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9(2); 2023 > Article
헤어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학습성과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job skills,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beauty industry, and establishing stable on-site practical education by studying the self-esteem of learning workers. This study found that the impact of self-esteem on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the study worker of work and learning parallel syst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an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work environment and customer relationships through positive self-esteem, so it is judged that organizing an educational curriculum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job ability and personal performance so that they can remind them of the positive energy of learning workers through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hat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on-site practice education in the beauty industry will continue, and based on this study in the future, we hope that it will affect the self-growth and job skills of learning workers in the beauty industry.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기술진보를 통해 노동 인력 시장의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이에 부응하는 직무와 교육훈련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직업훈련제도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Lee & Kim, 2019).
특히 헤어미용분야는 특성화 된 기술 분야로 효율적인 인력 양성이 가능한 업종임을 인정받아 업체 최초로 2015년 9월 일 학습병행제의 특화업종이 되었다(Jang, 2018).
일학습병행제도는 인력의 고용가능성을 높이고 학력이나 스펙에 상관없이 산업체 현장에 맞는 맞춤형 인재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노동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Yun, 2022).
Cha(2016)는 일학습병행 기업의 학습근로자가 일반근로자보다 기업교육만족도가 높으며 직원의 최저임금이 국비지원으로 보장된다는 점에서 근무환경에도 높은 만족을 나타낸다고 하였고, Coopersmith(1967)는 학습자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자기 자신을 가치 있고 존경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하였으며, Zeithaml(2000)는 서비스산업의 종사자의 경우 사기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서비스향상과 고객만족을 통해 성과를 제고시켜 직무만족을 강화 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미용산업 종사자들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인 일학습병행제를 통한 자아존중감과 학습성과 및 직무성과에 대해 알아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Kim & Lee(2011)는 미용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연구에서 선행학습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hoi(2021)은 헤어 미용 일학습병행제의 학습근로자의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Jeon & Park(2020)은 헤어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학습성과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교육구성, 교육내용이 높아질수록 직무능력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미용 산업의 현장실무교육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타 분야에 비해 미용현장에서의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들의 자아존중감과 학습성과 및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헤어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들의 자아존중감을 연구함으로써, 학습성과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습근로자들의 직무능력향상과 미용산업에서 근로 환경 개선 및 현장실무교육의 성공적이고 안정적인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일학습병행제

일학습병행은 사업주가 근로자를 고용하여 담당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면서 도제식 현장교육훈련(OJT)과 사업장 외 교육훈련(Off-JT)을 실시, 평가를 통해 자격을 주는 것을 말하며(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0) 독일과 스위스 등의 유럽국가에서 확산중인 일터 기반학습을 우리나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도로(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2), 국가 직무 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기반으로 현장교육훈련과 학교·공동훈련센터에서 보완적인 이론교육을 통해 자격취득 및 학위를 부여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현장 중심의 교육훈련제도이다(Kim, 2022).
이러한 일학습병행제도는 2014년부터 도입되어 2019년 산업현장 일학습병행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법적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Kwon, 2020).

2.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의 자아에 관한 주관적인 평가로 긍정적·부정적 태도로, 스스로를 존경하고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를 말하며(Rosenberg, 1695), 사회 구성원으로 문제 해결능력과 성취감을 통해 행복감을 느끼고 가치 있는 사람으로 여길 때 형성된다(Choi, 2017).
Rosenberg(1985)은 자아존중감은 성공과 실패와 관련이 있으며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자기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하였고, Coopersmith(1967)는 자신을 평가하며 인정하거나 부인하는 태도로 자신을 유능하고 가치 있다고 믿는 신념으로 정의하였으며, Newman & Newman(1975)은 개인의 능력과 사회적 수용의 두 가지 경험에 대한 자기 자신의 평가에 대한 결과라고 정의 하였다(Kim, 2021).
즉, 자아존중감은 심리적 건강 상태이며, 바람직한 환경 적응과 건전한 성격발달 및 자아실현에 중요한 요소이다(Lee, 2020).
힌편, 자아존중감은 ‘자기’ 와 ‘자아’를 비슷한 개념으로 보고 있으며 ‘자아존중감’ 혹은 ‘자기존중감’으로 혼용하고 있다(Ryu, 2002).

3. 학습성과

학습성과는 학습을 통해 성취하는 궁극적 목표로(Choi et al., 2022), Chei(2016)은 학습의 성공적인 과정 및 결과라고 정의하였고, Min(2018)은 교육을 통하여 학습자가 도달한 결과라고 정의하였으며, Jeong(2021)은 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주어진 목표에 완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Seo(2013)의 연구에서는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을 삶의 질 향상, 관계형성, 전문능력, 자기주도학습의 4가지요인으로 구성하였고, Cho(2018)의 연구에서는 인적, 개인적, 사회·문화자본의 3가지의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Park & Choi(2018)의 연구에서는 지적, 가족, 사회, 기능영역의 4가지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렇듯 성과는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학습 구성원들이 실질적으로 얻게 되는 모든 이익, 긍정적 변화 및 해택을 학습성과로 간주하고 있다(Kwon, 201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성과를 교육 구성과 교육내용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4. 직무성과

직무성과는 조직 구성원의 성공적인 직무 성취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산업심리학자들이 말하는 생산성의 의미와 유사하게 사용되어왔다(Pinous, 1986).
Etzioni(1983)은 조직구성원들의 성과가 바람직한 상태라고 정의하였고, Sparrowe et al.(2001)은 기업이 요구하는 직무에 책임감을 갖고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정의 하였으며, Viswesvaran & Ones(2000)는 조직목표에 관심을 갖고 헌신하도록 관여 및 변화시킬 수 있는 측정도구이자 행동, 행위, 결과 등으로 정의 하였다.
Chun(2016)의 연구에서는 직무성과의 하위요인으로 개인성과, 업무성과, 조직성과 3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Lim & Park(2019)의 연구에서는 조직성과와 개인성과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Bang & Lim(2005)의 연구에서는 직무능력과 직무가치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직무성과는 조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조직 유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인식되어 조직의 목표 및 성과를 이루는 측면에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능력성과와 개인성과로 정의하고자 한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헤어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학습성과와 직무성과에 를 알아보고자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본다.
둘째. 자아존중감, 학습성과, 직무성과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본다.
셋째. 자아존중감, 학습성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2.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조사 대상은 헤어미용 일·학습병행제의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21년 02월 1일부터 3월 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 66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656부 중 분석에 부적절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한 64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 및 검정하기 위하여 SPSS 22.0이 사용되었고,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 학습성과, 직무성과의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방법으로 주성분분석법이 사용되었고, 요인의 회전 방법으로는 베리믹스(Varimax)가 사용되었다.
셋째, 자아존중감, 학습성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본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 관한 문항은 성별, 직원 수, 직책, 근무연수 미용경력 등의 5문항으로 연구자가 구성하였고, 명목척도가 사용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에 대한 5문항은 Seo(2020), Jeong(2017), Jang(2014)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응용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하였으며, 셋째, 학습성과에 대한 17문항은 Lee(2018), Kim(2008), Song(2019)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응용하여 재구성하였고, 넷째, 직무성과에 대한 9문항은, Park(2017), Jeong(2016), Jeong(2017)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응용하여 재구성하였고,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 대상의 일반적 사항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 결과는 다음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성 80.4%, 남성 19.6%로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직원 수는 9명에서 9명이 27.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4명에서 6명 23.3%, 10명에서 12명 15.6%, 1명에서 3명 13.7%, 13명에서 15명 7.7%, 19명 이상 7.4%, 16명에서 18명 4.9% 순으로 나타났다. 직책은 인턴(스텝, 보조)이 51.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디자이너(실무자) 38.4%, 매니저 6.8%, 기타 3.0%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연수는 1년 미만이 4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1년에서 2년 미만 27.4%, 2년 이상 25.1%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경력은 1년 미만이 47.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1년에서 2년 미만 34.7%, 2년에서 3년 미만 13.1%, 3년 이상 4.9% 순으로 나타났다.

2.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자아존중감, 학습성과, 직무성과의 타당성 및 신뢰도

1) 자아존중감의 타당성 및 신뢰도

자아존중감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2>와 같이 하나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1688.524(df=10, Sig=.000), KMO값 0.861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539이상으로 나타났고, 전체 설명력은 68.0%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는 0.879로 높게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습성과의 타당성 및 신뢰도

학습성과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3>과 같이 두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6790.442(df=136, Sig=.000), KMO값 0.957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482이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은 ‘교육구성’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595~0.757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5.344, 분산설명비율은 31.4%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교육내용’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18~0.787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5.052, 분산설명비율은 29.7%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두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61.1%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두 요인 모두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914로 높게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직무성과의 타당성 및 신뢰도

직무성과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4>와 같이 두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2741.055(df=36, Sig=.000), KMO값 0.875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504이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은 ‘직무능력성과’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67~0.805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081, 분산설명비율은 34.2%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개인성과’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21~0.849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846, 분산설명비율은 31.6%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두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65.8%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는 0.847~0.856로 높게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자아존중감이 학습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1) 자아존중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인 교육구성은 자아존중감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변수가 교육구성 요인을 예측하는데 13.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β=.375)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교육구성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인 교육내용은 자아존중감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변수가 교육내용 요인을 예측하는데 4.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β=.221)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교육내용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Kim(2019)의 연구에서 사회적,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수업일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만족도는 학습 성과로 이어지는것으로 판단되어진다.

2) 자아존중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직무성과의 하위요인인 직무능력성과는 자아존중감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변수가 직무능력성과 요인을 예측하는데 13.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β=.364)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직무능력성과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직무성과의 하위요인인 개인성과는 자아존중감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변수가 개인성과 요인을 예측하는데 8.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β=.288)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개인성과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Oh & Nam(2011)의 연구에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미용업의 직업 전문성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를 뒷받침 하고 있으며, 자기이해가 높은 사람의 경우 근무환경, 고객관계에 대한 만족이 높으며 이는 곧 직무성과로 이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헤어미용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학습성과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미용산업의 현장실무 교육의 확립 및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성별은 여성, 직원수는 9명, 직책은 인턴(스텝, 보조), 근무년수는 1년 미만, 미용경력은 1년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자아존중감, 학습성과, 직무성과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을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단일차원으로 도출되었고, 학습성과는 교육구성, 교육내용으로 2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직무성과는 직무능력성과, 개인성과로 2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구성과 교육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교육의 구성 및 교육내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학습성과에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실무교육의 선행인 일학습병행제의 안정적 확립을 통하여 학습근로자들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자아존중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직무능력성과와 개인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근무환경, 고객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인성 및 심리교육을 통하여 학습근로자들의 긍정적인 에너지를 상기 시켜 줄 수 있도록 교육커리큘럼을 편성한다면 직무능력과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학습근로자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무에서 실천 가능한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통하여 직무성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고객 접점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을 통하여 대인관계 대처능력을 키워 학습관리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실무위주의 교육이 진행된다면 직무성과 및 능률이 향상 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 산업의 현장실무교육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확립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헤어미용으로 국한되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연구 대상을 확장한다면 연구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미용 산업의 학습근로자들의 자아성장 및 직무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길 기대해본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N=649,%)
Category Sum
frequency (N) percent (%)
Gender Man 127 19.6
Woman 522 80.4
Employed members Less than 1~3 years people 89 13.7
Less than 4~6 years people 151 23.3
Less than 7~9 years people 178 27.4
Less than 10~12 years people 101 15.6
Less than 13~15 years people 50 7.7
Less than 16~18 years people 32 4.9
1More than 19 people 48 7.4
For position Manager 44 6.8
Designer 249 38.4
Staff 336 51.8
Besides 20 3.0
Work period Less than 1 years 308 47.5
Less than 1~2 years 178 27.4
More than 2 years 163 25.1
work experience Less than 1 years 307 47.3
Less than 1~2 years 225 34.7
Less than 2~3 years 85 13.1
More than 3 years 32 4.9
Totel 649 100.0
Table 2.
Factor analysis of self-esteem
Items about Self-esteem Factors1
Commonality
Self-esteem
I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myself. .861 .742
I think I'm a valuable person like everyone else. .847 .718
I can work as well as other people. .841 .707
I'm generally satisfied with myself. .833 .695
I am a person with good qualit .734 .539
Eigenvalue 3.40
Distriduted description(%) 68.002
Cumulative description(%) 68.002
Reliability (Cronbach's α) .879
Table 3.
Factor analysis of learning performance
Items about Learning Performance Factors1
Factors2
Commonality
Educational composition Details of training
I am satisfied with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performance. .757 .297 .661
I am satisfied with the content and time composition of the training. .748 .329 .668
The training time goes smoothly. .745 .235 .609
I am satisfied with the content and environment of the education. .737 .295 .630
The evaluation criteria for education are clear. .732 .308 .630
The training period and time are appropriate. .730 .269 .605
The training evaluation is the same as the actual training content. .667 .351 .568
The textbooks that are suitable for education are well explained. .602 .346 .482
The ratio of theory and practice is appropriate for training. .595 .368 .490
The training required at work is well reflected. .269 .787 .692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work and learning parallel system are in many way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actual work. .273 .775 .675
Specific experience materials are provided to help you perform your duties in work and learning parallel education. .302 .754 .660
Work-learning parallel education is taught in a similar environment to actual work. .309 .712 .603
It presents realistic job-related tasks in work-study parallel education.. .326 .709 .609
What I learned in work-study parallel education is well covered in the practical plan of how to apply it in the job. .378 .704 .638
I think work and learning parallel education will improve your ability to perform work. .293 .702 .578
Before the start of work and learning parallel education, it will be conducted as the content I expected. .464 .618 .598
Eigenvalue 5.344 5.052
Distriduted description(%) 31.437 29.715
Cumulative description(%) 31.437 61.152
Reliability (Cronbach's α) .914 .914
Table 4.
Factor analysis of Job performance
Items about Job performance Factors1
Factors2
Commonality
Job competency performance Personal performance
The job ability has been improved. .805 .146 .669
Work proficiency has increased. .786 .224 .668
The work processing time has been reduced. .763 .205 .625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t work has increased. .753 .306 .661
Make sure that the customer is satisfied with the desired results. .667 .243 .504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ales. .229 .849 .773
It helps you achieve your sales goals. .260 .819 .738
Contributing to the achievement of sales compared to my colleagues. .183 .818 .703
The customer who was serviced by me is looking for me again. .260 .721 .587
Eigenvalue 3.081 2.846
Distriduted description (%) 34.234 31.628
Cumulative description (%) 34.234 65.862
Reliability (Cronbach's α) .847 .856
Table 5.
The impact of self-esteem on learning performanc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Coefficient(B) Standard error of coefficients (SE B) β t p
Educational composition (Constant) .000 .036 .000 1.000
Self-esteem .375 .036 .375 10.274 *** .000
adj R²=.139 F=105.549 p=.000
Details of training (Constant) .000 .038 .000 1.000
Self-esteem .221 .038 .221 5.777 *** .000
adj R²=.048 F=33.379 p=.000

*** p<.001

Table 6.
The impact of Self-esteem on Job performanc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Coefficient(B) Standard error of coefficients (SE B) β t p
Job competency performance (Constant) .000 .037 .000 1.000
Self-esteem .364 .037 .364 9.929 *** .000
adj R²=.131 F=85.689 p=.000
Personal performance (Constant) .000 .038 .000 1.000
Self-esteem .288 .038 .288 7.643 *** .000
adj R²=.081 F=58.420 p=.000

*** p<.001

References

Bang, H. B., & Iim, I. S. (2005).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Job Performance upon the beautician"s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hair designe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6(1), 133-160.
Cha, S. H. (2016). A study about the satisfaction of workers in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work and learn' apprenticeship system in the beauty sector - with a focus on independent companies -. Master’s thesis, Sungkyul University, Gyeonggido, 59-60.
Cho, K. M. (2018).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n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Perceived by Adult Female Learn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Doctoral dissertation, Jungwon University, Chungcheongbukdo, 69.
Chei, M. J. (2016).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structional Quality, Academic Emotions, Perceived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ffline & Online University Lectures.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6.
Choi, D. E. (2017).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activity based on emotion expression o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4.
Choi, U. J. (2021).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s by On-the-job Trainers’ Competence for Success of Work-Learning Dual System in Hairdressing Industr.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72.
Choi, S. W., Kang, D. I., & Huh, Y. D. (2022). The Effect of Cultural Tourism Commentator Training Service Quality on Training Satisfaction, Learning Performance and Learn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6(1), 1-13.
Chun, H. S. (2016). Impac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Hair Beauty professional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2-18.
Coopersmith, S. (1967). Parent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elf-esteem.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6:96-117.
Etzioni, A.. (1983). Organizational Behavior Understanding life at works Clenview. Illinos, Scott Fcott Foresman and Co, p.106.
Jang, H. M. (2014).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etic attitude of parents and career adaptability.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41.
Jeong, J. S. (2021).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in remote lectures due to COVID-19.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
Jang, S. J. (2018). Directionality of the Improvement of Cosmetology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NCS Based Vocational Training System.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41.
Jeon, G. O., & Park, E. J. (2020).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Hair Beauty Works and Congruent Learning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3), 495-506.
Jeong, W. Y. (2016). Mediating Effect of Training Transfer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Job Performance:Focusing on the Financil and Insurance Business. Doctoral dissertation, Chuhg 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119.
Jeong, Y. K. (2017). The Effect of Career-Maturity on Perceived Family Functions by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Master’s thesis, Suwon University, 66-68.
Kim, H. S. (2008).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al Service Marketing Mix on Image of Educational Institution, Learning Performance, Educational Service Loyalty.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50.
Kim, S. H., & Lee, C. E. (2011). Study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The Students Department of Cosmet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7(6), 1138-1149.
Kim, S. H. (2019).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5), 1201-1211.
Kim, M. S. (2021). The Impact of Self-esteem on School Life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Doctoral dissertation, Honam University, Gwangju, 29.
Kim, S. Y. (2022).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Apprentices' Rights under the Act on Work-Study Combination at Industrial Sites.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Gyeonggido, 40.
Kwon, Y. S. (2020). The Effects of Work-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workers, field trainers and managers -.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Pusan, 17.
Kwon, I. A. (2019).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 Self-efficiency,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for Larning of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15.
Lee, B. Y., & Kim, S. H. (2019). The Effects of Work-Learning Dual Training Programs on Transfers of Training: A Moderating Role of Supervisor Support. Korea Productivity Association, 33(4), 239-263.
crossref
Lee, B. Y. (2018). The Effects of Work-Learning Dual Training Program on Training Transfer: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Supervisor Support.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26.
Lee, K. M. (2020). The Effect of Self-respect and Satisfaction on Career Stress and Career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 Preparing for Employment.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11.
Lim, M. J., & Park, E. J. (201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Performance and Long-Term Work of Beauty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6), 1325-133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0). Work-study parallel promotion plan (21-23).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2). Employment and Labor policy in 2022. 7.
Min, H. L. (2018). Effect of Learning Presence of Flipped Learning Courses on Academic Achievement.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
Newman, B. M., & Newman, P. R. (1975). Development through life. The Dorsey Press.
Oh, S. S., & Nam, M. W. (2011). An Influence of Physical Attraction, Self-Esteem, and Personal Relationship of Hair Dressers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7(1), 149-159.
Park, M. H. (2017).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Application Capability in the Relation of Hairdressing Service Industry's ERP System Quality and Job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24-29.
Park, Y. S., & Choi, E. S. (2018).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Urban-rural Migrant Instructors’ Instructional Leadership,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21(2), 1-21.
David, Pinous J. (1986). Communnic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2(3), 395-419.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erss, p.205-246.
Rosenberg, M. (1985).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The development of the self. 1. 205-246.
Ryu, G. S. (2002). A Study on directing artistic expression & appreciation for enhancing the self-esteem. Master’s thesis, Korean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6-7.
Seo, M. S. (2020). 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adaptation and career adaptation of beauty workers,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75.
Seo, S. O. (2013). A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Life long Learning Participation Outcomes of Married Female Adult Learner: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39.
Song, D. Y. (2019).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Characteristics for Performance and Training Transfer in Workplace learning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rit and Mindset of Work-Learning Dual System in Korean SMEs. Doctoral dissertation, Chang 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78-79.
Sparrowe, R. T., Liden, R. C., Wayne, S. J., & Kraimer, M. L. (2001). Social Networks and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and Grou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316-326.
crossref
Viswesvaran, C., & Ones, D. S. (2000). Perspectives on Models of Job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nent, 8(4), 216-226.
crossref pdf
Yun, J. Y. (2022). Effects of Work-Based Learning Dual System Program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Employabili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rotean Career.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3.
Zeithaml, A. (2000). Service quality, profitability, and the economic worth of customers: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learn.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8(1), 67-85.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