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6); 2023 > Article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 전략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is preferred among the sales promotion strategies of franchise beauty salon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preferred sales promotion strategies on customer loyalty. For this study, 285 copies of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or older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lculated Cronbach's α coefficient using SPSS 25.0 V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rice discounts and coupons were the most prefer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event promotions and free gifts were the lowest. As sales promotions affect customer loyalty, the preference for coupons and customer reward program event promotions is found to have a high impact on affinity, and it is judged to be the use of coupon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and affinity. According to this study, active use of price discounts and coupons that affect preference will help attract new customers and lead existing customers to loyal customers by using coupons and customer compensation programs that affect preference.

I. 서 론

최근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미용실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업체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Lee, 2017). 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에 따르면 미용실은 2020년 9월 기준으로 전국에 약 11만개 사업장이 영업 중으로 최근 10년간 미용실 수는 약 28% 증가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신설된 미용실 수만큼 폐업점수 또한 많은데 자료에 의하면 2010년부터 10년간 폐업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창업이 폐업보다 많았던 해는 2014년으로 약 1.6배 많았으며, 10년간 평균적으로는 폐업률이 1.4배 높았다고 한다. 이처럼 폐업이 증가한다는 것은 미용업이 타업종 대비 대표적인 공급과잉 업종으로 동업종 내 경쟁이 심각하여 쉽게 진입하기 어려운 것이 주 원인이라고 밝혔다. 2019년 1월부터 9월까지 창업한 미용실은 6,610개였으나, 2020년 1월부터 9월까지 창업한 미용실은 전년 대비 15.6% 감소한 5,577개를 기록하여 코로나19의 영향을 받던 시기로 미용실의 창업수가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폐업의 경우 2019년 1월부터 9월까지 4,809개의 미용실이 폐업을 했고, 2020년 1월부터 9월까지 3,947개의 미용실이 폐업하였다. 폐업이 감소한 이유는 타 업종 대비 적은 고정비 지출로 코로나19가 폐업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지는 않는 상황이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 될 경우 미용실의 폐업 수가 증가할 리스크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미용실은 대체 수단이 없기 때문에 확진자의 감소 또는 코로나 종식 이후 매출은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 중 프랜차이즈 미용실은 2015년 기준 3,758개 2016년 기준 3,932개, 2017년 기준 4,438개, 2018년 기준 4,697개로 꾸준히 증가하는 성장세를 보였으며 2019년 기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인해 3,895개로 주춤하였지만 전체 미용실의 약 3.7%를 차지하며 연 평균 매출은 3.1억원을 기록하여 프랜차이즈 사업장이 지속적으로 확대 및 성장할 전망으로 보고 있다(Oh, 2020). 프랜차이즈 성장의 이유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Yang & Choi(2018)의 연구에서는 과거 대부분의 미용실창업은 미용 서비스 경험을 쌓은 뒤 본인의 사업장을 내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미용실창업은 프랜차이즈 본부의 경영 지도 및 인적, 물적 지원과 브랜드 인지도를 활용한 우수 인력확보 등을 바탕으로 창업 대신 회사의 시스템 안에서 경험을 쌓고 성장하려는 분위기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았다. Ji et al.(2009)의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이 새로운 아이디어나 사업경험을 바탕으로 이미 시장에서 검증되어진 사업시스템을 운영하기 때문에 사업실패를 줄일 뿐 아니라 통일된 상호를 사용함으로써 고객에게 동일한 브랜드 가치를 제공하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프랜차이즈 미용실은 도입 이래 지속적으로 전개한 내부조직의 정비와 강한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급성장하여 다변화된 미용시장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전문 경영인을 영입하여 경영 및 조직관리 시스템을 정비하고 종업원 교육시스템을 통해 인력관리 체계화 등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아가고 있다(Oh, 2009). 이러한 상황으로 최근 프랜차이즈 미용실은 양적인 급성장으로 인해 과다경쟁과 미용경영환경의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 체계적인 경영 및 고객만족에 중심을 둔 마케팅 전략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Kim, 2012). 현재 마케팅 전략 중 가장 대두되고 있는 마케팅 수단은 판매촉진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20). 판매촉진은 소비자 외에 구체적인 목표물에 대한 촉진방법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충성스러운 고객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고 또한 상습구매자들의 재구매율을 높여줄 수 있어 판매촉진의 비중이 상승되고 있다(Kim, 2002). 프랜차이즈 미용실은 차별화된 전략 개발을 하기 위해 보다 순발력 있는 마케팅 대응책이 필요하고, 가격뿐 아니라 프랜차이즈만의 가치에 영향을 주는 다양하고 집중적인 마케팅과 쌍방 커뮤니케이션의 성격을 지닌 판매촉진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Kim, 2020).
판매촉진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판매촉진 중요성에 대해 Han & Ko(2007)의 연구결과 판매촉진수단으로 태도를 형성하고 브랜드 흥미를 느끼며 이를 통해 브랜드태도가 형성되어 구매의사가 생기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19)의 연구결과 금전적 판매촉진, 비금전적 판매촉진은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격할인, 기념품제공, 경품응모 등 다양한 판매촉진으로 인해 소비자의 흥미와 관심을 끌어내 브랜드와 애착까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Jeon & Ha(2010)의 연구결과 판매촉진 경험은 가격공정성, 브랜드가치, 브랜드 애호도에 부분적으로,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판매촉진의 만족도과 신뢰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실행되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 전략이 고객들에게 미치는 만족도와 신뢰도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미용실을 방문하고 있는 고객별로 선호도와 애호도에 대한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먼저 프랜차이즈 미용실 이용 고객의 판매촉진 선호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기대를 예측하고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프랜차이즈 미용실

프랜차이즈(Franchise)의 기원은 프랑스어 Franc와 Francher의 합성어로 ‘자유를 준다’ 라는 의미를 지닌다(Kim, 2011). 사전적 의미로는 상호, 특허 상표, 기술 등을 보유한 제조업자나 판매업자가 소매점과 계약을 통해 상표의 사용권, 제품의 판매권, 기술 등을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시스템이다(naver.com 지식백과). 국제 프랜차이즈 협회에 의하면 프랜차이즈란 어느 하나의 조직이 일정지역의 다른 조직에 대해 자기의 상호나 상표 등 영업을 사칭하는 표지를 사용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기타영업을 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영업에 대한 일정한 지시, 통제를 하는 한편, 선택적으로 그 영업에 대한 노하우를 제공하거나 상품을 공급하고 이에 대해 체인 가맹점인 프랜차이즈는 프랜차이저에게 대가로서 가맹비나 보증금 또는 로열티나 제품대금을 지급하는 지속적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말한다(Joo & Sim, 2013).
프렌차이즈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으로 공동구매, 공동 마케팅, 공동 관리 등을 들 수 있으며, 업주의 입장에서 보는 관점으로 적은 비용으로 큰 홍보, 저렴하게 물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는 점과 종업원들의 입장에서는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통일된 매뉴얼, 고객의 인지도 상승,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일 것이다. 또한 상표인지도나 운영시스템, 자원서비스는 프랜차이즈 사업의 체인본부와 가맹점주의 상호 동반자적인 관계에서 본인들의 목표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해주는 성공요소가 될 것이다(Choi, 2018). 국내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본격적인 시작은 1992년도 자끄데상쥬의 설립부터이다. 당시 자끄데상쥬는 전국 미용인을 대상으로 가맹점을 모집하여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기반을 만들었고, 전문화된 인성교육 및 기술교육 프로그램으로 국내 프랜차이즈 미용실로 꾸준한 발전을 하고 있다(Lee, 2013).

2. 판매촉진

마케팅에서 판매촉진이란 촉진의 한 부분으로, 촉진(promotion)은 고객들에게 자사의 제품을 알리고 판매로 이어지게 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 광고, Public Relations(PR), 판매촉진, 판매원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촉진의 한 부분인 판매촉진은 단기간에 고객을 상대로 구매나 방문을 유도하기 위해 빠른 반응을 일으키게 할 활동이며, 고객들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위한 기업 중심의 마케팅 수단이다(Park, 2008).
판매촉진 유형은 목표 대상에 따라 크게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비자 판매촉진과 중간상을 대상으로 하는 중간상 판매촉진과 회사의 자체 판매원을 대상으로 하는 판매원 판촉으로 나뉘는데 본 연구에서는 판매촉진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 반응을 알아보는 소비자 판매촉진으로 한정시켜 알아보고자 한다(Han, 2011). 판매촉진 유형으로는 가격관련 여부에 따라 가격관련 촉진과 비가격관련 촉진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가격관련 판매촉진으로는 쿠폰, 현금환불(rebates), 가격할인 등이 있고 비가격관련 판매촉진으로는 견본/무료시용(sample), 상품, 경품(premium), 콘테스트/시연, 복권(sweep-stakes), 게임, 고객보상/거래스템프, 제품/품질 보증, 전시 및 실연 등이 있다(Hwang, 2015).
Kim(2020)의 연구에서는 미용실 판매촉진으로 오락, 보너스팩, 구전, 가격할인, 적립, 이벤트로 구분해서 보았고, Lee(2004)의 연구에서는 화장품 판매촉진으로 마일리지, 디스플레이, 사은품, 샘풀 및 쿠폰, 경품, 이벤트 쇼로 구분해서 보았다. Jeon(2013)의 연구에서는 미용서비스상품 판매촉진으로 가격할인, 쿠폰, 사은품증정, 포인트적립, 프리미엄카드로 구분해서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용실특성에 맞는 판매촉진 전략으로서 가격관련 촉진은 가격할인, 쿠폰, 마일리지 적립, 비가격관련 촉진은 이벤트프로모션, 사은품 증정 5가지로 구분하였다.

3. 애호도

애호도란 선호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구매하거나 이용하게 만드는 해당 브랜드에 대한 깊은 몰입으로 정의할 수 있다. 원어로 Consumer loyalty는 고객 애호도 또는 충성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학자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Sun(2001)은 여러학자들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고객 애호도의 개념을 정리하였는데 그의 자료에 따르면 Backman and Crompton(1991)은 고객 애호도를 심리적 애착과 행동적인 일관성으로 정의하였고, Dick and Basu(1994)는 기업과 재방문 애호고객에 대한 개별적인 관계태도들 사이에 형성된 기업과 고객과의 관계에 대한 강도로 정의하였다. Evans and Laskin(1994), Henning-Thurau and Klee(1997), Reynolds and Beatty(1999)는 높은 수준의 고객과의 관계를 위해 이용고객에 대한 편익제공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Fournier and Yao(1997)은 심리적, 행동적 구성요소들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다양한 면이라고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애호도는 Sun이 제시한 정의 중 Dick and Basu (1994)의 기업과 재방문 애호고객에 대한 강도의 개념을 따라 프랜차이즈와 프랜차이즈를 방문하는 고객 간의 관계에 대한 정도로 우선적 고려, 지속적 이용의도, 추천 의사, 긍정적 평가, 미용실 선호도를 고객 애호도라고 구분하였으며 이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의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과 고객 애호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셋째,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과 고객 애호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절차

본 연구는 목적에 따른 실증 조사를 위해 판매촉진 경험이 있는 광주 지역의 20대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실시 후 문항의 어휘와 질문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조사는 2023년 08월 11일부터 2023년 08월 24일 까지 모바일 설문지를 총 285부가 분석 자료에 사용되었다.

3.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작성된 설문지는 판매촉진 유형에 관해서는 Choi(2011), Kim(2020)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였으며, 미용실 애호도에 관해서는 Kim(2012), Byeon(2011)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설문 문항은 크게 3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판매촉진 유형 15문항, 미용실 애호도 5문항, 일반적 특성 6문항, 총 26문항으로 Table 1과 같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5.0 Ver.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과 고객 애호도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성 141명(49.5%), 여성 144명(50.5%)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54명(18.9%), 30대 91명(31.9%), 40대 88명(30.9%), 50대 이상 52명(18.2%)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고졸 45명(15.8%), 전문대 졸업 42명(14.7%), 4년제 대학교 졸업 170명(59.6%), 대학원 졸업 28명(9.8%)으로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기혼 163명(57.2%), 미혼 122명(42.8%)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사무직 113명(39.6%), 전문직 44명(15.4%), 주부 34명(11.9%), 판매/서비스직 25명(8.8%), 사업가 18명(6.3%), 학생 17명(6.0%) 순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 소득은 100만원 미만 42명(14.7%), 100-200만원 미만 20명(7.0%), 200-300만원 미만 103명(36.1%), 300-350만원 미만 48명(16.8%), 350만원 이상 72명(25.3%)으로 나타났다.

2.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판매촉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판매촉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 값은 0.851로 요인분석에 가능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으며, Bartlett 검증결과 2879.903(df=105, p=0.000)로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총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총 5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81.740%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이벤트프로모션 선호’가 17.243%, ‘쿠폰 선호’가 16.980%, ‘고객보상프로그램 선호’가 16.633%, ‘가격할인 선호’가 15.876%, ‘사은품증정 선호’가 15.009%로 나타났다. 이 5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는 0.835~0.915로 나타나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고객 애호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고객 애호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KMO 값은 0.867로 요인분석에 가능한 표본으로 적합한 결과를 보였으며, Bartlett 검증결과 635.918(df=10, p=0.000)로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냈다.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총 1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총 1개 요인의 누적분산설명력은 65.446%로 나타났고, 각 하위요인별 ‘고객애호도’가 65.446%로 나타났다. 이 1개 요인의 요인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서 구성개념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신뢰도는 0.867로 나타나 0.60 이상으로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기술통계적 분석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과 고객 애호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5 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판매촉진은 전체 평균 2.95점, 하위요인별 ‘가격할인 선호’가 평균 3.36점, ‘쿠폰 선호’가 평균 3.28점, ‘고객보상프로그램 선호’가 평균 2.88점, ‘사은품증정 선호’가 평균 2.83점, ‘이벤트프로모션 선호’가 평균 2.41점 순으로 나타났고, 고객 애호도는 평균 3.34점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판매촉진의 하위요인별 가격할인 선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할인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판매촉진과 하위요인별 쿠폰 선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졸에 비해 전문대 졸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판매촉진과 하위요인별 쿠폰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판매촉진의 하위요인별 이벤트프로모션 선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100만원 미만에 비해 100-200만원 미만이나 300-350만원 미만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벤트프로모션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애호도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100만원 미만이나 100-200만원 미만에 비해 300-350만원 미만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객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는 Gong(2012)의 연구와 같이 여성이 남성보다 판매촉진 중 가격할인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소득에 따른 판매촉진유형 선호도를 분석결과, 이벤트 판매촉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Yoon(2008)의 연구와 같이 대학졸업의 경우 쿠폰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hoi(2011)의 연구와 같이 판매촉진이 용수단 중 가격할인과 쿠폰이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치부가형 판매촉진에 비해 가격할인형 판매촉진이 고객만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했다.
선행연구와 같이 본 연구에서 성별은 가격에 대한 차이를, 학력은 쿠폰에 대한 차이, 소득은 이벤트프로그램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상관관계 검증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과 고객 애호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판매촉진의 하위요인별 가격할인 선호(r=.207, p<.001), 쿠폰 선호(r=.306, p<.001), 사은품증정 선호(r=.188, p<.01), 고객보상프로그램 선호(r=.296, p<.001), 이벤트프로모션 선호(r=.252, p<.001)는 고객애호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먼저 공선성 통계량으로 공차한계는 0.10 이상, 분산팽창지수(VIF)는 10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5.0%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9.835, p<.001). 독립변수별로는 쿠폰 선호(β=.215, p<.01), 고객보상프로그램 선호(β=.177, p<.01), 이벤트프로모션 선호(β=.138, p<.05)가 고객 애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 애호도에 있어서는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 중 쿠폰 선호, 고객보상프로그램 선호, 이벤트프로모션 선호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Lee(2008)의 연구에서 고객보상프로그램과 이벤트프로모션이 얻게 되는 경제적 이익보다는 지속적 관계를 유지해서 특정 점포에 대한 애호도가 형성된다는 결과를 지지했다.

V. 결 론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 전략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대상자에 따라 각각 판매촉진 전략 중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 조사하고 선호하는 판매촉진 전략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 전략이 애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기 위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과 고객 애호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전체적으로 볼 때, 가격할인 선호가 평균 3.3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쿠폰선호가 평균 3.28점, 고객보상프로그램 선호가 평균 2.88점, 사은품증정 선호가 평균 2.83점, 이벤트프로모션 선호가 평균 2.41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격혜택적인 판매촉진인 가격할인, 쿠폰, 고객보상프로그램이 비가격혜택적인 판매촉진인 사은품증정, 이벤트프로모션보다 선호도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판매촉진의 하위요인별 가격할인 선호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라서는 쿠폰 선호에 대해 유위한 차이가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이벤트프로모션 선호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이 외에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 고객애호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판매촉진의 하위요인별 가격할인 선호(r=.207, p<.001), 쿠폰 선호(r=.306, p<.001), 사은품증정 선호(r=.188, p<.01), 고객보상프로그램 선호(r=.296, p<.001), 이벤트프로모션 선호(r=.252, p<.001)는 고객애호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객 애호도에 있어서는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 중 쿠폰선호, 고객보상프로그램선호, 이벤트프로모션 선호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은품 증정의 경우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판매촉진 수단 중 가격할인, 쿠폰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은품증정과 고객보상프로그램, 이벤트프로모션이 평균보다 낮게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객 애호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는 고객보상프로그램, 이벤트 프로모션의 선호가 높은 사람들이 애호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선호도와 애호도 둘다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쿠폰을 주로 적극 활용한다면 신규고객 유치는 물론 기존 고객을 충성고객으로 이끌 수 있어 궁극적으로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영업성과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각 프랜차이즈가 위치한 곳의 상권과 인구분포에 따라 연령이 높은 곳은 쿠폰을 적극 활용하여 고객 선호도를 높이는 방안을 권장하고, 대학교나 학교근처에 위치해 있는 학생이 많은 곳이나 사업가가 많은 곳에 분포한 미용실은 쿠폰 가격할인, 사은품증정 행사도 한다면 고객 애호도를 더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판매촉진 선호도와 애호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적극 활용하는 것을 권장하며, 필요로 하거나 특정 타겟의 고객층을 확보하고 싶을 경우,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판매촉진 전략을 세워 신규고객 유치 방안으로 활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나타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프랜차이즈 미용실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의 모든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 전략에 따라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의 모든 프랜차이즈 미용실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한다면 실무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둘째, 여러 가지 판매촉진 유형에 있어서 본 연구의 논문은 5개요인의 판매촉진 유형을 중점으로 연구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판매촉진 유형의 형태를 고려하여 요인과 변수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한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판매촉진 전략에 따른 이용고객의 애호행동에 대한 총체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하여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를 기대한다.

Table 1.
Questionnaire Composition
Main cause Question Measure Previous research
Sales promotion type 15 Likert 5points Choi Yu Jin(2011), Kim ji-yeon(2020) Seo Moon-Sol(2011)
Beauty parlor lover 5 Likert 5points Gim li-Kyung(2012), Byun Young-min(2011)
General characteristics 6 Nominal scale Create Researcher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Surveyed
Category Frequency (N) Percent (%)
Gender Man 141 49.5
Woman 144 50.5
Age 20s 54 18.9
30s 91 31.9
40s 88 30.9
Over 50s 52 18.2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s 45 15.8
Graduated from a junior college 42 14.7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170 59.6
Graduate School 28 9.8
Marital status Unmarried 122 42.8
Married 163 57.2
Vocation Sudent 17 6.0
Housewife 34 11.9
Clerical jobs 113 39.6
Businessman 18 6.3
Professions 44 15.4
Sales/Service Jobs 25 8.8
Other 34 11.9
monthly income Less than 1,000,000 won 42 14.7
Less than 100-2 million won 20 7.0
Less than 200-3 million won 103 36.1
Less than 300-3.5 million won 48 16.8
More than 3.5 million won 72 25.3
Sum 285 100.0
Table 3.
Valid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ales Promotion
Questions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4
Factor5
Event Promotion Prefer Coupon Prefer Customer Reward Program Prefer Price Discount Prefer Give away free gifts Prefer
14. I usually visit when I hold events at hair salons such as Halloween Day and Christmas. .908 .059 .202 .067 .170
15. I think favorably when I hear that there is a hair salon that hosts events .849 .057 .165 .052 .184
13. If there is a hair salon event that draws prizes, I tend to visit. .847 .141 .215 .024 .203
6. I am more interested in discount coupons during sales promotion. .085 .862 .102 .300 .166
5. I tend to use a discount coupon within the period. .112 .861 .145 .154 .130
4. I prefer a hair salon that offers discount coupons. .065 .852 .134 .327 .160
10. I prefer a hair salon that gives me mileage for customer compensation. .170 .113 .883 .034 .119
11. Find and visit beauty salons with better mileage benefits. .161 .171 .847 .155 .166
12. After experiencing the mileage event, the number of times I go to the hair salon has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296 .092 .833 .104 .235
3. I tend to investigate the price discount before visiting the hair salon. .023 .202 .095 .855 .056
2. I can adjust my daily schedule to get a price discount. .096 .197 .048 .842 .122
1. I prefer a hair salon that offers a price discount. .018 .242 .110 .802 .087
9. I feel good after receiving a free gift after the procedure at the hair salon. .132 .135 .106 .084 .887
8. I've done a procedure that I didn't intend to do because of the freebies provided. .257 .079 .206 .134 .823
7. I prefer a hair salon that offers free gifts. .253 .309 .252 .090 .700
Eigenvalues 2.586 2.547 2.495 2.381 2.251
Variance Explanation (%) 17.243 16.980 16.633 15.876 15.009
Accumulation (%) 17.243 34.222 50.855 66.732 81.740
Reliability .902 .915 .897 .835 .851

KMO=.851, Bartlett's test χ²=2879.903 (df=105, p=.000)

Table 4.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ustomer Loyalty
Question Main cause
Customer Loyalty
4. I have come to prefer hair salons by using sales promotion, which is preferred by the hair salons I currently use. .871
2. I will use the hair salon that I currently use even if I promote the same sales in other hair salons. .820
5. I am willing to give a good evaluation of hair salons and sales promotion means around me. .796
3. I will recommend my acquaintances to go with me when I promote the sales that I prefer at the hair salon I currently use. .781
1. I will choose to visit more than other beauty salons when promoting the sales that I prefer at the hair salon I currently use. .773
Eigenvalues 3.272
Variance Explanation (%) 65.446
Accumulation (%) 65.446
Reliability .867

KMO=.867, Bartlett's test χ²=635.918 (df=10, p=.000)

Table 5.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f Sales Promotion and Customer Affection of Franchise Beauty Salon
Category Sales Promotion
Customer Loyalty
Price Discount Prefer
Coupon Prefer
Give away free gifts Prefer
Customer Reward Program Prefer
Event Promotion Prefer
whole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Gender Man 3.17 .919 3.18 1.050 2.74 .936 2.84 .925 2.47 .924 2.88 .707 3.35 .761
Woman 3.55 .897 3.37 .988 2.92 .923 2.91 1.021 2.34 .933 3.02 .633 3.32 .747
t-value (p) -3.497** (.001) -1.502 (.134) -1.669 (.096) -.570 (.569) 1.162 (.246) -1.708 (.089) .331 (.741)
Age 20s 3.37 1.079 3.33 1.210 2.93 1.127 2.80 1.126 2.28 1.067 2.94 .752 3.42 .748
30s 3.52 .921 3.33 .898 2.85 .877 2.87 1.017 2.34 .954 2.98 .641 3.41 .769
40s 3.25 .833 3.28 .987 2.84 .894 2.99 .836 2.57 .834 2.98 .645 3.33 .726
Over 50s 3.28 .897 3.12 1.083 2.68 .876 2.78 .949 2.39 .875 2.85 .698 3.13 .755
F-value (p) 1.506 (.213) .533 (.660) .650 (.583) .673 (.569) 1.380 (.249) .518 (.670) 1.858 (.137)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s 3.15 1.029 2.92a 1.133 2.63 .978 2.67 .920 2.16 .898 2.71a .712 3.26 .738
Graduated from a junior college 3.35 .957 3.54b .951 2.94 .916 3.15 1.065 2.51 .999 3.10b .734 3.25 .852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3.43 .895 3.34ab .990 2.87 .925 2.90 .967 2.46 .911 3.00ab .655 3.38 .764
Graduate School 3.31 .879 3.10ab .997 2.71 .915 2.67 .880 2.31 .956 2.82ab .517 3.31 .526
F-value (p) 1.154 (.328) 3.334* (.020) 1.157 (.327) 2.253 (.082) 1.529 (.207) 3.390* (.018) .536 (.658)
Marital status unmarried 3.43 .975 3.31 1.055 2.84 .948 2.86 .980 2.35 .896 2.96 .647 3.38 .741
Married 3.31 .887 3.25 .998 2.82 .923 2.89 .971 2.45 .954 2.95 .694 3.30 .762
t-value (p) 1.005 (.316) .428 (.669) .125 (.901) -.248 (.804) -.918 (.359) .115 (.908) .871 (.385)
Vocation Student 3.18 1.008 3.37 1.040 3.10 1.072 2.67 1.219 2.43 .948 2.95 .648 3.38 .692
Housewife 3.55 .820 3.32 .986 2.87 .998 2.74 1.047 2.21 .821 2.94 .668 3.15 .731
Clerical jobs 3.51 .902 3.42 .962 2.86 .892 2.90 .922 2.46 .963 3.03 .645 3.39 .737
Businessman 3.33 .936 3.06 1.049 3.06 .902 2.89 .800 2.39 .716 2.94 .696 3.26 .696
Professions 3.25 .895 3.22 1.059 2.77 .982 2.98 1.052 2.50 1.077 2.95 .713 3.30 .840
Sales/Service Jobs 3.09 .879 3.25 .934 2.80 .782 3.15 .834 2.71 .830 3.00 .692 3.56 .766
Other 3.15 1.067 2.89 1.188 2.53 .968 2.71 1.011 2.09 .814 2.67 .687 3.23 .753
F-value (p) 1.597 (.148) 1.414 (.209) 1.058 (.388) .846 (.536) 1.527 (.169) 1.262 (.275) 1.014 (.416)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000,000 won 3.35 .982 3.25 1.107 2.88 1.116 2.62 1.066 2.09a .890 2.84 .646 3.13a .744
Less than 100-2 million won 2.98 .834 3.07 .947 2.75 .904 2.85 .940 2.55b .887 2.84 .775 3.10a .758
Less than 200-3 million won 3.51 .917 3.37 .982 2.82 .936 2.88 .946 2.38ab .962 2.99 .619 3.40ab .736
Less than 300-3.5 million won 3.33 .939 3.39 1.014 2.95 .999 3.13 .974 2.69b .936 3.10 .761 3.58b .725
More than 3.5 million won 3.28 .900 3.15 1.054 2.75 .774 2.86 .947 2.41ab .869 2.89 .667 3.27ab .761
F-value (p) 1.707 (.149) .844 (.498) .418 (.796) 1.583 (.179) 2.532* (.041) 1.256 (.288) 2.827* (.025)
Whole 3.36 .925 3.28 1.021 2.83 .932 2.88 .973 2.41 .929 2.95 .673 3.34 .753

* p<.05

Duncan : a < b

Table 6.
Correlation Validation
Category Sales promotion
Customer Loyalty
Price Discount Prefer Coupon Prefer Give away free gifts Prefer Customer Reward Program Prefer Event Promotion Prefer
Price Discount Prefer 1
Coupon Prefer .529*** 1
Give away free gifts Prefer .286*** .417*** 1
Customer Reward Program Prefer .256*** .341*** .470*** 1
Event Promotion Prefer .164** .255*** .487*** .476*** 1
Customer Loyalty .207*** .306*** .188** .296*** .252*** 1

** p<.01,

*** p<.001

Table 7.
The Effect of Sales Promotion of Franchised Hair Salons on Customer Loyalty
category Non-standardized coefficients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Colinearity statistics
B S.E. β Tolerance limit VIF
(a constant) 2.183 .192 11.342 .000
Price Discount Prefer .035 .053 .044 .665 .506 .711 1.406
Coupon Prefer .158 .051 .215 3.093** .002 .632 1.582
Give away free gifts Prefer -.052 .056 -.064 -.923 .357 .629 1.589
Customer Reward Program Prefer .137 .052 .177 2.634** .009 .676 1.479
Event Promotion Prefer .111 .054 .138 2.061* .040 .684 1.462
R²=.150, Adj. R²=.135, F=9.835***, p=.000

* p<.05,

** p<.01,

*** p<.001

References

Backman, S. J., & Crompton, J. L. (1991). Differentiating between High, Spurious, Latent, and Low Loyalty Participants in Two Leisure Service.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9(2), 1-17.
Byeon, Y. M. (2011).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Taekwondo Hall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Aff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Suwon, 69-70.
Choi, J. H.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 Value of Franchise Beauty Sal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hilla University, Busan, 5-6.
Choi, Y. J. (2011).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Sales Promotion of the Duty-free Shop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Custom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Aviation University, Gyeonggi, 81-82.
Dick, A. S., & Basu, K. (1994). Customer Loyalty :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Joum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2), 75-92, 99-113.
crossref
Evans, Joel R., & Laskin, Richard L. (1994). The Relationship Marketing Process: A Conceptualization and Application.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23:439-452.
crossref
Fournier, Susan, & Yao, Julie L. (1997). Reviving Brand Loyalty: A Reconceptualiz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Consumer Brand Rdlationship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4:437-472.
Gong, M. A. (2012).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Loyalty of Family Restaurants by Sales Promotion 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68-70.
Han, G. S., & Ko, H. J. (2007). Effect of sales promotion on consumers in stores: Focusing on long-term communication and marketing effects. Korean Society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9(2), 145-176.
Han, W. T. (2011). The effect of resort sales promotion experience on satisfaction and brand equ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6.
Henning-Thurau, Thorsten, & Alexander, Klee (1997). The Impac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on Customer Retention: A Critical Reassessment and model Development. Psychology and Marketing, 14(8), 737-764.
crossref
Hwang, K. Y. (2015). The Effect of Sales Promotion Types on Re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Online Distribution of Cosme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12-14.
Jeon, G. Y., & Ha, D. H. (2010). The Effect of Sales Promotion on Price Fairness, Brand Value,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Korean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25(3), 183-198.
Jeon, S. J. (2013). The Effects of Sales Promotion According to the Beauty Care Service Product Shopping Orientations : Focused on using premium car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9-20.
Ji, J. H., Ryu, E. J., & Oh, G. S. (2009). An Empirical Study on the Cost and Profit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Hair Salon Franchise II - Focusing on the location, location, and size of the affiliated store -. Korean Society of Design and Culture, 15(3), 391-402.
Joo, H. J., & Sim, E. G. (2013). A Study on the Selection Factors of General Beauty Salons and Franchise Beauty Salons Using Marketing Mix 7Ps - Focusing on Busan-. Korean Society of Beauty, 19(6), 1127-1137.
Kim, C. H. (2002). The effect of sales promotion of hotel food and beverage businesses on customers' purchas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Suwon, 18-19.
Kim, J. M. (2012). Use survey beauty Franchise marketing with a consumer satisfactory, npublished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1-2.
Kim, J. Y. (2020). The Effect of Promoting Beauty Salon Sales on Consumer Benefits and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oung University, Seoul, 7-11.
Lee, E. P. (2017). The effect of relation benefit on relative quality and relationship retention intention : Focusing on compare franchise beauty salon with personal beauty sal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oung University, Seoul, 1-2.
Lee, H. B. (2008). The Effects of Sales Promotions on Store Loyalty. Korean Society of Commodity Studies, 26(4), 139-151.
crossref
Lee, H. N. (2019). The Effect of Brand Advertising and Sales Promotion of Franchise Coffee Shop on Brand Attachment and Conversion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1-2.
Lee, S. M. (2004). A study on the Impact of Consumer's Deal Proneness on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and Beauty Society, 2(2), 48-58.
Lee, Y. J. (2013). Analysis of job performance and service quality of franchise beauty salon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Cheonan, 12-13.
Oh, K. S. (2009). A Stud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Franchise Beauty Salon by the Support of the Headquarters of the Beauty Franchise. Korean Society of Beauty, 15(2), 618-629.
Oh, S. Y. (2020).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market conditions of hair salons, KB Financial Group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10 (wwwkbfg.com/kbresearch).
Park, M. J. (2008).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smetics Brands in Department Stores by Type of Sales Promotion: By Consumer Gro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5.
Reynold, Kristy E., & Beatty, Sharon E. (1999). Customer Benefits and Company Consequences of Customer-Salesperson Relationships in Retailing. Journal of Retailing, 75(1), 11-31.
crossref
Sun, D. G. (2001). The Effect of Hotel Companies' Relationship Marketing Execution Factors on Customer Trust, Customer Immersion, and Customer Affection. Unpublished doctorate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31-34.
Yang, S. M., & Choi, J. H.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 Attributes of Franchise Hairdresse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Korean Society of Beauty, 24(2), 349-362.
Yoon, S. O. (2008). Analysis of preferences and effects of restaurant companies by type of sales promotion for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9-50.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