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이용 현황에 따른 신체이미지 인식, 외모만족도 및 미용성형 관심도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s of Body Image, Body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Based on Social Media Usage Trend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Cosmetol. 2025;31(1):28-39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5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52660/JKSC.2025.31.1.28
1Ph.D. Course Department of Beauty Arts Care, Dongguk University
2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Arts Care, Dongguk University
김현지1, 전한성2,
1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뷰티아트케어학과, 박사과정
2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뷰티아트케어학과, 협력교수(사범대 국어교육학과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 Han-Sung Jeon Tel : +82-2-2260-3922 E-mail : maldoror13@hanmail.com
Received 2024 December 9; Revised 2025 February 22; Accepted 2025 February 25.

Trans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media use on body image perception, social comparison behavior, body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81 female participa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employ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chi-square tests (χ2 t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rnalization of ideal beauty standards (p<.05), leading to greater dissatisfaction with body image. Additionally, increased social media use was linked to lower body satisfaction and a higher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p<.05). Notably, individuals who frequently use Instagram and consume beauty-related content experienced greater social comparison pressure and dissatisfaction with their body (p<.01), which further amplified their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its scope by including diverse age groups and genders, as this study is limited to women in their 20s and 30s.

I. 서 론

디지털 사회에서 소셜미디어는 개인의 외모 인식을 형성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인스타그램과 틱톡과 같은 시각적 플랫폼은 이상적인 외모 기준을 강화하고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Kim, 2019). 이러한 플랫폼은 이상적인 외모를 반복적으로 노출하여 사용자의 외모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외모 불만족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다(Shin, 2023). 또한 외모 불만족은 결국 성형 수술과 같은 외모 개선 활동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Choi, 2016).

이러한 미디어 환경에서 소셜미디어는 외모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형성하고 강화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Lee(2022)의 연구에 따르면, 틱톡과 같은 플랫폼에서 인플루언서의 특징과 콘텐츠는 사용자의 자기 대상화를 촉진하고, 외모 불만족을 증가시키는 중개적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과정은 젊은 세대가 자신의 외모를 타인의 외모와 비교하게 만들며, 이는 외모 만족도와 자신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Oh(2017)도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신체 이미지 형성에 있어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며, 소셜미디어가 외모 관리 행동을 촉진하고 사회적 압박을 강화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성형 의학은 소셜미디어가 강조하는 이상적인 외모 기준을 실현 가능한 목표로 만들며, 사용자들에게 성형을 외모 개선의 효과적인 도구로 인식시키는 역할을 한다(Lim & Kim, 2018). 예를 들어,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는 성형 전후 이미지와 보정된 사진은 성형의 효과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며, 소비자들에게 성형 수술을 선택하도록 유도한다(Lee & Kim, 2024). 이러한 과정은 성형 의학과 미디어가 상호작용하여 이상적인 외모 기준을 추구하는 문화를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Mai & Cho, 2022).

기존 연구들은 소셜미디어의 이상적 외모 기준 강화, 외모 불만족, 성형 관심도와의 개별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집중했으나, 이러한 변수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실증적 검토는 부족하다. 특히, 소셜미디어 사용 빈도와 콘텐츠 유형이 외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가 제한적이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과 신체 이미지, 외모 만족도, 미용 성형 관심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소셜미디어 사용 빈도 및 주요 콘텐츠 유형이 외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소셜미디어가 현대 사회에서 외모 기준과 신체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을 규명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소셜미디어

소셜미디어는 현대 사회에서 이상적인 외모 기준을 형성하고 이를 확산시키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작용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이상적 외모 이미지는 사용자가 타인의 외모와 자신을 비교하도록 유도하며, 이는 이상적 외모 기준을 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Mai & Cho, 2022). 이 과정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이미지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는 "상향비교(social upward comparison)"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신체 불만족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Festinger, 1954; Hendrickse et al., 2017). 예를 들어, Tiggemann(2004)는 인스타그램에서의 사진 공유나 틱톡에서 필터를 적용한 영상이 사용자가 자신의 외모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도록 유도하며, 신체 불만족을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 사용자가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하거나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신체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한다(Wilson & Butler, 2020). 소셜미디어는 단순히 이상적인 외모 기준을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들이 자신의 외모를 평가하고 비교하는 심리적 과정을 통해 신체 이미지와 관련된 부정적인 영향을 확대한다. 이러한 점에서 소셜미디어는 젊은 여성들의 신체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 신체이미지

신체 이미지(body image)는 개인이 자신의 신체적 외형에 대해 가지는 주관적인 인식과 평가를 포함하며, 이는 사회적 비교와 이상적 외모 기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Hendrickse et al., 2017). 특히, 소셜미디어는 사용자가 끊임 없이 이상적 외모를 접하도록 하여 자신이 이러한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느끼게 만드는 주요 매체로 작용한다(Grabe et al., 2008). 이러한 반복적인 상향 비교는 신체 이미지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형성하며, 이는 외모 불만족과 자신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Thompson et al., 2001).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에서 인플루언서들의 보정된 사진을 접한 사용자는 자신의 외모를 비교하며 신체 불만족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하여, Ahn & Ha(2016)의 연구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질적 분석을 통해 미디어가 신체 불만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임을 밝혀냈다. 연구에 따르면, 소셜미디어는 이상적 외모를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며, 이를 통해 외모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관리 욕구를 동시에 강화한다. 소셜미디어는 단순히 외모 기준을 제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 이미지 형성과 자기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외모만족도

긍정적인 신체 이미지는 외모 만족도를 높이고, 개인의 자존감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Lee, 2022). 그러나 대부분의 소셜미디어는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게 만드는 사회적 비교 환경을 조성하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외모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비교는 외모 만족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Wilson & Butler, 2020). 특히, 인스타그램이나 틱톡과 같은 플랫폼은 필터를 적용한 이상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노출하며, 사용자가 필터를 적용한 자신의 모습과 실제 외모를 비교하게 만든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이상적 외모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다고 느끼게 되고, 이는 외모 만족도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한다(Grabe et al., 2008). 더불어, 이상적인 외모를 가진 타인과 비교 경험은 성형 수술을 고려하는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과정은 외모 만족도의 감소와 외모 불만족을 유발하며, 궁극적으로 외모 개선이나 성형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확인된다(Davis & Vernon, 2019).

4. 미용성형관심도

미용성형관심도는 자신의 외모를 개선하거나 이상적인 외모를 달성하기 위해 성형을 고려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이는 신체 이미지 불만족, 낮은 자존감, 사회적 압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Richardson et al., 2019). Swami et al.(2015)은 낮은 자존감이 미용성형에 대한 관심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소셜미디어가 자존감 저하와 신체 이미지 불만족을 심화시키는 주요 매개체로 작용한다고 보고했다. 특히, 소셜미디어는 보정된 이미지와 필터를 통해 이상적 외모 기준을 강화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외모에 대해 불만족을 느끼도록 만든다(McLean & Paxton, 2016). 이러한 불만족은 미용 성형을 외모 개선의 효과적인 도구로 인식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Lim & Kim, 2018). 또한, 소셜미디어에서 성형 전후 이미지를 접한 사용자는 자신감 향상과 외모 개선을 위해 성형을 고려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젊은 세대에서 두드러지며, 미용 성형을 단순한 외모 변화가 아닌 자존감과 사회적 관계 개선의 도구로 받아들이게 만든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20대에서 30대 여성 중 미용 성형 경험이 있거나, 소셜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로 설정하였다. 설문 조사는 온라인 설문 플랫폼(Naver Forms)을 활용하여 자기 기입식(Self-administered)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응답자는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면 동의를 한 후 설문을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사용 빈도, 주요 플랫폼, 소비 콘텐츠 유형), 신체 이미지 평가(자기 신체 인식 및 불만족도), 외모 만족도(자신의 외모에 대한 주관적 평가), 미용 성형 관심도(성형 경험 및 향후 계획)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4년 8월 20일부터 8월 25일까지 6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총 300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불성실 응답(일관된 패턴의 답변, 무성의한 응답 예: 같은 숫자 반복 선택 등)을 제외하는 데이터 정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281부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 연구문제

본 연구는 가설을 설정하지 않고,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소셜미디어 사용이 신체 이미지, 외모 만족도 및 미용성형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소셜미디어 사용 빈도 및 콘텐츠 소비 유형이 신체 이미지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신체 불만족과 외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요인들이 궁극적으로 미용 성형 관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소셜미디어와 외모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문제1. 소셜미디어 사용의 빈도, 주요 콘텐츠 소비 유형이 20-30대 여성의 신체이미지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연구문제2. 소셜미디어의 주요 플랫폼 및 콘텐츠 유형이 신체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연구문제3. 소셜미디어 사용시간과 소비 콘텐츠 유형이 20-30대 여성의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연구문제4. 소셜미디어 사용 빈도, 주요 플랫폼 및 콘텐츠 소비 유형이 미용성형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3. 측정도구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령, 결혼 여부, 거주 지역, 학력, 평균 소득 등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문항들은 연구다상자의 사회적, 경제거 배경을 파악하기위해 설계되었으며, 명목척도와 서열척도를 사용하여 응답을 수집하였다.

2)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항목을 측정하였다. 하루 평균 소셜미디어 사용 빈도, 사용 시간, 소비 콘텐츠 유형(패션, 뷰티, 건강, 유머, 여행, 자기개발 등) 중 주로 소비하는 콘텐츠를 다중응답 형태로 수집하였다. 또한, 주 사용 플랫폼으로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 트위터, 기타(유튜브, 카페, 블로그 등)를 선택하도록 설계하였다. 소셜미디어 사용 중 외모 비교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타인의 외모와 자신의 외모를 비교빈도를 평가하는 항목을 추가하였다. 추가하였다. 이 항목들은 기존 소셜미디어 사용 연구(Oh, 2017; Lee, 2022)를 바탕으로 본 연구 주제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으며, 리커트식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3) 신체 이미지 및 외모 자신감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사용이 신체 이미지와 외모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문항을 사용하였다. 신체 이미지는 소셜미디어에서 이상적인 외모 이미지를 본 후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는 4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외모 자신감은 소셜미디어 사용 후 외모에 대한 자신감 변화를 측정하는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척도는 기존 연구(Kim, 2020)를 바탕으로 본 연구 주제에 맞게 설문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리커트식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소셜미디어의 이미지 노출 및 비교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이미지 노출과 외모 비교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문항을 구성하였다. 소셜미디어에서 이상적인 외모 이미지를 접하는 빈도를 평가하는 3문항, 소셜미디어 사용 후 타인과 자신의 외모를 비교하는 빈도를 측정하는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문항들은 기존 연구(Lee & Kim, 2018)를 참고하여 리커트식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미용성형 관심도

본 연구에서는 미용 성형 관심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 항목들은 기존 소셜미디어 사용 연구(Oh, 2017)를 바탕으로 본 연구 주제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으며, 리커트식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또한, 소셜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시각적 이미지(필터, 편집 기능 등) 노출 빈도와 미용성형 관심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관련 문항을 포함하였다. 본 척도는 연구대상자의 성형 관련 태도와 소셜미디어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4. 자료처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최종 분석대상 자료인 281부의 자료에 대하여 통계처리프로그램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처리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령, 거주지, 학력, 직업, 소득수준 등 일반적 특성과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사용 빈도, 주로 이용하는 플랫폼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과 신체 이미지, 외모 자신감, 미용 성형 관심도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된 경우, 그룹 간 차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Scheffé의 사후검정(Scheffé's Post Hoc Test)을 실시하였다.

셋째, 소셜미디어 이미지 노출이 미용 성형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χ2 test)을 실시하였으며, 소셜미디어 사용 빈도와 미용 성형 관심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 검증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연구대상 중 다수가 매일 소셜미디어를 사용하여 신체 이미지와 관련된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분포를 살펴보면, 20-24세 58명(20.6%), 25-29세 118명(42.0%), 30-34세 78명(27.8%), 35-39세 27명(9.6%)으로, 25-29세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231명(82.2%)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기혼은 50명(17.8%)이었다. 거주 지역은 서울 122명(43.4%)이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수도권 90명(32.0%), 충청권 14명(5.0%), 호남권 21명(7.5%), 영남권 26명(9.3%), 강원도 7명(2.5%), 제주 1명(0.4%)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고등학교 졸업 55명(19.6%), 전문대 졸업 59명(21.0%), 대학교 졸업 161명(57.3%), 대학원 이상 6명(2.1%)으로, 대학교 졸업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직업 분포에서는 사무직이 163명(58.0%)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학생 38명(13.5%), 자영업 30명(10.7%), 전문직 13명(4.6%), 프리랜서 20명(7.1%), 아르바이트 14명(5.0%), 기타 3명(1.1%)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월소득 분포는 200-300만원 미만이 128명(45.6%)으로 가장 많았으며, 100-200만원 미만 54명(19.2%), 300-400만원 미만 77명(27.4%), 400-500만원 미만 17명(6.0%), 500만원 이상 5명(1.8%) 순으로 조사되었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2.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

소셜미디어 사용 빈도는 매일 사용하는 응답자가 205명(73.0%)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주 4-5회 47명(16.7%), 주 2-3회 20명(7.1%), 가끔 8명(2.8%), 거의 안함 1명(0.4%)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다수의 응답자가 소셜미디어를 자주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로 사용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다중응답으로 측정되었으며, 인스타그램이 256명(91.1%)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페이스북 79명(28.1%), 틱톡 65명(23.1%), 트위터 32명(11.4%), 기타 6명(2.1%)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스타그램은 대다수 응답자의 주요 플랫폼으로 확인되었다. 하루 소셜미디어 사용 시간은 2-3시간 사용하는 응답자가 136명(48.4%)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1-2시간 98명(34.9%), 3-5시간 42명(14.9%), 5시간 이상 5명(1.8%)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체로 하루 1-3시간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사용자가 많음을 보여준다.

3. 연구문제

1) 소셜미디어 사용이 신체이미지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소셜미디어에서 타인의 사진·영상을 본 후 신체이미지의 생각 변화 정도가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 결과, 주 사용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인스타그램 사용 여부(t=3.54, p<.01)와 소셜미디어 주 소비 콘텐츠 중 뷰티 콘텐츠(t=3.29, p<.01) 및 기타 콘텐츠(t=-5.04, p<.001) 여부에 따라 신체이미지의 생각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인스타그램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타인의 사진·영상을 본 후 신체이미지의 생각 변화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뷰티 콘텐츠를 주로 소비하는 경우에도 신체이미지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기타 콘텐츠를 주로 소비하는 경우, 신체이미지 변화 정도는 유의미하게 낮았다.

Changes in Body Image Perception After Viewing Others' Photos and Videos Based on Social Media Usage Patterns

이 결과는 소셜미디어의 주요 플랫폼과 콘텐츠 유형이 사용자의 신체이미지 인식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뷰티 관련 콘텐츠 및 인스타그램과 같은 시각적 플랫폼이 사용자의 신체이미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상향 비교가 부정적인 신체이미지를 형성하고, 또래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신체 불만족과 마르고 싶은 욕구를 증대시킨다고 밝힌 선행 연구와 일맥상통한다. 더불어, 뷰티와 패션 콘텐츠가 주요 관심사로 주목받았으며, 이는 인스타그램과 같은 시각적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신체이미지 인식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경향은 인스타그램과 같은 시각적 중심 플랫폼에서 이러한 패턴이 강하게 드러난다고 보고한 Duffy & Hund(2015)의 연구 결과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2) 소셜미디어의 주요 플랫폼 및 콘텐츠 소비 유형이 신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셜미디어 사용이 자신의 신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 사용 소셜미디어 플랫폼과 소비하는 콘텐츠 유형에 따라 신체 불만족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Table 3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 결과, 주 사용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인스타그램 사용 여부(t=2.52, p<.05)와 소셜미디어 주 소비 콘텐츠 중 뷰티 콘텐츠(t=2.30, p<.05) 여부에 따라 신체 불만족 증가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인스타그램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소셜미디어 이미지로 인한 신체 불만족 증가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뷰티 콘텐츠를 주로 소비하는 경우에도 신체 불만족 증가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Social Media Usage Patterns Due to Increased Body Dissatisfaction from Social Media Images

이 결과는 인스타그램과 뷰티 콘텐츠가 사용자의 신체 불만족을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청소년들의 신체 대상화 의식(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이 사회적 외모 불안(Social Appearance Anxiety)이 소셜미디어 사용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밝힌 Soyunmez et al(2024)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한다. 본 연구에서도 소셜미디어 사용이 이상적인 외모 기준을 내면화하고, 신체 이미지에 대한 사회적 비교를 촉진함으로써 신체 불만족과 외모 불안 수준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가 단순한 정보 공유를 넘어, 특정한 외모 기준을 강화하고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에 대한 사회적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소셜미디어 사용 시간과 소비 콘텐츠 유형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현재 자신의 외모만족도가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는 Table 4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 결과, 하루 소셜미디어 사용 시간(F=3.19, p<.05)과 소셜미디어 주 소비 콘텐츠 중 패션 콘텐츠 여부(t=2.55, p<.05)에 따라 외모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Scheffé의 사후검증 결과, 하루 소셜미디어를 1-2시간 사용하는 사용자에 비해 3시간 이상 사용하는 사용자의 현재 외모 만족도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소셜미디어에서 패션 콘텐츠를 주로 소비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현재 외모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소셜미디어가 MZ세대 여성들에게 이상적 외모 기준을 내면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힌 선행연구(Jang, 2004)의 초기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신 연구(Kim et al., 2023)의 관점에서 이를 확장하여, 한국 20-30대 여성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날씬한 체형을 이상적 기준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데서 주목을 요한다. 이는 소셜미디어에서 제공되는 패션 콘텐츠가 이상적인 외모 기준을 강조하는 동시에, 개인의 스타일 변화와 자기표현(Self-expression)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에서 소비하는 콘텐츠 유형이 단순한 외모 비교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외모 인식을 형성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Changes in Body Satisfaction Based on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4) 소셜미디어 이용 빈도, 주요 플랫폼 및 콘텐츠 소비 유형이 미용성형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성형 관심도가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외모 개선을 위한 미용성형 관심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χ2=9.85, p<.01). 특히, 매일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외모 개선에 대한 관심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주 사용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따라 차이가 존재했으며,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외모 개선을 위한 미용성형 관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χ2=15.10, p<.001). 반면, 페이스북 이용자는 자존감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미용성형 관심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χ2=8.33, p<.01).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가 개인의 외모 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시사한다. 소셜미디어 이용은 정보 소비를 통한 외모 관리 강화와도 연결된다(Baek & Seo, 2022).

Differences in Reasons for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Based on Social Media Usage

소셜미디어의 콘텐츠 유형별로도 미용성형 관심도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패션 콘텐츠를 주로 소비하는 사용자는 외모 개선(χ2=6.50, p<.05)과 자존감 향상(χ2=8.13, p<.01)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뷰티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우에도 외모 개선(χ2=12.75, p<.001) 및 자존감 향상(χ2=4.68, p<.05)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사회적 압박과 관련된 요인에서는 미용성형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χ2=6.58, p<.05). 유머 콘텐츠를 주로 소비하는 사용자의 경우 자존감 향상을 위한 미용성형 관심도가 낮았으며(χ2=7.38, p<.01), 건강 관련 콘텐츠를 소비하는 집단에서는 선천적 결함 교정을 위한 미용성형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χ2=21.59, p<.001).

연구 결과, 소셜미디어 플랫폼 및 사용 시간은 미용성형 관심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이상적 이미지의 내면화가 이러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셜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이상적 이미지는 성형 관심도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자기 인식과 외모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Kim & Jung, 2016).

소셜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이미지가 미용성형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이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한 결과는 Table 6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 결과, 주 사용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인스타그램 사용 여부(t=3.03, p<.01)와 소셜미디어 주 소비 콘텐츠 중 뷰티 콘텐츠(t=2.24, p<.05), 유머 콘텐츠(t=2.65, p<.05) 여부에 따라 소셜미디어 이미지가 미용성형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인스타그램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소셜미디어 이미지가 미용성형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뷰티 콘텐츠와 유머 콘텐츠를 주로 소비하는 경우에도 소셜미디어 이미지가 미용성형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소셜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 유형이 미용성형관심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인스타그램과 뷰티 및 유머 콘텐츠가 사용자의 미용성형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Differences in Social Media Usage Patterns Based on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Images on Cosmetic Surgery Interest

소셜미디어에서 타인의 외모와 비교하는 빈도 증가 정도가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는 Table 7에 제시되어 있다. 분석 결과, 주 사용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인스타그램 사용 여부(t=2.47, p<.05)와 소셜미디어 주 소비 콘텐츠 중 뷰티 콘텐츠(t=2.72, p<.01) 및 유머 콘텐츠(t=2.28, p<.05) 여부에 따라 성형 후 타인의 외모와 비교하는 빈도 증가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인스타그램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성형 후 소셜미디어에서 타인의 외모와 비교하는 빈도 증가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주 소비 콘텐츠가 뷰티 콘텐츠나 유머 콘텐츠인 경우에도 타인의 외모와 비교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Oh(2024)의 연구에서 제시한 틱톡 사용이 상향 비교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성형의도를 증가시킨다고 설명한 바와 일치하며, 인스타그램의 경우 시각적 콘텐츠 기반 플랫폼으로서 이상적인 외모 기준을 강화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뷰티 콘텐츠는 외모 비교를 촉진하고, 사용자의 이상적 외모 기준 내면화를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Differences in Social Media Usage Patterns by Increased Appearance Comparison After Cosmetic Surgery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및 콘텐츠 유형이 성형 후 사용자의 외모 비교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이미지 기반 소셜미디어에서 상향 비교가 신체 감시와 신체 대화를 매개로 이상섭식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한 Lee & Cho(2023)의 연구를 뒷받침하며,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는 경향이 성형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밝힌 Kim & Choi(2013)의 연구와도 일맥상통한다.

본 연구는 성형 후 소셜미디어 사용 패턴과 외모 비교 행동 간의 구체적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특히, 뷰티 콘텐츠와 같은 특정 시각적 콘텐츠가 사용자의 외모 비교 행동을 강화하고, 이상적인 외모 기준 내면화를 촉진한다는 점을 명확히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사용자의 외모 인식과 태도 형성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을 시사하며, 향후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V. 결 론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가 이상적 외모 기준을 강화하며, 신체 불만족과 미용성형 관심도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소셜미디어의 시각적 콘텐츠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사용자의 외모 인식과 태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셜미디어가 단순한 정보 소비 플랫폼을 넘어, 개인의 외모 인식과 사회적 비교를 강화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가 외모 인식과 미용성형 관심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고, 건강한 신체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정책적·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다. 특히, 개인과 사회가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보다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규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교육적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정규 교육과정에서 신체 이미지 교육을 체계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 교양과목에서 SNS 콘텐츠의 조작 가능성과 이상적 외모 기준의 문제점을 교육하고, 비판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도록 미디어 리터러시를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유튜브, EBS 등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활용한 무료 강의를 개설하고, 교육 과정에서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기준과 조작된 정보의 특징을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셜미디어 플랫폼과 협력하여 이용자들이 콘텐츠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능을 강화하고, 검증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소셜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외모 관련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공익 캠페인 및 전문가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뷰티·성형 전문가 및 심리학자들이 참여하는 공익 캠페인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성형 및 미용 정보의 객관성을 강화하고, 비수술적 외모 관리 대안(운동, 심리 상담, 메이크업 활용 등)을 소개하는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가 신체 이미지 및 외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셜미디어의 긍정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외모 불만족 해소를 위한 정책적·교육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지닌다.

첫째, 연구 대상이 20~30대 여성에 국한되어 있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층과 성별을 포함하여 소셜미디어 사용이 신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포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콘텐츠 유형을 뷰티, 패션, 건강 등의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나, 각 콘텐츠의 세부적인 특징(예: 필터·편집된 이미지의 빈도, 유료 광고 콘텐츠 여부 등)에 따른 차별적 영향을 검토하지 못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정교한 콘텐츠 분석을 수행하여 소셜미디어 내 시각적 요소가 신체 이미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주관적 응답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관찰 연구, 인터뷰 조사, 실험 연구 등의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가 이상적 외모 기준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신체 불만족과 미용 성형 관심도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연령과 성별을 포함한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소셜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외모 관련 정보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교육적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Ahn J. H., Ha J. S.. 2016;A qualitative study on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6(4):33–51.
2. Baek H., Seo S. H.. 2022;Beauty management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2):363–374. https://doi.org/10.52660/JKSC.2022.28.2.363.
3. Choi J. Y.. 2016;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SNS and the intention to undergo cosmetic surgery in female college students: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ation of beauty standards, body surveillance, facial surveillance, and body sha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22(4):123–135.
4. Davis A., Vernon M.. 2019;Social media's influence on cosmetic surgery and body image: A systematic review. Aesthetic Surgery Journal 40(6):691–703. https://doi.org/10.1093/asj/sjz035.
5. Duffy B. E., Hund E.. 2015;“Having it all” on social media: Entrepreneurial femininity and self-branding among fashion bloggers. Social Media + Society 1(2):1–11. https://doi.org/10.1177/2056305115604337.
6. Festinger L.. 1954;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2):117–140. https://doi.org/10.1177/001872675400700202.
7. Grabe S., Ward L. M., Hyde J. S.. 2008;The role of the media in body image concerns among women: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and correlational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134(3):460–476. https://doi.org/10.1037/0033-2909.134.3.460.
8. Hendrickse J., Arpan L. M., Clayton R. B., Ridgway J. L.. 2017;Instagram and college women’s body image: Investigating the roles of appearance-related comparisons and intrasexual competi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4:92–100. https://doi.org/10.1016/j.chb.2017.04.027.
9. Jang, M. K. (2004). The appearance-oriented ideology promoted by mass media. Monthly Mal, 205-206.
10. Kim A. R.. 2019;The network of 'beauty' and its meaning among women in their 10s and 20s. Media, Gender & Culture 34(1):131–173.
11. Kim J.. 2020;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Body Image and Cosmetic Surgery: A Cultural Perspective. Journal of Aesthetic Surgery 12(4):301–315.
12. Kim J. H., Jung M. S.. 2016;The effects of social appearance anxiety, negative body image, and appearance importa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intention to undergo cosmetic sur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8(5):625–636. https://doi.org/10.5805/sfti.2016.18.5.625.
13. Kim K. H.. 2013;A Study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Men's Cosmetic Plastic Sur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19(1):26–33.
14. Kim Y. S., Cho J. H., Suh J. D., Kim J. K.. 2023;Comparison of body size perception of young wome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omen and Health 63(4):266–276.
15. Lee D. Y., Kim J. Y.. 2024;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beauty contents and self-beauty care behavior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30(5):1154–1164.
16. Lee, J. M. (2022).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s body imag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mediating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7. Lee S. H., Jin Y. M.. 2022;Effects of cosmetic plastic surgery awareness and interes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28(1):19–32.
18. Lee S. M., Cho O. G.. 2023;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comparison on image-based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The role of body talk and body surveillanc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Health 28(1):107–126.
19. Lee, Y. H. (2022). The effect of TikTok and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objectifica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 Lim S., Kim H.. 2018;Social media pressure and body dis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cosmetic surgery in young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24(2):105–117.
21. Mai W., Cho G. M.. 2022;Analysis of sociocultural pressure, body aware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uman Body Beauty and Art 23(4):91–112.
22. McLean S. A., Paxton S. J.. 2016;Body image in the context of the tripartite influence model: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ideals and appearance comparison. Body Image 17:175–183.
23. Oh C. Y.. 2024;The Effects of Personal, Social, and Media-related Factors on Addiction Tendencies of TikTok Users: Focusing o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4(1):232–243.
24. Oh H. S.. 2017;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Female College Students' Body Image Formation: Focusing on Facebook's Social Grooming Activities. Advertising Research 115:421–450.
25. Richardson C. M., Paxton S. J., McLean S. A.. 2019;A comparison of appearance comparison to images on social media and conventional media. Body Image 28:1–7.
26. Shin, S. A. (2023). Body shape management behavior and body consciousness of those who experienced cosmetic plastic surgery for bod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7. Soyunmez S., Efe Y. S., Kudubes A. A., Caner N.. 2024;The predictor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mong adolescents: Socıal appearance anxiety and social media use.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51:152–157.
28. Swami V., Tran U. S., Stieger S., Voracek M.. 2015;Associations between women’s body image and happiness: Results of the YouBeauty.com Body Image Survey.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6(3):705–718.
29. Thompson, J. K., Heinberg, L. J., Altabe, M., & Tantleff D, S. (2001). Exacting beauty: 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 of body image disturba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0. Tiggemann M.. 2004;Body image across the adult life span: Stability and change. Body Image 1(1):29–41. https://doi.org/10.1016/S1740-1445(03)00002-0.
31. Wilson E., Butler J.. 2020;Cosmetic Surgery and Social Media: Aesthetic Trends and Body Perception. Journal of Medical Aesthetics and Reconstructive Surgery 10(3):201–22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Variable Category Frequency (%)
Age 20-24 years old 58 20.6
25-29 years old 118 42.0
30-34 years old 78 27.8
35-39 years old 27 9.6
Marital status Unmarried 231 82.2
Married 50 17.8
Residential area Seoul 122 43.4
Metropolitan Area 90 32.0
Chungcheong Region 14 5.0
Honam Region 21 7.5
Yeongnam Region 26 9.3
Gangwon Province 7 2.5
Jeju 1 0.4
Highest Education Level High School Graduate 55 19.6
Associate Degree Graduate 59 21.0
University Graduate 161 57.3
Postgraduate or Higher 6 2.1
Occupation Student 38 13.5
Office Worker 163 58.0
Self-Employed 30 10.7
Professional 13 4.6
Freelancer 20 7.1
Part-Time Worker 14 5.0
Others 3 1.1
Income Less than 1-2 million won 54 19.2
2-3 million won 128 45.6
3-4 million won 77 27.4
4-5 million won 17 6.0
Over 5 million won 5 1.8
Total 281 100.0

Table 2.

Changes in Body Image Perception After Viewing Others' Photos and Videos Based on Social Media Usage Patterns

Variable Category Sample Size Mean Standard Deviation F/t p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Daily 205 3.40 1.19 0.86 .423
4-5 times a week 47 3.19 1.10
≤ 3 times a week 29 3.21 0.90
Primary Social Media Platform Used Instagram 256 3.40 1.16 3.54** .001
Facebook 79 3.28 1.00 -0.61 .544
Twitter 32 3.56 0.98 1.14 .256
TikTok 65 3.18 1.42 -1.10 .276
Others 6 3.17 1.17 -0.38 .701
Daily Social Media Usage Time 1-2 hours 98 3.18 1.12 1.50 .225
2-3 hours 136 3.43 1.14
≥ 3 hours 47 3.45 1.23
Main Content Consumed on Social Media Fashion 146 3.37 1.17 0.37 .709
Beauty 203 3.48 1.14 3.29** .001
Travel 77 3.16 1.10 -1.70 .090
Entertainment 43 3.53 1.16 1.18 .240
Health 16 3.50 1.10 0.55 .580
Self-Development 16 3.19 0.98 -0.56 .573
Others 2 3.00 0.00 -5.04*** .000
**

p<.01,

***

p<.001

Table 3.

Social Media Usage Patterns Due to Increased Body Dissatisfaction from Social Media Images

Variable Category Sample Size Mean Standard Deviation F/t p (Scheffé)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Daily 205 3.40 1.30 0.15 .865
4-5 times a week 47 3.30 1.12
≤ 3 times a week 29 3.31 1.37
Primary Social Media Platform Used Instagram 256 3.43 1.28 2.52* .012
Facebook 79 3.18 1.26 -1.59 .114
Twitter 32 3.34 1.18 -0.12 .902
TikTok 65 3.26 1.50 -0.69 .490
Others 6 3.00 1.79 -0.72 .474
Daily Social Media Usage Time 1-2 hours 98 3.26 1.33 0.70 .496
2-3 hours 136 3.46 1.24
≥ 3 hours 47 3.36 1.28
Main Content Consumed on Social Media Fashion 146 3.41 1.30 0.56 .578
Beauty 203 3.48 1.28 2.30* .022
Travel 77 3.18 1.30 -1.52 .130
Entertainment 43 3.63 1.11 1.61 .113
Health 16 3.19 1.38 -0.59 .557
Self-Development 16 3.06 1.29 -0.99 .322
Others 2 4.50 0.71 1.26 .210
*

p<.05

Table 4.

Changes in Body Satisfaction Based on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Variable Category Sample Size Mean Standard Deviation F/t p (Scheffé)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Daily 205 2.84 1.01 0.18 .837
4-5 times a week 47 2.77 0.89
≤ 3 times a week 29 2.90 0.98
Primary Social Media Platform Used Instagram 256 2.86 0.99 1.47 .143
Facebook 79 2.81 0.85 -0.30 .762
Twitter 32 2.91 0.96 0.43 .671
TikTok 65 2.77 1.17 -0.55 .583
Others 6 2.83 0.98 -0.01 .994
Daily Social Media Usage Time 1-2 hours 98 2.65 1.00 3.19* .043 (a<c)
2-3 hours 136 2.89 0.95
≥ 3 hours 47 3.06 1.03
Main Content Consumed on Social Media Fashion 146 2.98 0.96 2.55* .011
Beauty 203 2.79 1.02 -1.42 .158
Travel 77 2.97 0.86 1.56 .120
Entertainment 43 2.91 1.04 0.51 .611
Health 16 2.94 1.18 0.42 .673
Self-Development 16 2.88 0.89 0.18 .860
Others 2 2.00 1.41 -1.20 .230
*

p<.05

Table 5.

Differences in Reasons for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Based on Social Media Usage

Variable Category Appearance Enhancement Self-Esteem Improvement Social Pressure Correction of Congenital Defects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Daily 159 (77.6) 133 (64.9) 24 (11.7) 23 (11.2)
4-5 times a week 26 (55.3) 28 (59.6) 7 (14.9) 4 (8.5)
≤ 3 times a week 20 (69.0) 15 (51.7) 1 (3.4) 1 (3.4)
χ2(p) 9.85** (.007) 2.10 (.349) 2.41 (.300) 1.84 (.398)
Primary Social Media Platform Used Instagram 195 (76.2) 160 (62.5) 27 (10.5) 26 (10.2)
χ2(p) 15.10*** (.000) 0.02 (.882) 2.02 (.156) 0.12 (.731)
Facebook 58 (73.4) 60 (75.9) 7 (8.9) 8 (10.1)
χ2(p) 0.01 (.913) 8.33** (.004) 0.70 (.404) 0.00 (.955)
Twitter 20 (62.5) 21 (65.6) 4 (12.5) 5 (15.6)
χ2(p) 2.00 (.157) 0.14 (.710) 0.04 (.833) 1.29 (.256)
TikTok 49 (75.4) 41 (63.1) 9 (13.8) 8 (12.3)
χ2(p) 0.25 (.615) 0.01 (.933) 0.51 (.477) 0.52 (.472)
Others 5 (83.3) 3 (50.0) 0 (0.0) 1 (16.7)
χ2(p) 0.34 (.563) 0.42 (.518) 0.79 (.375) 0.31 (.580)
Daily Social Media Usage Time 1-2 hours 70 (71.4) 52 (53.1) 10 (10.2) 7 (7.1)
2-3 hours 100 (73.5) 87 (64.0) 18 (13.2) 14 (10.3)
≥ 3 hours 35 (74.5) 37 (78.7) 4 (8.5) 7 (14.9)
χ2(p) 0.19 (.908) 9.14* (.010) 0.98 (.612) 2.16 (.340)
Main Content Consumed on Social Media Fashion 116 (79.5) 103 (70.5) 17 (11.6) 11 (7.5)
χ2(p) 6.50* (.011) 8.13** (.004) 0.02 (.888) 2.00 (.157)
Beauty 160 (78.8) 135 (66.5) 17 (8.4) 18 (8.9)
χ2(p) 12.75*** (.000) 4.68* (.031) 6.58* (.010) 0.98 (.322)
Travel 52 (67.5) 47 (61.0) 9 (11.7) 11 (14.3)
χ2(p) 1.58 (.209) 0.12 (.734) 0.01 (.922) 2.21 (.137)
Entertainment 33 (76.7) 19 (44.2) 7 (16.3) 6 (14.0)
χ2(p) 0.37 (.543) 7.38** (.007) 1.20 (.273) 0.90 (.343)
Health 8 (50.0) 8 (50.0) 3 (18.8) 7 (43.8)
χ2(p) 4.53* (.033) 1.16 (.282) 0.91 (.340) 21.59*** (.000)
Self-Development 12 (75.0) 7 (43.8) 4 (25.0) 1 (6.3)
χ2(p) 0.04 (.850) 2.59 (.108) 3.12 (.078) 0.26 (.609)
Others 2 (100.0) 1 (50.0) 0 (0.0) 0 (0.0)
χ2(p) 0.75 (.387) 0.14 (.711) 0.26 (.611) 0.22 (.637)
*

p<.05,

**

p<.01,

***

p<.001

Table 6.

Differences in Social Media Usage Patterns Based on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Images on Cosmetic Surgery Interest

Variable Category Sample Size Mean Standard Deviation F/t p (Scheffé)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Daily 205 3.50 1.17 0.49 .612
4-5 times a week 47 3.36 1.03
≤ 3 times a week 29 3.62 1.08
Primary Social Media Platform Used Instagram 256 3.55 1.13 3.03** .003
Facebook 79 3.33 1.06 -1.46 .145
Twitter 32 3.41 1.07 -0.43 .668
TikTok 65 3.52 1.36 0.25 .802
Others 6 3.33 1.37 -0.34 .738
Daily Social Media Usage Time 1-2 hours 98 3.47 1.15 0.34 .714
2-3 hours 136 3.54 1.11
≥ 3 hours 47 3.38 1.19
Main Content Consumed on Social Media Fashion 146 3.49 1.14 -0.02 .985
Beauty 203 3.58 1.17 2.24* .026
Travel 77 3.32 1.09 -1.48 .141
Entertainment 43 3.88 1.05 2.65* .010
Health 16 3.81 0.75 1.72 .101
Self-Development 16 3.31 1.01 -0.63 .527
Others 2 3.50 0.71 0.02 .988
*

p<.05,

**

p<.01

Table 7.

Differences in Social Media Usage Patterns by Increased Appearance Comparison After Cosmetic Surgery

Variable Category Sample Size Mean Standard Deviation F/t p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Daily 205 3.28 1.20 0.04 .959
4-5 times a week 47 3.23 1.11
≤ 3 times a week 29 3.24 1.15
Primary Social Media Platform Instagram 256 3.32 1.16 2.47* .014
Facebook 79 3.25 1.21 -0.15 .878
Twitter 32 3.16 1.08 -0.58 .562
TikTok 65 3.20 1.41 -0.48 .630
Others 6 3.33 0.82 0.13 .895
Daily Social Media Usage Time 1-2 hours 98 3.14 1.32 1.04 .355
2-3 hours 136 3.37 1.10
≥ 3 hours 47 3.26 1.09
Main Content Consumed on Social Media Fashion 146 3.32 1.25 0.76 .448
Beauty 203 3.38 1.22 2.72** .007
Travel 77 3.06 1.08 -1.80 .073
Entertainment 43 3.56 0.83 2.28* .025
Health 16 3.06 1.00 -0.73 .469
Self-Development 16 3.25 1.06 -0.07 .943
Others 2 3.50 0.71 0.28 .783
*

p<.05,

**

p<.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