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30(2); 2024 > Article
셀프네일구매동기가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women who practice self-nail care in the Gyeongnam region. The motivation factors for self-nail purchase were in the order of individual soccer motivation, social life motivation, and mood diversion motivation, and were derived as factors of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ll self-nai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self-nail purchase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self-nail purchas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self-nail care behavior. Self-nail purchase motivation should be studied more broadl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nd product companies or trend product development companies that show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importance, interest, interest, and attractiveness of self-nail nails to consumers. Beauty-related companies need efficient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self-nail consumers.

I. 서 론

미에 대한 개인의 표현 욕구가 증대되는 현대 사회에서 외모의 표현은 더 이상 욕구의 표출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행하고 있는 삶의 조건이 되고 있다. Heo(2015)는 미에 대한 욕구 표현은 사람들에게 신체적 또는 정신적 안정감을 증진시켜 궁극적으로 인간 삶의 질 향상을 가져와 대다수의 사람들은 미용 행위에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고 하였다. Kim(2008)은 여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망은 미용산업이 다양하게 발전하는 원동력이 되었고 기본 소재와 색채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표현 수단과 기법도 괄목할 만한 성장을 가져왔으며 이러한 사회적 여건에서 뷰티산업은 보다 더 인상적(impressive)으로 자기표현을 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그 분야가 피부미용,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 등으로 세분화되고 그 분야 또한 목적에 따라 다시 전문화되는 과정을 보이고 있어 뷰티산업의 전문화, 세분화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특히 네일산업은 다양한 뷰티 분야에서 손끝으로 보이는 아름다움의 표현인 동시에 TPO에 맞는 네일아트를 함으로 개인의 외모적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행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통계청의 2020년 서비스업 부문 통계조사 발표 결과에 의하면 2016년 전문 네일샵 사업체의 수는 10,382개에서 2019년 16,464개로 약 47% 증가하였다(KOSTAT, 2020). 전문 네일샵 시장 성장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시장조사회사 유로모니터에 의하면 2018년 Covid-19 발생 이전의 국내 셀프 네일 시장의 규모는 724억원으로 추청되었으나(Euromonitor, 2019) 최근 Covid-19로 인하여 전문 네일샵 방문이 어려워지면서 소비자들의 홈케어 비율이 높아졌으며 SNS의 발달로 시술 방법의 공유와 게시물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레 셀프네일에 관심을 가지는 이용자가 늘어나 셀프네일 시장 성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네일 미용 시장의 확장은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동기제가 부여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Heo, 2015).
동기(Motivation)란 mover로 ‘움직이다(to move)’의 의미로 인간과 동물이 어떤 목표를 향하여 행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내적 상태로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 원인을 뜻하는 것으로 인간의 욕구, 욕망, 각성을 유발하게 하는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에 작용하여 이어지게 되어 목표와 욕구로 충족하게 된다(Lee, 2001). Chang(2005)은 구매동기에 대해 문제 인식 과정에서의 욕구 발생 또는 자극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으로 구매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개인의 내적 충동 세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미용 서비스 구매동기란 소비자들이 미용 서비스를 구매하게 된 이유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셀프네일 관리 행동을 하는 사람의 셀프네일구매동기를 기분전환동기, 개성추구동기, 사회생활동기의 3가지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Bandura(1977)가 사회인지이론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어떤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필요한 행동을 조직적으로 실행하여 원하는 결과를 기대한 만큼 얻어 낼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와 신념을 자기효능감이라고 한다(Noh, 2019). 자기효능감은 주어진 과제를 자신의 능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이루어 낼 수 있다는 인식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런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상이 필요하다(Ma, 2021). Zhou(2017)는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행동과 사회 환경을 어떻게 선택하는지 예측할 수 있으며, 특정 영역에서 낮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가진 사람은 이 영역과 관련한 임무나 환경을 회피할 것이고,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가진 사람은 개인의 발전과 잠재력을 촉진할 수 있으며 목표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며 개인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목표와 포부, 성과기대, 감정지향 그리고 사회 환경 속의 장애물이나 기회에 대한 감각 등과 같은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셀프네일 구매동기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로는 Na(2017), Heo(2015) 등의 연구가 있었으나 셀프네일 구매동기와 만족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따라서 본 연구는 셀프네일 구매동기가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셀프네일 관련 뷰티 시장의 셀프네일 소비자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돕고 마케팅 전략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I. 이론적 배경

1. 셀프네일 구매동기

셀프네일은 본인 스스로 네일 케어, 인조 네일, 네일아트를 자신의 네일에 직접 시술하는 행동 일체를 말한다(Kim, 2018). 구매동기란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을 뜻하는 것으로 경제적 재화 및 서비스를 획득하고 사용하는데, 직접 관련된 소비자 개인이 원하는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데 행해지는 정신적, 물리적 모든 활동의 의사결정 과정을 뜻한다(Arora, 1993). 소비자 개인이 갖는 다양한 특성과 심리적 상태와 같은 개인적 요소, 또는 소비자를 둘러싸고 있는 시장 환경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거쳐 구체적인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데 활용된다(Kim et al., 2006).

1) 기분전환동기

Holbrook(1999)는 소비자 가치 유형 중 경험적이고 감성적 측면으로 설명되는 놀이 요소는 자신의 즐거움이라는 이익을 위해 적극적으로 찾고 즐기는 자기 지향적 경험으로, 재미를 포함하고 있다. 이 같은 경험적 측면의 관점에서 보면 소비와 참여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근본적인 동기는 경험의 즐거움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높은 패션의 완성도를 추구하는 여성들은 스타일링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신의 이미지에 어울리는 네일아트를 함으로써 기분 전환과 전체적인 통일감 있는 외모를 연출하여 정서적 자존감을 높이고 있다고 보았다(Kim & Park, 2013).

2) 개성추구동기

Dollinger(2003)은 특성 추구 욕구는 타인과의 차별성과 독창적이고 복합적이며 미적인 창작을 이해할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사회적 개성 추구로써 독특한 추구는 창의성 발현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하였다. 독특성의 추구를 통해 자신만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는 동기로 남들과는 차별화되고, 다양성을 존중하고자 하는 개성 추구 소비트렌드는 소비문화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미이다(Lee & Kim, 2009).

3) 사회생활동기

Kaiser(1990)는 인이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자신의 역할 수행 자기표현의 과정이 외모 관리라고 하였는데, 이는 자기 외모를 관리함으로써 사회활동에서 타인에게 자기 정체감을 보여주는 과정이라 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동기는 사회적 경험의 욕구, 다른 이들과의 대화, 동료로부터 인기, 지위 및 권한, 흥정의 즐거움 등을 의미한다. 사회적 경험과 다른 이들과 대화는 유사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을 만나 대화 및 사교하는 행동을 의미하고, 동료로부터 인기 준거 집단과 소속되고자 하는 욕구이며, 지위 및 권한은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존경 대상을 의미한다(Nam, 2009).

2. 자기효능감

Bandura(1977)의 사회인지이론(socialcognitivetheory)을 토대로 한 자기효능감은 어떤 문제를 자신의 능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신념이나 기대감이다. 자신감과 비슷하지만 개인적인 능력에 대한 믿음과 더욱 깊은 관련이 있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당면 과제에 대한 집중과 지속성을 통해 성취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그 결과 긍정적인 셀프 이미지(self-image)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Bandura(1995)는 자기효능감을 형성시키는 네 가지 요인으로 첫째, 실제적인 성공을 경험하는 수행성취, 둘째, 사회적 모델이 제공하는 대리경험, 셋째, 수행자로 하여금 과제를 성취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방법인 언어적 설득, 넷째, 신체 건강을 증진시키며 부정적인 정서 성향과 스트레스를 감소하는 정성적 환기를 제시하였다(Kim, 2015).

3. 만족도

Kim et al.(2012)은 고객만족이란 구매자가 어떠한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획득과 소비 경험에 대하여 느끼는 전반적, 주관적, 평가적인 반응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런 반응은 느낌이나 감정뿐 아니라 판단적 신념까지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Jeong & Park(2001)은 고객의 욕구와 기대에 부응한 결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재구매가 이루어지고, 고객의 신뢰감이 연속되는 상태 또는 자기 일의 결과가 고객의 필요와 기대를 만족시키는 상태를 고객만족이라 하였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의 소비 경험에서 만족이란 개념은 소비자의 심리적 과정의 최종상태로서 다양한 인지적, 정서적 반응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다(Ham, 2010). 최근 시장경쟁의 심화와 고객의 요구 세분화로 기업경영의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 고객만족은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Zhao & Jo, 2019).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논의를 종합하여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하는 경남지역 거주 여성을 대상으로 셀프네일구매동기와 자기효능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H1. 샐프네일구매동기는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기분전환동기는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개성추구동기는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 사회생활동기는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자기효능감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샐프네일구매동기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1. 기분전환동기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2. 개성추구동기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3. 사회생활동기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자기효능감은 샐프네일구매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4-1. 자기효능감은 기분전환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 할 것이다.
 H4-2. 자기효능감은 개성추구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 할 것이다.
 H4-3. 자기효능감은 사회생활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 할 것이다.

2. 연구모형

3.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하는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3년 7월 01일부터 7월 31일까지 31일간 오프라인 자기기입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 표본은 총 1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불성실한 설문 응답자 9부를 제외한 17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4. 측정도구의 구성

본 연구의 측정 도구의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은 명목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를 측정하였다. 문항은 총 3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5문항, 셀프네일구매동기는 Na(2017), Kim(2020)의 연구를 참고하여 기분전환동기 5문항, 개성추구동기 5문항, 사회생활동기 5문항으로 총 15문항이며, 자기효능감은 Na(2017)의 연구를 참고하여 6문항, 만족도는 Kim(2018)의 연구를 참고하여 4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5.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코딩, 데이터 클리닝의 과정을 거쳐서 SPSS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는데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셀프네일구매동기, 자기효능감, 만족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다음 Table 1은 조사대상자의 빈도분석 결과이다. 분석 결과 대상자 총 171명으로 연령은 30대 84명(49.1%)으로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20대 64명(37.4%), 40대 17명(9.9%), 50대이상 6명(3.5%) 30대가 전체의 약 50%를 차지하였다.
학력은 2-4년제 대학재학 및 졸업 84명(49.1%)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졸업 44명(37.4%), 대학원 재학 이상 17명(9.9%)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으로는 서비스업 47명(27.5%),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사무직 31명(18.1%), 무직 26명(15.2%), 전문기술직 17명(9.9%), 학생 16명(9.4%), 전업주부 16명(9.4%), 기타 12명(7.0%), 전문직 6명(3.5%)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으로는 200~300만원 미만 59명(34.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0만원 미만 37명(21.6%), 100~200만원 미만 31명(18.1%), 300~400만원 미만 23명(13.5%), 500만원 이상 13명(7.6%), 400~500만원 미만 8명(4.7%)으로 나타났으며, 결혼 여부는 미혼이 118명(69.0%), 기혼 53명(31.0%)으로 미혼이 높게 나타났다.

2. 셀프네일구매동기, 자기효능감, 만족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1) 셀프네일구매동기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독립변수인 셀프네일구매동기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검증 결과 Table 2와 같다. 셀프네일구매동기 요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Bartlett의 구형성 검사와 KMO 표본 적합도 검사를 실시 하였다. KMO의 값이 .801으로서 1에 근접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은 요인분석에 적합하다. 15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셀프네일구매동기의 하위 요인을 ‘기분전환동기’, ‘개성추구동기’, ‘사회생활동기’로 명명하였다. 총 3개의 요인 적재값이 ±0.50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요인의 신뢰도 분석 결과 Cronbach's α값이 .60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개성추구동기’이 .796, ‘사회생활동기’이 .665, ‘기분전환동기’이 .644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2) 자기효능감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검증 결과 Table 3과 같다. 자기효능감 요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Bartlett의 구형성 검사와 KMO 표본 적합도 검사를 실시 하였다. KMO의 값이 .903으로서 1에 근접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다. 6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총 1개의 요인 적재 값이 ±0.50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값이 .60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911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3) 만족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종속변수인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검증 결과 Table 4와 같다. 만족도 요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Bartlett의 구형성 검사와 KMO 표본 적합도 검사를 실시했다. KMO의 값이 .787으로서 1에 근접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다. 6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총 1개의 요인 적재 값이 ±0.50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값이 .60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다고 보고 .878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3. 각 요인들의 상관관계 검증

본 연구의 셀프네일구매동기, 자기효능감, 만족도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에 앞서 각 구성개념 간의 상관성과 방향성의 파악을 위해 피어슨(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셀프네일구매동기의 하위요인별 개성추구동기(r=.533, p<.01), 사회생활동기(r=.490, p<.01), 기분전환동기(r=533, p<.01)은 자기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네일구매동기의 하위요인별 개성추구동기(r=.521, p<.01), 사회생활동기(r=.599, p<.01), 기분전환동기(r=419, p<.01)는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r=685, p<.01)은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셀프네일구매동기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셀프네일구매동기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의 검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설명력(R2)은 38.3%로 나타났으며, F=34.484(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 사회생활동기(β=.346, p<.001), 개성 추구동기(β=.281, p<.001), 기분전환동기(β=.169, p<.05) 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네일구매동기의 하부요인인 사회생활동기의 영향력이 개성추구동기와 기분전환동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에 있어 셀프네일구매동기의 하위 요인별 사회생활동기, 개성추구동기, 기분전환동기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셀프네일 구매자의 구매동기는 직업의 특성을 고려하거나, 타인에게 호감이나 주목을 받고 싶은 욕구와 본인만의 개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하나뿐인 네일아트를 하고, 차별화된 스타일을 표현하려는데 동기가 크다는 걸 알 수 있다. 또한 셀프네일을 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풀리고, 하는 동안 재미를 느끼면서 기분전환이 되면서, 셀프네일에 대한 다양한 시술법과 재료들을 사용하면서 배우고 적응해 나가면서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Na(2017)의 연구에서 셀프네일의 소비동기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검증에서 기분 전환동기와 개성추구동기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어 본 연구를 지지해 주고 있으며, Kim(2016)의 연구 결과에서 경제 침체로 인한 위축된 소비 환경에서 삶의 의욕을 가지고 힘든 일상에서의 기분전환과 즐거움을 갖게 되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향상과 정서변화에 자신감 증대로 삶의 활력소가 될 수 있는 결과와 부합된다.

5. 자기효능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의 검증결과는 Table 7과 같다. 설명력(R2)은 47.0%로 나타났으며, F=149.606(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자기효능감(β=.686, p<.001)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셀프네일을 하는 사람의 자기효능감이 높을 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셀프네일에 대한 정보(시술법, 재료 등)에 대해 많이 알고, 네일 시술법에 따른 네일 재료 사용을 적절하게 적용시킬수 있으며, 내가 의도하는 셀프네일 디자인이 나오지 않더라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완성해 내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셀프네일을 하면서 네일케어(길이 정리, 큐티클 및 거스러미 제거 등)와 네일아트(프렌치, 그라데이션 등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셀프네일 관리법을 배우고 적응해 나가는데 별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하는 사람은 당면 과제에 대한 집중력과 자신감, 지속성을 통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해석된다. Choi(2023)의 무용전공 필라테스 지도를 받는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자기효능감의 신체적 자기표현과 자신감이 높은 사람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Ha(2011)의 연구에서도 네일관리를 받을수록 외모 자신감이 향상되고 아름다움의 추구와 변화의 과정에서 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지속적으로 이용하려는 결과와 본 연구를 지지해준다.

6. 셀프네일구매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셀프네일구매동기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의 검증결과는 Table 8과 같다. 설명력(R2)은 45.7%로 나타났으며, F=46.820(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독립변수별로 사회생활동기(β=.454, p<.001), 개성추구동기(β=.257, p<.001), 기분전환동기(β=.142, p<.05)순으로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네일구매동기에 사회생활동기, 개성추구동기, 기분전환동기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사회생활동기는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하는 구매자가 셀프네일을 하고 난 후 SNS에 게시물을 올리기 위해, 이벤트나 행사를 위해, 타인에게 호감이나 주목을 받기 위해서 사회적인 이미지 만족을 위한 사회생활동기가 부여되며, 셀프네일로 본인의 개성을 표출하고 하나뿐인 자신만의 새롭고 차별화된 스타일을 나타냄으로써 나만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싶은 본인 가치 만족을 위한 개성추구동기가 부여되고, 셀프네일을 하는 동안 재미와 기분전환, 여가 시간 활용, 스트레스 해소로 셀프네일 경험을 즐기는 심리적 만족을 위한 기분전환동기가 부여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셀프네일구매동기의 영향으로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하는 소비자의 미적 욕구와 구매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 셀프네일 시술에 대한 만족도가 자연스레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Yeon(2016)의 연구에서 젤네일 홈케어 제품을 사용하는 20-50대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비용 절감과 시간의 편리성에서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와 Kim(2016)의 연구에서 패션제품 소비자는 DIY 행동을 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일상에서 벗어난 활동 자체로 즐거움을 느끼며 기분 전환을 하고 싶어 할수록 패션제품 DIY를 지속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연구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7. 자기효능감이 셀프네일구매동기와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

자기효능감은 셀프네일구매동기의 하부요인인 개성추구동기와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 할 것이라는 가설 4-1의 검증결과는 Table 9와 같다.
먼저 1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개성추구동기는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고(β=.484, p<.001), 2단계 매개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개성추구동기는 종속변수인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β=.486, p<.001).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종속변수인 만족도에 대해 독립변수인 개성추구동기의 회귀계수가 2단계보다 감소하면서 여전히 유의미하였고(β=.486, p<.001 →β=.202, p<.001),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β=.588, p<.001)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자기효능감은 개성추구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셀프네일구매동기의 하부요인인 사회생활동기와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 할 것이라는 가설 4-2의 검증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먼저 1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생활동기는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고(β=.509, p<.001), 2단계 매개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생활동기는 종속변수인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β=.599, p<.001).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종속변수인 만족도에 대해 독립변수인 사회생활동기의 회귀계수가 2단계보다 감소하면서 여전히 유의미하였고(β=.599, p<.001 → β=.338, p<.001),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β=.513, p<.001)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자기효능감은 사회생활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셀프네일구매동기의 하부요인인 기분전환동기와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 할 것이라는 가설 4-3의 검증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먼저 1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기분전환동기는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고(β=.418, p<.001), 2단계 매개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기분전환동기는 종속변수인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β=.419, p<.001).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종속변수인 만족도에 대해 독립변수인 기분전환동기의 회귀계수가 2단계보다 감소하면서 여전히 유의미하였고(β=.419, p<.001 → β=.161, p<.001),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β=.618, p<.001)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자기효능감은 기분전환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의 4-1, 4-2, 4-3 결과에서 자기효능감은 셀프네일구매동기와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셀프네일을 하는 동안 재미를 느끼고 셀프네일 경험을 즐기며 스트레스 해소를 하고, 기분전환을 위해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하는 사람은 셀프네일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는 도전 의식과 확신이 주는 자기효능감 향상이 본인의 노력을 더 강력하게 지속시키며 스스로 부정적인 심리상태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자기효능감은 기분전환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셀프네일로 개성을 표출하며 나만의 이미지 표현을 위해 새롭고 차별화된 스타일을 표현하면서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하는 사람은 독특성과 다양성에서 오는 개인의 미적 욕구 충족과 더불어 자아실현을 통해 가지게 되는 성취감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자기효능감은 개성추구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타인에게 호감이나 주목을 받기 위해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하고 셀프네일을 하고 난 후 SNS에 게시물을 올리며 이벤트나 특별한 행사를 위해, 직업의 특성이나 성공적인 사회활동을 위해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하는 사람은 이러한 셀프네일을 하며 보이는 활동 성과를 드러내며 자신감이 부여되고 우호적인 사회활동의 유지와 타인의 존재가 개인의 성과에 미치는 현상인 사회적 촉진 효과까지 나타낼 수 있게 함으로써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자기효능감은 사회생활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Lee(2011)의 재즈댄스 참여자의 내적, 외적 동기가 자기효능감의 매개로 한 연구와 Na(2017)의 연구에서 셀프네일을 소비자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서 본인의 셀프네일 시술에 대한 능력을 높게 인지할수록 만족도의 영향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자기효능감을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본 연구를 지지해 준다.

V. 결 론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셀프네일 관리행동을 하는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3년 7월 01일부터 7월 31일까지 31일간 오프라인 자기기입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표본은 총 1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설문 내용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자 9부를 제외한 17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셀프네일 구매동기, 자기효능감, 만족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가설의 검증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연령은 30대가 가장 많았고 학력은 2-4년제 대학재학 및 졸업, 직업의 경우 서비스업, 월 평균 소득의 경우 200~300만원 미만, 결혼 여부의 경우 미혼이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네일구매동기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생활동기, 개성추구동기, 기분전환동기 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만족도에 있어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이며 셀프네일을 하는 사람의 자기효능감이 높을 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셀프네일 구매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생활동기, 개성추구동기, 기분전환동기 순으로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의 셀프네일구매동기와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은 개성추기동기, 사회생활동기, 기분전환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은 셀프네일구매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살펴볼 때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셀프네일 구매동기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셀프네일의 지속 여부나 시술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셀프네일 구매동기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선행논문은 많이 찾아볼 수 있지만, 셀프네일 구매동기와 만족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셀프네일 구매동기가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셀프네일 관련 뷰티 시장의 셀프네일 소비자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마케팅 전략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사회생활동기는 만족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아 단순히 재미와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로만 셀프네일 경험을 즐기는 것을 넘어 사회적인 이미지 만족을 위해 셀프네일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셀프네일 구매동기와 만족도의 상호관계를 바탕으로 셀프네일 소비자들이 원하는 니즈에 맞추어 상품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진다면 이를 통한 셀프네일 소비자의 만족도와 관심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20대~5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것에는 다소 제한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성별, 연령을 확대하여 일반적 특성의 범위를 좀 더 세분화시켜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구매행동를 일으키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분전환동기, 개성추구동기, 사회생활동기에만 한정하여 연구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셀프네일 소비자의 구매동기의 하위요인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셀프네일 관리 행동을 하는 사람들의 만족도와 구매동기의 상호관계를 더욱 심도 있게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ig. 1.
Models of research
JKSC-2024-30-2-397f1.jpg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171)
Item Classification N %
Age 20s 64 37.4
30s 84 49.1
40s 17 9.9
Over 50s 6 3.5
Education Graduated from high school 44 37.4
Attending and graduating from a 2-4 year university 84 49.1
Graduate school or higher 17 9.9
Job inoccupation 26 15.2
student 16 9.4
housewife 16 9.4
office job 31 18.1
service industry 47 27.5
professional technical position 17 9.9
professional 6 3.5
etc 12 7.0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37 21.6
Less than 1 million to 2 million won 31 18.1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59 34.5
Less than 3 to 4 million won 23 13.5
Less than 4 to 5 million won 8 4.7
More than 5 million won 13 7.6
Marital Status single 118 69.0
married 53 31.0
Total 171 100
Table 2.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elf-nail Purchase Motivation
Item Factor Analysis
Pursuit of individuality Social Life diversion
I want to do one-of-a-kind nail art by doing my own nails. .827 .126 .002
I want to do essential nail art by doing my own nails. .804 -.025 .168
I want to express my own image with self-nails. .801 .311 .064
I want to express a new and differentiated style with self-nails. .722 .241 .188
I want to express my individuality through self-nails. .630 .074 .345
Due to the nature of my job, I do my own nails. .097 .823 -.052
I do it because I want to be liked or noticed by others. .275 .665 .137
I do my own nails for successful social activities. -.078 .634 .389
I do my own nails for events. .161 .574 .064
I want to enjoy the self-nail experience. .030 -.050 .866
For me, doing self-nails is a way to relieve stress. .265 .153 .717
I have fun while doing my own nails. .273 .286 .552
KMO .801
EigenValue 3.154 2.135 1.931
Variance (%) 26.287 17.792 16.093
Reliability(Cronbach’s alpha) .796 .665 .644
Table 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elf-efficacy
Item Factor Analysis
I know a lot about self-nai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materials, etc.). .876
I can appropriately apply the use of nail materials according to nail treatment methods. .866
Even if the self-nail design I intended doesn't come out, I tend to complete it without giving up until the end. .858
I don't think there will be any problems learning and adapting to new self-nail care methods. .813
I think my level of self-nail technique is not inferior to that of people who do not do their own nails. .810
I tend to try to learn new trendy nail styles. .767
KMO .903
EigenValue 4.159
Variance (%) 69.309
Reliability(Cronbach’s alpha) .911
Table 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atisfaction
Item Factor Analysis
I am satisfied with the durability and completeness of self-nail polish. .873
I tend to be satisfied with self-nail art (various designs such as French, gradient, etc.). .865
I am satisfied with nail care through self-manicure (lengthening, removing cuticles and hangnails, etc.). .765
I will continue to do my own nails. .747
KMO .787
EigenValue 2.655
Variance (%) 66.371
Reliability(Cronbach’s alpha) .878
Table 5.
Verification of Correlations
Classification Self-nail purchase motivation
self-efficacy satisfaction
Pursuit of individuality Social Life diversion
Pursuit of individuality 1
Social Life .535** 1
diversion .457** .359** 1
self-efficacy .533** .490** .522** 1
satisfaction .521** .599** .419** .685** 1

* p<.05,

** p<.01,

*** p<.001

Table 6.
Effect of self-nail purchase motivation on self-efficacy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tandard Error β Tolerance VIF
self-efficacy (Constant) .342 .308 1.110 .269
Pursuit of individuality .272 .068 .281 4.028*** .001 .755 2.324
Social Life .400 .078 .346 5.141** .001 .818 1.222
diversion .204 .084 .169 2.491* .017 .759 1.317
R²=.383, adj R²=.371 F=34.484 p=.001

* p<.05,

** p<.01,

*** p<.001

Table 7.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tandard Error β
satisfaction (Constant) 1.183 .168 7.037 .001
self-efficacy .621 .051 .686 12.231*** .001
R²=.470, adj R²=.466 F=149.606 p=.001

* p<.05,

** p<.01,

*** p<.001

Table 8.
Effect of Self-nail Purchase Motivation on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Collinearity Statistics
B Standard Error β Tolerance VIF
satisfaction (Constant) .408 .262 1.560 .121
Pursuit of individuality .225 .057 .257 3.919** .001 .755 1.324
Social Life .477 .066 .454 7.206*** .001 .818 1.222
diversion .155 .072 .142 2.172* .031 .759 1.317
R²=.457, adj R²=.447 F=46.820 p=.001

* p<.05,

** p<.01,

*** p<.001

Table 9.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ty Pursui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Step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tandard Error β
1 self-efficacy (Constant) 1.725 .213 8.118 .001
Pursuit of individuality .466 .065 .484 7.168*** .001
R²=.233, Adj.R²=.229, F-value=51.373***, p=.001
2 satisfaction (Constant) 1.830 .192 9.528 .001
Pursuit of individuality .425 .059 .486 7.231*** .001
R²=.236, Adj.R²=.232, F-value=52.281***, p=.001
3 satisfaction (Constant) .912 .184 4.968 .001
Pursuit of individuality .177 .054 .202 3.252*** .001
self-efficacy .532 .056 .588 9.440*** .001
R²=.501, Adj.R²=.495, F-value=84.330***, p=.001

* p<.05,

** p<.01,

*** p<.001

Table 10.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otivation and Satisfaction.
Step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tandard Error β
1 self-efficacy (Constant) 1.357 .245 5.539 .001
Social Life .590 .077 .509 7.689*** .001
R²=.259, Adj.R²=.255, F-value=59.118***, p=.001
2 satisfaction (Constant) 1.213 .206 5.877 .001
Social Life .629 .065 .599 9.731*** .001
R²=.359, Adj.R²=.355, F-value=94.694***, p=.001
3 satisfaction (Constant) .582 .188 3.102 .002
Social Life .355 .063 .338 5.648*** .001
self-efficacy .465 .054 .513 8.575*** .001
R²=.554, Adj.R²=.549, F-value=104.428***, p=.001

* p<.05,

** p<.01,

*** p<.001

Table 11.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Step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tandard Error β
1 self-efficacy (Constant) 1.323 .318 4.162 .001
diversion .504 .084 .418 5.975*** .001
R²=.174, Adj.R²=.170, F-value=35.696***, p=.001
2 satisfaction (Constant) 1.469 .288 5.106 .001
diversion .458 .076 .419 5.999*** .001
R²=.176, Adj.R²=.171, F-value=35.994***, p=.001
3 satisfaction (Constant) .728 .238 3.060 .003
diversion .176 .066 .161 2.657 .009
self-efficacy .560 .055 .618 10.202*** .001
R²=.491, Adj.R²=.485, F-value=81.012***, p=.001

References

Arora, R. (1993). Consumer involvementin service decision. Journal of Professiona Service Arketing, 9(1), 49.
In: BanduraA., (1995). editors.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10.1017/CBO9780511527692.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oward aunifying theory of ehavioral change. Psychology Review, 84(2), 191-215.
Chang, Y. Y., & Park, E. J. (2005). Effects of Purchasing Motives on Information Seeking in Beauty Services.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15(1), 703-725.
Choi, Y. W. (2023). The Impact of the Expertise of Pilates instructors with a Dance Major on Participants' Physical Self-efficacy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Official Journal of the Koeran Society of Dance Science, 40(2), 45-60.
Dollinger, S. J. (2003). Need for Uniqueness,Need for Cognition, and Creativit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7(2), 99-116.
crossref
Euromonitor (2019). Colour Cosmetics in South Korea (Data search date: 2023.08.10.). https://www.euromonitor.com.
Ha, J. Y. (2011). The effect of nail care that has on the str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married career women.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31-33.
Ham, J. S. (2010).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Beauty Art.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Gyeonggi, 13.
Heo, E. J. (2015). Study on Purchasing Motivation of Nail Service.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2.
Holbrook. (1999). Consumer value: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research New York, Routledge.
Jeong, Y. G., & Park, J. K. (2001).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purchase.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6(2), 85-125.
Kaiser, S..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2nd edn. Macmillan, New York; USA, p.264-277.
Kim, C. Y. (2016). The Effect of Nail Therapy Service on Emotional Change and Self-Esteem of Customers.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Gyeonggi, 57.
Kim, J. H., Lee, H. Y., & Baek, M. Y. (2012). Relational Benefit of Hotel Service on Customer Satisfaction, Switching Intention and Retention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27(4), 117-139.
Kim, J. Y. (2016). Effects of fashion DIY(do-it-yourself) motivations on behavioral intention.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35-37.
Kim, H. R. (2015). The Effect of Internal Marketing Factors on Self-Efficacy and Customer Orientation : Focused on engineering company.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7.
Kim, K. H., & Kim, J. D. (2008). Wareness of Nail Care and Satisfaction Level with Quality of Nail-Shop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 Beauty, 6(1), 1-15.
Kim, K. O., Yoo, H. J., & Nam, S. J. (2006). Development of a Purchase Motivation Scal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24(1), 71-82.
Kim, T. H., & Park, S. H. (2013). A Study of Nail Care Behavior by Personality Type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4(2), 73-90.
Kim, M. A. (2018). Comparative Study of Consumption Motivation for Self-Nail care and Professional Nail care.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4.
Kim, Y. M. (2020). Study on Consumption Motivation and Management Behaviors of Self-nail Consumers: Focused on women in their 20s, 30s, and 40s.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Anyang, 87-94.
KOSTAT (2020). National Statistical Portal (Data search date: 2023.08.10.). http://kosis.kr.
Lee, E. K., & Kim, S. M. (2009). A Study on the DIY Wallpaper, Influenced by the Consumer Trend in Pursuit of Individual Charac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5(1), 259-269.
Lee, H. S. (2011). Relation Amo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Continuous Participating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0(5), 309-323.
Lee, Y. C. (2001). A Study on The Motive factor of The Sport Event Tourist.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25.
Ma, C. J. (2021). The Effects of Emotional Market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Beauty Worker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lf-efficacy as Mediating Effect-. Doctoral dissertation, Asia Life University, Daejeon, 20.
Nam, B. Y. (2009).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nsumption Motive and Selection Attribute of Alcohol on Their Satisfaction.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25.
Na, S. Y. (2017).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Self-Nail Consumer’ Consumption Motivation, Self-Efficacy, Nail Involvement, and Continuance Intention.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82-87.
Noh, Y. J. (2019). The Effect of Beauty Consumption Behavior on Self-Efficacy and Appearance Satisfaction in Korean Males.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11.
Yeon, J. S. (2016). Study on Usage and Satisfaction of Customers of Gel Nail Home Care Product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73-74.
Zhao, Y., & Jo, D. H. (2019). The Effects of Customer Equ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21(3), 1-20, doi: 10.34183/KCSMA.21.3.1
crossref
Zhou, J. (2017).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5.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