of self-direction. .175 .617 .375 .354 .163
You can explore a variety of materials. .087 .016 .742 .294 .127
Process information efficiently. .029 .002 .732 .222 .420
It has the ability to utilize various varieties of plum. .015 .070 .728 .320 .424
have a neat appearance. .034 .148 .183 .706 .310
be dressed in clean clothes. .039 .231 .405 .683 .398
He is working in a proper manner. .017 .224 .228 .660 .394
Work well beyond what is required of the work. .046 .361 .294 .127 .721
It has a sense of beauty culture. .062 .279 .222 .120 .636
have sufficient knowledge of beauty services. .113 .358 .320 .124 .629
Eigen value 2.607 2.316 1.803 1.778 1.128
Variance Variables % 20.052 17.816 13.869 11.680 9.909
Accumulated Variables % 20.052 37.868 51.737 62.417 73.326
Cronbach's α .796 .725 .797 .711 .650
KMO=0.823, χ²=2454.896, df=78, p=0.000
Table 2.
Validity and Reliability of Job Enthusiasm
Measurement Questions Absorbed Vitality Commitment
I am very immersed when I work. .861 .209 .184
The hours of work go by quickly. .742 .151 .342
I forget everything around me when I do my job. .697 .317 .215
Even if the performance is low, we strive for good service. .148 .866 .191
I feel passionate about my work. .368 .668 .293
Keep working for a long time. .548 .622 .035
I think my work is very valuable. .265 .154 .792
I take pride in my work. .268 .220 .683
My work gives me life. .320 .280 .631
Eigen value 2.740 1.905 1.866
Variance Variables % 30.442 21.165 20.736
Accumulated Variables % 30.442 51.607 72.343
Cronbach's α .796 .788 .766
KMO=0.894, χ²=2090.603, df=36, p=0.000
Table 3.
The Impact of Core Competencies on Immersion
Sortation Dependent Variables : Immersion
B Standard Error β t p VIF
Core Competencies (Constant) 4.457 .239 18.624*** .000
Communication .159 .057 .100 2.808** .005 1.932
Personal Characteristics .008 .057 .005 .138 .891 2.007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009 .027 .009 .333 .739 1.034
Self-management .195 .050 .166 2.915** .004 1.824
Professionalism 1.320 .043 .872 16.442*** .000 1.247
R2=.675, adj R2=.672, F=205.135*** Durbin-Watson: 2.162

** : p<.01,

*** : p<.001

Table 4.
Impact of Core Competencies on Vitality
Sortation Dependent Variables : Vitality
B Standard Error β t p VIF
Core Competencies (Constant) 2.839 .388 7.313*** .000
Communication .096 .092 .061 1.049 .295 1.932
Personal Characteristics .075 .093 .048 .809 .419 2.007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061 .044 .059 1.385 .167 1.034
Self-management .257 .081 .178 3.172** .002 1.824
Professionalism .290 .070 .192 4.122**** .000 1.247
R2=.144, adj R2=.136, F=16.680*** Durbin-Watson: 1.759

** : p<.01,

*** : p<.001

Table 5.
Impact of Core Competencies on Commitment
Sortation Dependent Variables : Commitment
B Standard Error β t p VIF
Core Competencies (Constant) 3.628 .360 10.071*** .000
Communication .354 .085 .224 4.164*** .000 1.932
Personal Characteristics .244 .086 .191 2.666** .005 2.007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020 .041 .019 .495 .621 1.034
Self-management .029 .075 .020 .382 .703 1.824
Professionalism .666 .065 .440 10.208*** .000 1.247
R2=.263, adj R2=.256, F=35.270*** Durbin-Watson: 1.889

** : p<.01,

*** : p<.001

References

Choi, M. K., & Lee, Y. J. (2015). Effects of empowerment of beauty education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n Beauty Management Society, 3(2), 135-144.
Jang, M. S. (2021). The roles and functions of junior colleges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re competencies of junior college students.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Teachers’ University, 25-55.
Jang, J. E. (2022). The effect of core job characteristics of medical skincare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Arts, Seo-kyung University, 30-62.
Jeong, S. H. (2004). A study on the core competencies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ecretaries. Korean Society of Secretaries, 13(1), 23-44.
Jung, S. J., & Kim, S. H. (2021). Analysis of core competency levels and differences of secondary school beauty teachers by teaching care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27(5), 1115-1122.
Kahn, W. A. (1992). To be fully there: Psychological presence at work. Hum Relat, 45(4), 321-349.
crossref pdf
Kahn, W. A. (1990).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4), 692-724.
crossref
Kim, A. (2018).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Job Enthusia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Focusing on Self-Resilience, Job Stress, Happiness, and Job Enthusiasm. Op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23(5), 293-315.
Kim, G. Y. (2017). The effect of cooperative competition in tourism companies on core competenc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Tourism Leisure Research, 29(9), 251-270.
Kim, H. M. (2021).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Job Enthusiasm and Innovative Behavior,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Kim, H. K., & Shin, H. C. (2019).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job enthusia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agement, 32(3), 321-443.
Kim, J. Y. (2020). The effect of perception of the core competencies of a five-star hotel bar mixologis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bar-the mediating effect of the mixologist’s trust.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ourism, 2-19.
Kim, K. W., & Kwon, O. H. (2024). The Effect of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on Academic Performance-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uman Beauty and Arts, 25(2), 109-124.
Kim, S. K. (2022). Effects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of beauty workers on customer satisfaction.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General Studies, 1-18.
Kim, S. B. (2021). Impact of collaborative leadership on subordinat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11-28.
Kim, T. Y. (2021). Impact of hotel workers’ core competenc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eong-woon University, 12-26.
Kim, Y. R. (2023). Effect of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on empathy and problem-solving abilit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kyul University, 2-16.
Ko, J. S. (2015). The effect of the core competencies of hotel employees perceived by customers on trust and perceived risk. Ph.D. thesis, Ho-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10-23.
Konstantellou, E. (2001).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enjoyment at work: A Cross-National Approach. Unpublished Master Thesis,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Surrey, UK, 65-89.
Lee, C. H. (2017). Core Competencies and leadership perceptions of Taekwondo training. Ph.D. thesis, Kyung-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11-29.
Lee, H. J. (2024). Awaren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38-62.
Lee, J. H., Sung, Y. H., Lee, J. E., & Lee, Y. J. (2021). Effects of poor customer behavioral perception of beauty on emotional dissonance, job enthusiasm, and management performance. Convergence Information Paper, 11(11), 304-31.
Lee, J. M. (2016). The effect of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on organizational trust, job enthusiasm, and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enting Policy Research, 10(2), 51-82.
Lee, J. S., Kim, T. Y., & Hwang, H. J. (2020). Effect of core competencies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uman Beauty and Arts, 21(3), 79-97.
Moon, H. N. (2021).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Core Competency Importance-Execution Analysis(IPA).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56-75.
Na, D. Y., & Hwang, H. J. (2023). The effect of professional awareness of beauty education workers on core competencies and job enthusia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uman Beauty and Arts, 24(1), 255-275.
Park, G. H., & Kim, C. S. (2021). The Impact of Future Core Competencies of Hair and Beauty Major Students on Edu-Tech Awareness and Online Learning Transfer-Focusing on Two-Year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uman and Beauty Arts, 22(3), 113-129.
Park, J. C., & Choi, H. J. (2020).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job characteristics, job crafting, job enthusiasm, and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of hotel employees. Hotel Management Research, 29(6), 171-185.
Schaufeli, W., & Bakker, A. (2004). UWES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Preliminary Manual. Unpublished Master Thesis,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Unit Utrecht University, Utrecht, 25-52.
Schaufeli, W. B., Salanova, M., González-Romá, V., & Bakker, A. B. (2004).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1), 71-92.
Shim, W. J., Eun, H., & Noh, K. S.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Subfactors of Transformative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Journal of the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Convergence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9(5), 104-116.
Yoon, S. H., & Jeong, K. S. (2019).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leadership of managers and organizational dedication and job performance of members.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 Society, 19(8), 10-22.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5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