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3); 2023 > Article
자의식에 따른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20~40대 남성을 중심으로

Abstract

A study was conducted on how men's self-consciousness leads to interest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makeup behavior. Personal value for appearance management leads to various behaviors, and consequently, consumption behaviors occur.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interest in appearance leading to makeup behavior in MZ males (20s to 40s). Research method: Survey conducted on 334 males, factor analysis using SPSS 18.0,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Self-consciousness was classified into introverted and extroverted self-consciousness,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n self-important appearance interest by factor, all had a positive (+) effect. Positive (+) results were shown in makeup behavior for both the self-esteem and the other-centered appearance interest.Since the higher the self-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interest in appearance and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due to makeup,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arketing for advertising and product development for men's cosmetics.

I. 서 론

현대 사회에서 외모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외모는 자신을 알리고 표현하는 비언어적인 수단이며 내면적인 요인과 외형적인 형상이 결합되어 나타난다(Kim & Park, 2009). 이처럼 외모에 대한 관심은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으며 외모를 가꾸는 행동을 하고 있다. 특히 20-40대에 속하는 MZ세대 남성들은 다른 세대들과 달리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고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한다. 하지만 외모에 대한 관심은 모든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외모는 자신이 만들어내는 시각적인 이미지로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타인에게 인식시키는 수단이기 때문에(Kim, 2004), 자기 자신이 인식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자의식은 자기 스스로 자신에 대한 태도, 평가를 통해 개인과 사회를 연결해주는 매개체로서 개인마다 차이가 있다(Han, 2002; Song & Lee, 2009).
외모에 대한 관심은 자신의 외모를 더욱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해 지속적인 흥미를 갖는 것으로 변화를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Ivan, 1971). 외모관심도는 개인의 심리적 영향과 사회적 대인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Lee, 2009),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그에 따른 다양한 화장행동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화장행동은 결국 외모에 대한 결점을 보완하고 만족감을 높여주는 수단이 될수 있기 때문에(Kim & Yoo, 2002) 외모관심도에 따라 다양한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이에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볼 수 있다.
현대인에게 있어 이 외모 관리를 위한 화장행동은 개인의 이미지 개선뿐만 아니라 사회에서의 성공의 척도로도 여겨지고 있고, 자의식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열등감을 해소시키고 자아존중감, 자신감을 향상시킨다.
과거 남성 중심의 보수적인 사회에서 남성의 외모관리는 많은 제약이 있었지만, 여성과 남성의 사회적 역할과 의식의 변화로 남성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최근 MZ세대 남성은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을 스스로 선택하고 행동으로 표현한다. 이 욕구는 헤어, 패션, 메이크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 되어진다. 현대사회에서 남성들의 소비활동은 점점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뷰티산업에서의 또다른 소비문화를 선도하고 있다(Choi,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외모관리 행동의 큰 소비자로 등장한 MZ 세대의 연령대인 20대에서 40대 사이의 남성들을 대상으로 자의식에 따라 외모관심도에 미치는 영향과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뷰티산업의 마케팅 전략과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자의식(self-awareness)

자의식은 자각과 유사한 개념으로 정서와 관련해서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주목을 받아온 변인이다(Huh, 2000). 개인의 ‘주의(attention)’는 자기 자신에 향하는 내향적 자의식과 외부 환경적 요소로 향하는 외향적 자의식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Duval & Wcklund, 1972). Duval & Wcklund(1972)에 따르면 ‘자의식’은 ‘자기 인식 이론(Self Awareness theory)’에서 출발하였으며, 이중 자기(self) 자신에게로 초점을 두고 높은 ‘자기 지각 상태’를 자의식이라고 한다. 자의식은 개인 자신의 내면 상태, 신체, 외모, 개인의 특정 상황과 현상에 주의를 기울이는 상태로 정의되기도 하고 거울이나 관찰자와 같은 외부 상황 또는 타인의 평가나 시선에 대해서도 영향을 받는다(Fenigstein et al., 1975).
자의식은 ‘사적 자의식’, ‘공적 자의식’, ‘사회적 불안’으로 나누어지며(Fenigstein et al., 1975), 자의식은 관심의 초점이 자신의 내적인 사고와 감정, 동기 행동 등에 집중하여 ‘자기초점주의(self-focused attention)’를 확장 시킨 개념이다(Kim et al., 1999). 자의식은 내면의 인식 및 성찰에 필요한 인지과정과 관련된 것으로서 내적 상태에 대한 ‘인식’ 또는 자기 ‘자각’ 등으로 지칭 되기도 한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사회불안과 자의식의 이중성인 자기보존과 자기확장을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며(Jung, 2012), 자기인식과 자존감 및 정신건강과 관련되어 대게 순기능적 역할을 하는 것도 보고 된 바 있다(Lim, 2016).
지나치게 높은 사적 공적 자의식은 사회적 불안을 야기 시키기도 하는데 이때 불안감을 다루기 위해 자아가 쓰는 무의식적인 기제를 정신분석학에서는 ‘자아 방어기제’라고도 한다(Choi, 2008). 하지만 본 연구에서의 자의식이란 자기의 가치와 신념이나 동기, 감성, 자아중심적 태도 등 전반에 걸쳐 개인의 내면의 사적 자아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자의식을 향상 시키는 상황에 놓이게 되면 다양한 소비활동으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거울 자아 이론(Looking Glass Self)’이다. 거울 자아 이론은 심리학 이론으로 타인이 보는 자기모습에 대한 인식이 자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으로(doopedia, 2023.03.01.), 주위 환경에 거울을 배치하여 자의식의 상황에 노출시켰을 때, 이 거울을 통해 자의식이 높아져 불만족한 마음을 감소시키거나 물건구매 시 만족감을 높이고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Lehmann & Stuart, 2010). 이는 사회적 환경에서의 자의식에 대한 자각이 소비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자의식의 상태는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켜 제품선택으로 이어지는 소비 행동의 조절 효과가 가능하다는 의미이기도하다(Kim & Lim, 2017). 따라서 자의식의 알아차림(awarness)은 외 모관심도에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노력을 스스로 기울이게 하거나 특정 행위로 이어진다.

2. 외모관심도

외모 관심도란 외모에 대한 매력을 위해 의복과 화장, 장신구 등 신체장식에 대해 지속적으로 흥미를 가지는 정도를 의미한다(Han & Park, 2008). 외모는 인체와 더불어 인체에 가해지는 의복이나 악세사리, 화장 머리스타일 등에 의해 결정되고 수정되므로 외모에 대한 관심은 개인이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표현하고 지각하며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Jang et al., 2007).
외모는 자신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이자 사회생활을 위한 경쟁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외모를 가꾸기 위해 자기 자신을 새롭게 지각하는 계기가 된다(Park & Park, 2009). 외모는 자아실현의 중요한 부분이며(Jeon & Kim, 2023), 외모 관리는 자기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회 활동 속에서 타인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Kim, 2004). 동시에 남성과 여성 모두 외모 관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본인을 인식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는 것은 인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많은 현대인들은 변화하는 미의 기준 속에서 자신의 외모에 대한 인식과 현실을 지각하고 신체적, 정신적, 물리적으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는 등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된다(Han & Son, 2012). 전통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외모 관리에 더 적극적이지만 최근 남성의 그루밍(grooming)도 자신의 사회적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많은 관심과 제품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가장 효과적인 이미지의 변화를 가져오는 외모 관리는 헤어스타일의 변화, 메이크업의 변화, 피부관리, 체형관리, 성형수술, 의복구매 등과 같은 외모관리 태도로 일어난다(Thompson, 1990). 외모는 자기개념과 자의식 형성에도 많은 영향을 주게되고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타인들과의 인식과 반응은 자신의 자아정체성에도 영향을 미친다(Park & Park, 2009).
따라서 외모는 자신의 내면과 능력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외모관리 행동을 수반하게 된다고 볼 수 있으며, 외모관심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다양한 화장행동으로 이어진다.

3. 화장행동

Choi(2023)의 연구에서는 외모관리행동을 타인에게 보여지는 자신의 외적인 모습을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하는 행동으로 패션, 뷰티, 체형관리 행동으로 정의하였으며, 그 중 화장행동이란 화장에 대한 관심을 직접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Jung, 2010). 화장행동에는 신체 청결과 화장품 등으로 피부의 결점을 보완하거나 장점을 부각시키는 행위를 포함한다. Lee & Kim(2023)은 화장 행동이 외모관리를 위한 기대가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Kim(2020)은 화장 행동을 크게 적극적 동기와 소극적 동기로 나뉘며, 적극적 동기에는 자기만족과 자기 개성의 표현 피부의 건강관리가 속하며, 이것은 자신의 만족감, 자존감을 위한 목적지향적 행동이고, 본질적으로 자아중심적 행위라고 보았다. 소극적 동기로는 사회적 존중과 목표획득을 위한 이성적 매력, 예의성, 우월성 등이 포함된다고 보았다(Kim, 2020). 본 연구에서의 화장행동은 실제 자신의 매력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 동기와 관련 있으며, 피부 건강을 위한 행위나 세련되고 매력적인 이미지를 위한 헤어 손질과 메이크업, 피부관리 등의 그루밍 행위로 한정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자의식이 외모관심도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자의식에 따른 외모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연구문제2. 외모관심도에 따른 화장행동의 영향을 살펴본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40대 남성 336명을 대상으로 2022년 9월 15일-2022년 11월 30일까지 비확률 표본 추출방법인 편의표본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인터넷 전문 설문업체와 지면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한 334부를 최종논문에 활용하였다.

2.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본 연구는 20~40대 남성 334명을 대상으로 자의식 9문항, 외모관심도 12문항, 화장행동 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문항들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인 ‘전혀 그렇지 않다’=1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 둥을 실시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1) 자의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외모 기대가치에 대한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고유치 1기준으로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요인부하량이 낮은 1개의 문항을 제거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요인 부하량이 .708~856로 나타나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KMO의 표준 적합도는 864, Bartlett의 구형성 검정결과 χ²=1671.475 (df=66, Sig.=0.000)로 요인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한 결과 .799~.854로 나타나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의 특성에 맞게 요인 명을 부여하였으며 Table 1과 같다.

2) 외모관심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외모관심도에 대한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고유치 1기준으로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요인부하량이 낮은 3개의 문항을 제거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요인부하량이 .659~.809로 나타나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KMO의 표준 적합도는 .923, Bartlett의 구형성 검정결과 χ²=2041.496 (df=66, Sig.=0.000)로 요인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한 결과 .865~.889로 나타나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의 특성에 맞게 요인 명을 부여하였으며 Table 2와 같다.

3) 화장행동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화장행동에 대한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고유치 1기준으로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요인부하량이 낮은 4개의 문항을 제거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요인 부하량이 .730~.869로 나타나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KMO의 표준 적합도는 .865, Bartlett의 구형성 검정결과 χ²=1975.110(df=36, Sig.=0.000)로 요인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한 결과 .800~.906으로 나타나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의 특성에 맞게 요인 명을 부여하였으며 Table 3과 같다.

2. 자의식이 외모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이 외모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4와 같다.
먼저 자의식의 요인 별로 자기중시 외모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설명력은 19.7%(F=41.889,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향적 자의식은 자기중시 관심추구에 대해 t 값이 2.745**로 나타났고, 외향적 자의식은 자기중시 외모관심에 t 값 6.663***로 나타나 내향적 자의식과 외향적 자의식 모두 자기중시 외모관심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의식의 요인별로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설명력은 38.8%(F=106.656,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향적 자의식은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대해 t 값이 3.303***로 나타났고, 외향적 자의식은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t 값이 11.325***로 나타나 내향적 자의식과 외향적 자의식 모두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향적 자의식과 외향적 자의식 모두 자기중시 외모관심과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향적 자의식이 자기중심 외모 관심과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내향적 자의식보다 영향을 크게 미쳤다. 자의식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스스로 관찰하는 것으로 일관된 특성으로(Fenigstein et al., 1975) 자기 자신에게 집중된 내향적 자의식과 타인에게 집중되는 외향적 자의식이 있다(Lee, 2002). 하지만 그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대부분 사람들은 내향적, 외향적 자의식을 모두 가지고 있다. 내향적 자의식을 가진 사람과 외향적 자의식을 가진 사람 모두 자기를 중시하는 외모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모가 자아의 개념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신과 관련된 사회적 역할을 타인에게 보여줌으로써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내향적 자의식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이상적인 자아를 형성하기 위해 자기중심 외모관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Turner et al., 1981). 또한 내향적 자의식을 갖고 있다고 타인이 생각하는 외모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내향적 자의식은 자신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으며 스스로 행동을 구성하고 규제하기 때문에(Oh & Cheong, 2021) 자신의 외적인 상황을 스스로 판단하여 고쳐 나가거나 집중할 수 있다. 반면 외향적 자의식을 가진 사람들은 외모에 대한 관심을 자기 자신에게 집중시킴으로써 사회적 불안을 줄이고 개선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기 때문에(Kim, 2001) 자기중시 외모관심과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외향적 자의식을 가진 사람들은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향적 자의식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적 승인을 받기 위해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것에 몰입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이다(Hong & Kang 2013).

3. 외모 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외모 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외모 관심도의 요인별로 과시적 동조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설명력은 11.8%(F=23.331,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중시 외모관심도’는 ‘과시적 동조 화장행동’에 대해 t 값이 3.105**로 나타났고, ‘타인중시 외모관심도’은 ‘과시적 동조 화장행동’에 t 값 3.209***로 나타나 ‘자기중시 관심추구’와 ‘타인중시 관심추구’ 모두 ‘과시적 동조 화장행동’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중시 외모관리’와 ‘타인중시 외모관리’ 모두 ‘과시적 동조화장행동’에 영향을 미친 것은 화장 행동을 통해 외모에 대한 자신감을 부여하고, 자아를 표현하거나 대인관계를 향상시킴으로써 자기 자신을 표현하고 소통하려는 행동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Choi, 2015).
다음으로 외모 관심도의 요인별로 독립적 개성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설명력은 35.4%(F=92.198,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중시 외모관심’은 독립적 개성 화장행동에 대해 t 값이 13.301***로 나타났고, ‘타인중시 외모관심’은 ‘독립적 개성 화장행동’에 t 값 -5.377***로 나타나 ‘자기중심 외모관심’은 ‘독립적 개성 화장행동’에 정(+) ‘타인중시 외모관심’은 ‘독립적 개성 화장행 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자기중심 외모관심’이 독립적 ‘개성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중시 외모관심’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외모에 대해 갖는 외모관심이 자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화장행동은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표현하고 개인의 매력을 표현하기 때문에(Park, 2010; Lee, 2007) 자기를 중심으로 한 외모에 대한 관심은 독립적이고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화장행동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타인중시 외모관리는 독립적 개성 화장 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쳤는데 이것은 ‘타인중시 외모관심’을 하는 사람들은 자기보다는 외모에 대한 기준이 타인에게 있기 때문에 화장행동을 통해 개성이나 다양성을 중시하기 보다는 타인과의 관계를 위한 사회적 행위로 인식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Park, 2010).

V. 결 론

최근 외모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며 남성들도 과거와 달리 외모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외모를 가꾸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아끼지 않고 있다. 외모에 대한 관심은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외모에 대한 가치 기준에 따라 다양한 소비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남성들이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거나 외모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는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자아 인식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20~40대 남성을 대상으로 자의식에 따른 외모관심 도와 화장행동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의식의 요인 별로 자기중시 외모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향적 자의식과 외향적 자의식 모두 자기중시 외모관심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의식의 요인별로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향적 자의식과 외향적 자의식 모두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내향적 자의식과 외향적 자의식 모두 자기중시 외모관심과 타인중시 외모관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향적 자의식이 내향적 자의식보다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외부에 대한 인식이 높은 사람이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이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사회생활의 기간이 길고 많기 때문에 대인관계에 있어 타인에 대한 의식이 높을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외모 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중시 외모관심과 타인중시 외모관심 모두 과시적 동조 화장행동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중심 외모관심은 독립적 개성 화장행동에 정(+)의 영향을, 타인중시 외모관심은 독립적 개성 화장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자기중시 외모관심과 타인중시 외모관심 모두 과시적 동조 화장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외모에 대한 관심이 자기를 중시하던 타인을 중시하던 결국에는 자신의 외모를 타인에게 보여주어 돋보이게 하고자 하는 목적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행동이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다음으로 자기중시 외모관심을 갖는 사람은 독립적 개성화장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자기를 중심으로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은 사람들은 독립적이고 개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성향이 많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타인중시 외모관심을 갖는 사람은 독립적 개성 화장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타인중시 외모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개성보다는 타인과의 관계나 타인의 행동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남들과는 다른 화장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자의식은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방향에 따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달라지며 외모에 대한 관심도 관심의 방향에 따라 화장행동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자가 20~40대 남성으로만 이루어져 있고 향후 시니어층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향후 연구에서는 남성 뿐만 아니라 여성을 같이 비교하거나 시니어 층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의 폭은 높여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Table 1.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elf-consciousness
Factor Measurement question Load Eigenvalue (explained variance %) (cumulative variance %) Reliability
Outgoing self-consciousness I care what other people think of me .856 3.140 (34.893) (34.893) .779
I am conscious of how .836
I appear to others
I am conscious of how .729
I appear to others
I am conscious of how .728
I appear to others
I am conscious of how .708
I appear to others
Introverted self-consciousness I am mostly familiar with myself .812 2.474 (27.493) (62.386) .854
I generally pay attention to my inner feelings .753
When I face any problem, I know how to solve it myself .731
I always try to understand myself .712
KMO=.864 Bartlett's test analysis result χ2=1671.475 (df=66, Sig.=0.000)
Table 2.
I Tend to Take Care of My Appearance to Impress Others
Factor Measurement question Load Eigenvalue (explained variance %) (cumulative variance %) Reliability
Self-emphasis on appearance I change my appearance periodically. .807 4.105 (34.210) (34.210) .889
I tend not to spare material and mental investments for my appearance .796
I tend to look in books or mass media for information on my appearance. .793
Even if I canft afford it financially, I tend to take care of my appearance. .763
I tend not to spare material and mental investments for my appearance .733
I try to hear that I have a younger-looking appearance than others. .726
Emphasis on others Appearance concern I think taking care of my appearance helps me in my social life. .809 3.486 (29.046) (63.256) .865
I think you should continue to take care of your appearance even as you get older. .770
When I have an important meeting or meeting, I tend to pay more attention to my appearance .760
I think taking care of my appearance is one of the means to express myself. .703
I check my appearance in the mirror before going out. .659
I tend to take care of my appearance to impress others. .658
Tab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remation Behavior
Factor Measurement question factor Load Eigenvalue (explained variance %) (cumulative variance %) Reliability
Ostentatious sympathy for makeup behavior When I meet strangers, .870 3.746 (41.620) (41.620) .914
I usually try to match the makeup that people are wearing.
I tend to try to match the makeup style of the group, I belong to .864
I 免el like my status looks low when I use cheap cosmetics. .844
I think expensive but well-known branded cosmetics build up my self-esteem. .842
When I wear similar makeup to my friends, I feel more like a member of the group. .827
Self-importance Appearance concern Independent personality makeup behavior .906 2.976 (33.063) (74.683) .882
I prefer a makeup method that suits me rather than a popular makeup method. .841
When I put on makeup, .823
I like to do what I want rather than being conscious of others
Rather than being influenced by other people's makeup methods, I tend to stick to my own makeup methods. .800
Table 4.
Effect of Self-consciousness on Appearance Interest
Significance probability Independent variable S.E β t Significance probability VIF
Self-emphasis on appearance (a constant) .251 2.926 .004
introverted self-consciousness .068 .150 2.745 .006 1.240
extraverted self-consciousness .064 .363 6.635 .000 1.240
R=.449, R²=.202, adjusted R²= .197, F=41.889, p=.000, Durbin-watson=2.055
Emphasis on others, interest in appearance (a constant) .185 6.108 .000
introverted self-consciousness .050 .158 3.303 .001 1.240
extraverted self-consciousness .047 .540 11.325 .000 1.240
R=.626, R²=.392, adjusted R²= .388, F=106.656, p=.000, Durbin-watson=1.906
Table 5.
Effects of Interest in Appearance on Makeup Behavior
Significance probability Independent variable S.E β t Significance probability VIF
Self-emphasis on appearance (a constant) .251 2.926 .004
introverted self-consciousness .068 .150 2.745 .006 1.240
extraverted self-consciousness .064 .363 6.635 .000 1.240
R=.352, R²=.124, adjusted R²= .118, F=23.331, p=.000, Durbin-watson=1.971
Emphasis on others, interest in appearance (a constant) .185 6.108 .000
introverted self-consciousness .050 .158 3.303 .001 1.240
extraverted self-consciousness .047 .540 11.325 .000 1.240
R=.598, R²=.358, adjusted R²= .354, F=92.198, p=.000, Durbin-watson=2.006

References

Choi, E. (2023 Effects of Active Senior'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Quality of Life by Mediating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1), 21-31. https://doi.org/10.52660/JKSC.2023.29.1.21.
crossref
Choi, J. S. (201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akeup Behavior, Psychological Traits and Preference for the Makeup Images of Funeral Picture in Elderly Women. The Graduate School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Duval, S., & Wicklund, R. A.. (1972). A theory ofobjective self-consciousness New York, Academic Press.
Fenigstein, A., Scheier, M. F., & Buss, A. H. (1975).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4), 522-527.
crossref
Han, D. J., & Park, K. S. (2008). A Study of External Appearance Management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Make-up and Cosmetic Surger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2), 622-632.
Han, D. J., & Son, H. M. (2012). Analysis of Observed Nail Care Behavior in 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 Society of Korea Illusart, 15(3), 249-256.
Han, S. K.. (2002). TSocial psychology Paju, Hakjisa, p.6.
Heo, S., & Jo, H. I.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Mental Health: Self-Ambivalence as a Moderator.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17:229-252.
Hong, J. E., & Kang, M. J. (2013). The effect of SNS use patterns on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Studies on Korean Youth, 24(3), 33-65.
Huh, J. H. (2000). The Effects of Self-Consciousness and Stress Coping Strategy on Positive, Negative Emotion.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Seoul, 1-3.
Ivan, R. (1971). Self-concept and brand perference. Journal of Business, 44(1), 38-50.
Jang, J. Y., Hwang, S. J., & Jeon, H. K. (2007). Men's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Based on the Level of Interest in Appearance, the Country of Origin, and the Sales Promo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6), 160-171.
Jeon, H. K., & Kim, S. H. (2023 Study on the Perception, Risk Perception Change and Satisfaction of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before and after Eyebrow Henna Cosmetic Trea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1), 47-59. https://doi.org/10.52660/JKSC.2023.29.1.47.
crossref
Jung, M. J. (2010). A Study on behaviors of the make-up about a girl's high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Desig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Jung, S. A. (2012). Social Anxiety and Self Consciousness, It's diagnostic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3(1), 47-49.
crossref
Kim, D. H. (2020). The Effect of Interests in Cosmetics by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on Their Behavior Related to Cosmetics.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Industry, CHA University, Pochun.
Kim, G. H., & Lim, H. J. (2017). The Influence of Private Self-Awareness on Consumer Behavior and Advertising Effec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8(6), 23-44.
crossref
Kim, H. H., & Yoo, T. S. (2002). A Study of the Make-up Behaviors and Consumers Anxiety in Purchasing Cosmetics of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2), 251-262.
Kim, H. H. (2001). Relationships Among the Make-up Behaviors and Consumers Anxiety in Purchasing Cosmetics of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Taegu, Taegu.
Kim, H. J. (2004). Appearance-management : Narcissistic personality tendency and bod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im, Y. S., & Park, J. Y. (2009). The Analysis on Appearance Management of Male College Students: Focused on Management of Hair, Skin, Cosmetic Surgery, Fashion and Body Shape. Kore Journal of Human Ecology, 18(1), 259-273.
crossref
Lee, H. S. (2002). The Study of the Make-up Image and Self-Consciousness as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Expected Effects of the Make-up. Th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Seoul.
Lee, J. Y., & Kim, Y. S. (2023 The Effect of Expectations for Appearance Management on Cosmetic Behavior and Intention to Purchase Colorful Cosmetic Products due to Not Wearing a Mas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1), 157-171. https://doi.org/10.52660/JKSC.2023.29.1.157.
crossref
Lee, K. S. (2007). A Research of Desire self-image and Apperance - Mnagemenet Bhavior in women according to degree of Apperance Concern, The Graduate School Seo kyeong University. Seoul.
Lim, J. Y. (2016). The Mediation Model Verification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on Game Addiction and Aggress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4), 250-259.
crossref
Oh, H. R., & Cheong, Y. J. (2021). Why Do Consumers Create Content on SNS and Share It with Others? : A Study on the Self-consciousness and Self-determination of Consumers as You-Tube Creators. Korea Advertising Society, 32(5), 7-39.
crossref
Park, J. H. (2010).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the patterns of female lifestyle.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Pusan.
Pham, M. T., Goukens, C., Lehmann, D. R., & Stuart, J. A. (2010). Shaping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self-awareness cu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7(5), 920-932.
crossref pdf
Song, B. R., & Lee, K. H. (2009).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elf-Concept Clarity: The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and Cognitive Flexibi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3(1), 195-205.
crossref
Thompson, J, Kevis. (1990).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Pergamon Press New York, Pergamon Press, p.1-140.
Turner, R. G., Gilliland, L., & Klein, H. M. (1981). Self-consciousness, evalu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5(2), 182-190.
crossref
Yun, S. R. (2009). A Meaning of the Make-up Behavior and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through 20s Working women. Major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