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3); 2022 > Article
새치염색 만족이 고객의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40대 중년을 대상으로-

Abstract

For middle-aged people in their 40s. Due to the aging trend of the general population, the demand for a younger-looking appearance by dyeing gray hair has increased. However,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the effect of gray hair dye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r sociality of middle-ag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atisfaction with gray hair dyeing of middle-aged peopl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men and women in their 40s who have experience dyeing gray hair (n=330). Research data came from national survey commissioned by a specialized institution and conducted in a web panel method. The dependent variable was a measure of satisfaction with gray hair dye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ity. All items were measured on a Likert 5-point scal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re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gray hair dyeing, the highe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better their social skills. This study identified the gray hair dyeing to enhance personal happines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nhance sociality. Therefore,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beauty industry is needed in relation to gray hair dye, which can help to form a positive self-image of middle-aged people.

I. 서 론

아름다워지고 싶은 욕망은 인간의 원초적인 본능이다. 오래전부터 외모는 그 사람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사회적 미(美)의 기준에 자신의 외모가 미치지 못할 때에는 스트레스를 받지만 반대로 외모가 향상되면 사회적 거부감에 대한 두려움이 줄어든다(Jeon & Chung, 2019). 이러한 외모에 대한 관심은 헤어, 메이크업,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적으로 큰 발전을 가져왔으며, 그로 인해 헤어스타일, 모발 관리 및 모발염색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모발염색과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선행연구는 모발염색이 색의 변화를 바로 인지하게 하여 개인의 외적 변화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고 헤어스타일 시술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Lee, 2021). 그런데 20대와 달리 40대 이후 중년들이 염색을 하는 이유는 아름답게 보이고자 하는 이유와 더불어 흰머리가 올라올 때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이를 감추기 위한 이유가 크다(Shin, 2001). 흰머리는 노화의 상징으로 탈모와 함께 개인의 헤어 이미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선행연구에 따르면 외모로 나타나는 흰머리는 부정적인 심리 변화로 스트레스를 높인다(Bae et al., 2018). 다시 말해 모발염색은 이미지 향상과 자신감, 자기만족을 높여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긍정적인 심리상태와 젊은 이미지상을 갖게 만든다. 게다가 모발염색은 외모만족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행복감에도 영향을 미친다. 모발염색이 주관적으로나 객관적으로 자신의 외모에 긍정적인 평가를 독려하고 삶의 질을 높힐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사소한 일상생활로부터 기쁨과 정서적인 행복감과 연결될 여지가 있다(An, 2019). 인구 전반의 고령화 추세로 흰머리를 염색해 젊어 보이는 외모를 연출하고자 하는 요구도는 더욱 커졌고 미용 분야와 연계된 관련 실버산업의 발전 가능성도 높다. 따라서 새치염색을 통한 만족과 심리적 행복감, 사회성을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새치염색의 긍정적 효과와 대한 미용학적 연구는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헤어산업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데 발전적인 방향성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0대 중년층의 새치염색 만족도가 그들의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생애전환기인 40대는 신체적, 인지적 측면에서 이전 연령대와는 차별화된 발달적 특성을 보인다. 우선 신체적인 발달 특성을 살펴보면 중년 여성은 여성호르몬의 변화로 노화과정이 서서히 진행되면서 얼굴에는 주름이 생기고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며 여러 만성질환에 걸리는 등 신체적 기능의 쇠퇴가 시작된다. 남성 역시 중년기의 여러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청력과 시력은 부정확해지며 40세 이후부터 허리둘레와 체중이 늘고 머리는 희끗희끗해지고 탈모가 시작되기도 한다(Levinson, 1978).

1. 모발염색

모발염색이란 모발의 자연적인 색을 화학적·물리적 작용을 통해 인위적으로 색소를 입히거나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모발의 염색은 단순히 모발색을 밝게 변화시키는 탈색뿐 아니라 자연 모발은 물론 염색 모발과 탈색 처리된 모발의 색까지 화학적 작용을 통해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Kim & Kim, 2001). 게다가 모발 염색은 시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감정이나 기분에도 미묘하게 작용하여 자각하든 못하든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준다. 그래서 염색은 단순 시술을 넘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구를 채워주는 예술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Hwang et al., 2002).

2. 심리적 행복감

심리적 행복감(psychological happiness)은 매일의 생활을 구성하는 활동으로부터 기쁨을 느끼며 긍정적 자아상을 지니고 자신을 가치 있다고 여기면서 낙관적인 태도와 감정을 유지하는 것이다(Neulinger, 1981). 이는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긍정적 행복과 부정적 행복을 비교하면서 얻어지는 감정이다(Bradburn, 1969). 즉, 심리적 행복감이란 개인이 정한 기준에 따라 자신의 삶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Shin & Johnson, 1978). 심리적 행복감을 구성하는 요소에는 다양한 것들이 포함되는데 자신에 대한 외모와 이미지 평가, 그리고 신체적 활력도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3. 사회성

사회성이란 인간이 사회 속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려는 성질을 의미한다(Hong, 2016). 즉, 사회성이란 개인이 사회적 환경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회적 행동 양식을 체득하여 사회적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타인과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목표달성에 필요한 행동들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Lee, 2013). Lee(2021)는 사회성을 활동성, 사교성, 안정성으로 구분하였고, Lee(2012)는 이를 활동성, 사교성, 자율성으로, Song(2009)은 지배성, 활동성, 사교성, 자율성으로 분류하였다. 활동성이란 끊임없이 활동하는 부지런한 상태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일상생활에서 생산적이고 정력적이며 부지런하고 민첩하며 일을 즐기고 좋아하는 많은 일을 해내고자 하는 특성이다(Jin, 2010). 반면 사교성이란 여러 사람들과 친밀하게 지내며 참여적이고 다른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으며 호감을 줄 수 있는 정도이다(Kim, 2001). 사교성의 발달은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개별적 목표를 획득하는 것으로 학교생활과 또래 관계에 적응하는 것뿐만 아니라 원만한 사회생활을 위한 사회 정서 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Sroufe, 1979). 끝으로 안정성이란 정서나 심리적으로 균형을 이루며 침착하고 합리적이게 일을 추진하고 객관성 있는 판단력에 의한 의지나 감정을 말한다(Lee, 2021).
인구 전반의 고령화 추세로 인해 흰머리를 염색해 젊어 보이는 외모를 연출하고자 하는 요구도는 더욱 커졌다. 그러나 새치염색이 중년층의 심리적 행복감이나 사회성에 미치는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중년층의 새치염색만족이 그들의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중년층의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초고령화 시대에 미용산업이 실버산업과 함께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자료

연구대상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새치염색의 경험이 있는 40대이다. 자료수집 방법은 전문서베이 업체(엠브레인)를 통한 자기기입식 웹 패널 조사이다. 설문조사는 2021년 11월 24일부터 2021년 11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총 응답자는 330명이었다. 설문 작업이 끝난 후에는 연구자가 응답이 누락된 문항이나 복수 응답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응답의 성실도가 높고 무응답이 없어 수거한 설문지 330부 모두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2. 조사도구

독립변수에 사용된 문항은 An(2019), Lee(2015), Lee(2021)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8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응답자에게 새치염색 후 외모만족도에 대한 질문을 하였으며 5점 리커트(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응답범주로 답하게 하였다.
매개변수는 Kim(2020), Kim(2015), Park(2018)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한 8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응답자의 심리적 행복감 수준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응답범주로 답하게 하였다.
종속변수는 Kang & Park(2016)Lee(2015)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한 12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의 하위범주 분류에 따라 활동성 4문항, 사교성 4문항, 안정성 4문항 분류되었다. 응답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응답범주로 이루어졌다.
끝으로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성별, 혼인여부, 직업, 월평균 소득을 파악하였다.

3. 통계분석

첫째, 표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를 도출하였다. 둘째, 새치염색만족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성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새치염색 만족도가 중년층의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결혼여부는 ‘미혼’이 26.4%, ‘기혼’이 73.6%로 기혼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은 ‘판매/서비스직’이 8.2%, ‘사무관리직’이 34.8%, ‘자영업’이 7.3%, ‘생산기술직’이 7.0%, ‘전문직’이 10.3%, ‘공무원’이 3.3%, ‘전업주부’가 20.3%, ‘기타’가 5.2%, ‘무직’이 3.6%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은 ‘100만 원 미만’이 9.7%, ‘100~200만 원 미만’이 8.8%, ‘200~300만 원 미만’이 21.8%, ‘300~400만 원 미만’이 25.8%, ‘400만 원 이상’이 33.9%로 나타났다.

2. 새치염색만족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성의 차이 분석

새치염색만족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염색 컬러에 만족하는지 물었을 때 응답의 분포는 매우 그렇다(M=4.19), 전혀 그렇지 않다(M=3.69), 그렇다(M=3.59), 보통이다(M=3.26), 그렇지 않다(M=3.25) 순으로 ‘매우 그렇다’(F=9.481, p<.001)가 가장 높았다. 염색 컬러의 밝기에 대해 만족하는지 물었을 때 응답은 매우 그렇다(M=4.22), 전혀 그렇지 않다(M=3.79), 그렇다(M=3.55), 보통이다(M=3.33), 그렇지 않다(M=3.14) 순으로 ‘매우 그렇다’(F=11.068, p<.001)가 가장 높았다. 피부톤과 염색컬러의 어울림에 대해 만족하는지 물었을 때 응답은 매우 그렇다(M=4.20), 그렇다(M=3.58), 보통이다(M=3.33), 그렇지 않다(M=3.01) 순으로 ‘매우 그렇다’(F=15.093, p<.001)가 가장 높았다. 얼굴형과 염색컬러의 어울림에 대해 만족하는지 물었을 때 응답은 매우 그렇다(M=4.16), 그렇다(M=3.62), 보통이다(M=3.31), 그렇지 않다(M=3.11) 순으로 ’매우 그렇다‘(F=15.458, p<.001)가 가장 높았다. 헤어스타일과 염색컬러의 조화로움에 대해 만족하는지 물었을 때 매우 그렇다(M=4.13), 전혀 그렇지 않다(M=3.69), 그렇다(M=3.61), 보통이다(M=3.26), 그렇지 않다(M=3.01) 순으로 ‘매우 그렇다’(F=13.805, p<.001)가 가장 높았다. 선호 이미지에 대해 만족하는지 물었을 때 응답은 매우 그렇다(M=4.13), 그렇다(M=3.58), 보통이다(M=3.28), 그렇지 않다(M=3.13) 순으로 ‘매우 그렇다’(F=18.250, p<.001)가 가장 높았다. 새치염색을 통한 이미지 향상에 만족하는지에 대해 물었을 때 응답은 매우 그렇다(M=4.06), 그렇다(M=3.53), 그렇지 않다(M=3.28), 보통이다(M=3.02), 순으로 ‘매우 그렇다’(F=30.175, p<.001)가 가장 높았다. 새치염색을 통한 외모 자신감에 대해 만족하는지를 물었을 때 응답은 매우 그렇다(M=4.35), 그렇다(M=3.55), 보통이다(M=3.05), 그렇지 않다(M=2.50) 순으로 ‘매우 그렇다’(F=77.161, p<.001)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새치염색 만족도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은 염색컬러, 염색컬러의 밝기, 염색컬러와 피부톤의 조화, 염색컬러와 얼굴형의 조화, 염색컬러와 헤어스타일의 조화, 선호 이미지, 이미지 향상, 외모자신감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매우 그렇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즉, 새치염색 만족도가 높을 때 응답자의 심리적 행복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새치염색만족에 따른 응답자의 활동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염색 컬러의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60), 그렇다(M=3.29), 보통이다(M=3.14), 전혀 그렇지 않다(M=3.00), 그렇지 않다(M=2.82) 순으로 ‘매우 그렇다(F=4.199, p<.01)’가 가장 높았다. 염색 컬러의 밝기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67), 그렇다(M=3.29), 그렇지 않다(M=3.10), 보통이다(M=3.01), 전혀 그렇지 않다(M=2.58) 순으로 ‘매우 그렇다(F=4.857, p<.001)’가 가장 높았다. 피부톤과 염색컬러의 어울림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72), 그렇다(M=3.29), 그렇지 않다(M=3.15), 보통이다(M=3.06) 순으로 ‘매우 그렇다’(F=6.443, p<.001)가 가장 높았다. 얼굴형과 염색컬러 어울림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64), 그렇다(M=3.32), 보통이다(M=3.10), 그렇지 않다(M=2.99)순으로 ‘매우 그렇다’(F=5.915, p<.001)가 가장 높았다. 헤어스타일과 염색컬러의 조화로움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68), 그렇다(M=3.30), 보통이다(M=3.05), 그렇지 않다(M=3.01)전혀 그렇지 않다(M=2.63) 순으로 ‘매우 그렇다’(F=6.065, p<.001)가 가장 높았다. 선호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73), 그렇다(M=3.24), 보통이다(M=3.11), 그렇지 않다(M=2.97) 순으로 ‘매우 그렇다’(F=8.315, p<.001)가 가장 높았다. 새치염색을 통한 이미지 향상 만족도는 매우 그 렇다(M=3.36), 그렇다(M=3.26), 보통이다(M=3.07), 그렇지 않 다(M=2.85) 순으로 ‘매우 그렇다’(F=3.174, p<.05)가 가장 높았다. 새치염색을 통한 외모 자신감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 (M=3.68), 그렇다(M=3.21), 보통이다(M=3.07), 그렇지 않다 (M=2.68) 순으로 ‘매우 그렇다’(F=12.379, p<.001)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새치염색 만족도에 따른 응답자의 활동성은 염색컬러, 염색컬러의 밝기, 염색컬러와 피부톤의 조화, 염색컬러와 얼굴형의 조화, 염색컬러와 헤어스타일의 조화, 선호 이미지, 이미지 향상, 외모자신감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매우 그렇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즉, 응답자가 새치염색에 만족할수록 이들의 활동성도 전반적으로 높았다.
새치염색만족에 따른 사교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염색 컬러의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99), 그렇다(M=3.34), 보통이다(M=3.19), 전혀 그렇지 않다(M=3.00), 그렇지 않다(M=2.99) 순으로 ‘매우 그렇다(F=5.307, p<.001)’가 가장 높았다. 염색 컬러의 밝기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89), 그렇다(M=3.31), 그렇지 않다(M=3.21), 보통이다(M=3.19), 전혀 그렇지 않다(M=2.08) 순으로 ‘매우 그렇다(F=5.960, p<.001)’가 가장 높았다. 피부톤과 염색컬러의 어울림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82), 그렇다(M=3.31), 보통이다(M=3.20), 그렇지 않다(M=3.20) 순으로 ‘매우 그렇다’(F=4.263, p<.01)가 가장 높았다. 얼굴형과 염색컬러 어울림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80), 그렇다(M=3.36), 보통이다(M=3.18), 그렇지 않다(M=3.14) 순으로 ‘매우 그렇다’(F=4.990, p<.01)가 가장 높았다. 헤어스타일과 염색컬러의 조화로움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84), 그렇다(M=3.33), 그렇지 않다(M=3.20), 보통이다(M=3.16), 전혀 그렇지 않다(M=2.50) 순으로 ‘매우 그렇다’(F=5.097, p<.001)가 가장 높았다. 선호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73), 그렇다(M=3.32), 보통이다(M=3.22), 그렇지 않다(M=2.99) 순으로 ‘매우 그렇다’(F=6.092, p<.001)가 가장 높았다. 새치염색을 통한 이미지 향상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52), 그렇다(M=3.33), 그렇지 않다(M=3.13), 보통이다(M=3.09) 순으로 ‘매우 그렇다’(F=3.926, p<.01)가 가장 높았다. 새치염색을 통한 외모 자신감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 3.84), 그렇다(M=3.25), 보통이다(M=3.18), 그렇지 않다(M=2.75) 순으로 ‘매우 그렇다’(F=13.241, p<.001)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새치염색 만족도에 따른 사교성은 염색컬러, 염색컬러의 밝기, 염색컬러와 피부톤의 조화, 염색컬러와 얼굴형의 조화, 염색컬러와 헤어스타일의 조화, 선호 이미지, 이미지 향상, 외모 자신감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매우 그렇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즉, 응답자의 새치염색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들의 사교성 역시 전반적으로 우수하였다.
새치염색만족에 따른 안정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염색컬러의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4.24), 그렇다(M=3.66), 보통이다(M=3.51), 전혀 그렇지 않다(M=3.40), 그렇지 않다(M=3.25) 순으로 ‘매우 그렇다’(F= 5.813, p<.001)가 가장 높았다. 염색 컬러의 밝기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 4.27), 그렇다(M=3.64), 그렇지 않다(M=3.57), 보통이다(M=3.48), 전혀 그렇지 않다(M=2.75) 순으로 ‘매우 그렇다’(F=8.707, p<.001)가 가장 높았다. 피부톤과 염색컬러의 어울림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4.05), 그렇다(M=3.65), 보통이다(M=3.52), 그렇지 않다(M=3.51) 순으로 ‘매우 그렇다’(F=4.510, p<.01)가 가장 높았다. 얼굴형과 염색컬러 어울림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4.01), 그렇다(M=3.65), 보통이다(M=3.55), 그렇지 않다(M=3.48) 순으로 ‘매우 그렇다’(F=3.783, p<.05)가 가장 높았다. 헤어스타일과 염색컬러의 조화로움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4.13), 그렇다(M=3.67), 그렇지 않다(M=3.66), 보통이다(M=3.46), 전혀 그렇지 않다(M=2.38) 순으로 ‘매우 그렇다’ (F=8.422 p<.001)가 가장 높았다. 선호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98), 그렇다(M=3.66), 보통이다(M=3.50), 그렇지 않다(M=3.49) 순으로 ‘매우 그렇다’(F=5.383, p<.001)가 가장 높았다. 새치염색을 통한 이미지 향상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M=3.95), 그렇다(M=3.63), 그렇지 않다(M=3.42), 보통이다(M=3.39) 순으로 ‘매우 그렇다’(F=8.930, p<.001)가 가장 높았다. 새치염색을 통한 외모 자신감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 (M=4.13), 그렇다(M=3.62), 보통이다(M=3.39), 그렇지 않다(M=3.25) 순으로 ‘매우 그렇다’(F=17.434, p<.001)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새치염색 만족도에 따른 안정성은 염색컬러, 염색 컬러의 밝기, 염색컬러와 피부톤의 조화, 염색컬러와 얼굴형의 조화, 염색컬러와 헤어스타일의 조화, 선호 이미지, 이미지 향상, 외모자신감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매우 그렇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즉, 응답자의 새치염색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들의 안정성은 전반적으로 우수하였다.

3. 새치염색 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새치염색 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우선 Model 1은 적합한 통계모형이었으며(F=109.99, p<0.001) 새치염색 만족도는 응답자의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나타냈다(β=0.626, p<0.001). 다음으로 Model 2 역시 적합한 통계모형이었다(F=32.933, p<0.001). 새치염색 만족도는 응답자의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활동성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나타냈다(β=0.378, p<0.001). Model 3도 적합한 통계모형이었다(F=26.185, p<0.001). 이 모형에서 새치염색 만족도는 응답자의 사회성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나타냈다(β=0.367, p<0.001). Model 4도 적합한 모형이었다(F=33.111, p<0.001). 새치염색 만족도는 응답자의 안정성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β=0.347, p<0.001). Model 5 역시 적합한 통계모형이었다(F=55.491, p<0.001). 응답자의 심리적 행복감은 활동성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나타냈다(β=0.381, p<0.001). Model 6도 적합한 통계모형이었다(F=52.272, p<0.001). 응답자의 심리적 행복감은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안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β=0.400, p<0.001). 끝으로 Model 7도 적합한 통계모형이었으며(F=51.945, p<0.001) 응답자의 심리적 행복감은 안정성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나타냈다(β=0.339, p<0.001).

4. 고찰

연구결과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치염색 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n(2019)의 모발염색이 외모만족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청년층의 모발 염색은 그들의 심리적 행복감을 높이고 외모에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었다. 본 연구는 이를 확장하여 중년층의 새치염색에서도 같은 효과가 경험적으로 입증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관광호텔 종사원을 표본으로 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외모에 만족할 경우 자신감을 가지고 근무할 가능성이 높고 업무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Shin et al., 2019). 중년 여성은 미용실 방문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고 모발관리나 헤어스타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Kim & Lee, 2007). 그래서 헤어관리를 통한 외적 이미지의 전환은 일상적 행복감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Jin & Kim, 2007). 이번 연구는 중년 여성들의 헤어관리와 관련한 이러한 특성들을 재확인시킨다. 중년의 헤어 관리는 새치나 탈모에 대한 스트레스 때문에 더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Jeon & Chung, 2008). 그런데 미용시술이나 관리를 받는 경우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경향이 있고 이는 고객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다(Bae et al., 2018). 본 연구에서는 새치염색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을 매개로 사회성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에게 적절한 새치염색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새치염색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성도 높게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사회성 중 자율성과 활동성은 피부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성취지배성과 사교성은 헤어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사교성과 자율성은 체형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Kang & Park, 2016). 따라서 사회성의 다양한 구성요인들은 미용관리 행위와 긴밀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본 연구에서도 중년의 새치염색 관리 행위는 외모관리를 통해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사회성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인간은 40대의 생애전환기에 접어들면서 자각할 정도로 노화가 발현되며 만성질환에 대한 유병률도 급격히 증가한다. 게다가 사회생활에서는 조직의 중간관리자라는 측면에서 아래와 위에서 동시에 스트레스를 받고 권태감과 우울감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Chae & Jong, 2016). 이때 중년층이 사회적 적응력을 높이고 스트레스에 대항하려면 심리적 행복감을 높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만성화된 우울감과 스트레스로 사회성을 잃고 조직에서 괴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년층이 사회성을 높이는데 심리적 행복감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시켜준다. 따라서 모발염색과 관리를 통한 이미지 개선은 심리적 행복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사회성을 개선하여 중년층의 사회적 안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새치는 노화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개인적 차원에서 이를 받아들이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그래서 나이듦을 인정하고 중년에 맞는 신체상을 재정립해야 한다. 이때 새치염색은 심리적 행복감을 높이고 사회성을 키워서 중년층의 사회생활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음을 본 연구는 보여주고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40대의 새치염색 만족이 이들의 심리적 행복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새치염색이 개인의 행복과 심리적 안정감을 증진하고 사회성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인구 전반의 고령화 추세로 인하여 흰머리를 염색해 젊어 보이는 외모를 연출하고자 하는 중년층의 욕구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30대에서도 새치용 염모제를 소비하는 경우가 늘어남에 따라 새치염색을 하는 고객의 비율은 더욱 증가할 것이며 관련 미용산업 역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중년층의 새치모발 염색의 사회 심리적 효과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구별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미용산업과 실버산업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측면을 모색하고 중년층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추후에는 이번 연구를 더 구체화하여 새치염색을 할 때 밝기, 피부톤, 염색컬러와의 조화 여부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피부톤과 염색컬러의 어울림은 쿨톤과 웜톤의 피부톤과 어떻게 차이가 나며 헤어스타일의 색상과 함께 고객만족도에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지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새치염색을 필요로 하는 중년층의 니즈를 세분화하고 거기에 맞는 헤어관리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자료수집의 특성상 횡단면 연구라는 점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적 선후 관계를 확정하기는 어렵다. 둘째, 표본의 규모 측면에서 대표성 문제와 결과해석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다. 셋째,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성의 구성개념에 대한 표준화된 측정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향후 내적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중년층 고객을 대상으로 새치염색 만족도가 이들의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단계에서 실버산업과 미용산업을 융합하는 시장을 개척하고 미용서비스가 중년층의 사회심리적 건강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N=330)
Categories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Women 165 50.0
Men 165 50.0
Marriage Single 87 26.4
Married 243 73.6
Job Sales (service position) 27 8.2
Office worker (management position) 115 34.8
Self-employment 24 7.3
Production worker (technical position) 23 7.0
Professional occupation 34 10.3
Public official 11 3.3
Housewife 67 20.3
etc 17 5.2
Not employed 12 3.6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won 32 9.7
1 million won to less than 2 million won 29 8.8
2 million won to less than 3 million won 72 21.8
3 million won to less than 4 million won 85 25.8
Over 4 million won 112 33.9
Total 330 100.0
Table 2.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happiness by satisfaction with hair dyeing
Category N M SD F Scheffe
Dyeing color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2 3.69 0.09 9.481*** -
not satisfied (b) 27 3.25 0.78
average (c) 118 3.26 0.72
satisfies (d) 166 3.59 0.63
very satisfied (e) 17 4.19 0.83
Brightness of dyed color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3 3.79 0.40 11.068*** b, c<d, a<e
not satisfied (b) 42 3.14 0.71
average (c) 105 3.33 0.78
satisfies (d) 158 3.55 0.62
very satisfied (e) 22 4.22 0.74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skin ton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22 3.01 0.83 15.093*** a<b<c<d
average (b) 139 3.33 0.67
satisfies (c) 147 3.58 0.66
very satisfied (d) 22 4.20 0.67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face shap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32 3.11 0.76 15.458*** a<b<c<d
average (b) 143 3.31 0.67
Satisfies (c) 133 3.62 0.65
Very satisfied (d) 22 4.16 0.72
The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hair styl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2 3.69 0.80 13.805*** b<c, d, a<e
not satisfied (b) 20 3.01 0.71
average (c) 131 3.26 0.66
satisfies (d) 151 3.61 0.65
very satisfied (e) 26 4.13 0.80
Preferred imag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38 3.13 0.83 18.250*** a<b<c<d
average (b) 115 3.28 0.64
satisfies (c) 144 3.58 0.62
very satisfied (d) 33 4.13 0.76
Image enhancement not satisfied (a) 12 3.28 0.62 30.175*** b<a<c<d
average (b) 85 3.02 0.67
satisfies (c) 179 3.53 0.60
very satisfied (d) 54 4.06 0.72
Confidence in appearance through graying hair not satisfied (a) 18 2.50 0.83 77.161*** a<b<c<d
average (b) 89 3.05 0.55
satisfies (c) 174 3.55 0.54
very satisfied (d) 49 4.35 0.49
Table 3.
Difference in activity according to satisfaction of hair dyeing
Category N M SD F Scheffe
Dyeing color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2 3.00 1.06 4.199** -
not satisfied (b) 27 2.82 0.57
average (c) 118 3.14 0.68
satisfies (d) 166 3.29 0.69
very satisfied (e) 17 3.60 1.11
Brightness of dyed color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3 2.58 0.58 4.857*** a<b, c, d<<e
not satisfied (b) 42 3.01 0.67
average (c) 105 3.10 0.68
satisfies (d) 158 3.29 0.68
very satisfied (e) 22 3.67 1.05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skin ton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22 3.15 0.68 6.443*** b, a<c<d
average (b) 139 3.06 0.68
satisfies (c) 147 3.29 0.70
very satisfied (d) 22 3.72 0.87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face shap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32 2.99 0.72 5.915*** a, b<c<d
average (b) 143 3.10 0.61
satisfies (c) 133 3.32 0.77
very satisfied (d) 22 3.64 0.85
The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hair styl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2 2.63 0.53 6.065*** -
not satisfied (b) 20 3.01 0.71
average (c) 131 3.05 0.65
satisfies (d) 151 3.30 0.71
very satisfied (e) 26 3.68 0.86
Preferred imag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38 2.97 0.70 8.315*** a, b, c<d
average (b) 115 3.11 0.65
satisfies (c) 144 3.24 0.70
very satisfied (d) 33 3.73 0.85
Image enhancement not satisfied (a) 12 2.85 0.42 3.174* a<b, c<d
average (b) 85 3.07 0.67
satisfies (c) 179 3.26 0.72
very satisfied (d) 54 3.36 0.80
Confidence in appearance through graying hair not satisfied (a) 18 2.68 0.67 12.379*** a<b<c<d
average (b) 89 3.07 0.59
satisfies (c) 174 3.21 0.69
very satisfied (d) 49 3.68 0.83
Table 4.
Differences in sociability by satisfaction with hair dyeing
Category N M SD F Scheffe
Dyeing color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2 3.00 1.41 5.307*** -
not satisfied (b) 27 2.99 0.74
average (c) 118 3.19 0.78
satisfies (d) 166 3.34 0.71
very satisfied (e) 17 3.99 0.99
Brightness of dyed color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3 2.08 0.38 5.960*** a<b, c, d, e
not satisfied (b) 42 3.21 0.69
average (c) 105 3.19 0.79
satisfies (d) 158 3.31 0.72
very satisfied (e) 22 3.89 0.98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skin ton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22 3.20 0.90 4.263** b, a, c<d
average (b) 139 3.20 0.72
satisfies (c) 147 3.31 0.78
very satisfied (d) 22 3.82 0.81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face shap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32 3.14 0.80 4.990** a, b<c<d
average (b) 143 3.18 0.70
satisfies (c) 133 3.36 0.81
very satisfied (d) 22 3.80 0.85
The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hair styl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2 2.50 1.06 5.097*** a<b, c, d<e
not satisfied (b) 20 3.20 0.90
average (c) 131 3.16 0.69
satisfies (d) 151 3.33 0.77
very satisfied (e) 26 3.84 0.89
Preferred imag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38 2.99 0.89 6.092*** a, b<c<d
average (b) 115 3.22 0.70
satisfies (c) 144 3.32 0.75
very satisfied (d) 33 3.73 0.86
Image enhancement not satisfied (a) 12 3.13 0.66 3.926** -
average (b) 85 3.09 0.71
satisfies (c) 179 3.33 0.76
very satisfied (d) 54 3.52 0.88
Confidence in appearance through graying hair not satisfied (a) 18 2.75 1.07 13.241*** a<b<c<d
average (b) 89 3.18 0.60
satisfies (c) 174 3.25 0.74
very satisfied (d) 49 3.84 0.82
Table 5.
Differences in stability by satisfaction with hair dyeing
Category N M SD F Scheffe
Dyeing color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2 3.25 1.06 5.813*** a<b, c, d<e
not satisfied (b) 27 3.40 0.81
average (c) 118 3.51 0.68
satisfies (d) 166 3.66 0.58
very satisfied (e) 17 4.24 0.63
Brightness of dyed color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3 2.75 1.15 8.707*** a<c<b, d, e
not satisfied (b) 42 3.57 0.74
average (c) 105 3.48 0.61
satisfies (d) 158 3.64 0.61
very satisfied (e) 22 4.27 0.59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skin ton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22 3.51 0.72 4.510** a, b<c<d
average (b) 139 3.52 0.67
satisfies (c) 147 3.65 0.63
very satisfied (d) 22 4.05 0.61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face shap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32 3.48 0.79 3.783* a, b<c<d
average (b) 143 3.55 0.63
satisfies (c) 133 3.65 0.64
very satisfied (d) 22 4.01 0.65
The combination of dye color and hair styl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t all (a) 2 2.38 0.88 8.422*** a<c, b, d, e
not satisfied (b) 20 3.66 0.63
average (c) 131 3.46 0.66
satisfies (d) 151 3.67 0.61
very satisfied (e) 26 4.13 0.65
Preferred image satisfaction not satisfied (a) 38 3.49 0.81 5.383*** a, b<c<d
average (b) 115 3.50 0.63
satisfies (c) 144 3.66 0.60
very satisfied (d) 33 3.98 0.69
Image enhancement not satisfied (a) 12 3.42 0.63 8.930*** b, a<c<d
average (b) 85 3.39 0.61
satisfies (c) 179 3.63 0.63
very satisfied (d) 54 3.95 0.73
Confidence in appearance through graying hair not satisfied (a) 18 3.25 0.80 17.434*** a, b, c<d
average (b) 89 3.39 0.61
satisfies (c) 174 3.62 0.59
very satisfied (d) 49 4.13 0.66
Table 6.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hair dye satisfac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ociality
Variables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F (p) R2
B S.E. β
Satisfaction with hair dyeing on psychological happiness constant 1.238 0.216 5.727*** 109.91*** .251
Satisfied with dyeing gray hair 0.626 0.060 0.501 10.488***
Dependent variable: Psychological well-being (Model 1)
Satisfaction with hair dyeing on sociality constant 1.861 0.239 7.802*** 32.933*** .091
Satisfied with dyeing gray hair 0.378 0.066 0.302 5.739***
Dependent variable: Activity (Model 2)
constant 1.977 0.260 7.619*** 26.185*** .074
Satisfied with dyeing gray hair 0.367 0.072 0.272 5.117***
Dependent variable: Sociability (Model 3)
constant 2.373 0.218 10.863*** 33.111*** .092
Satisfied with dyeing gray hair 0.347 0.060 0.303 5.754***
Dependent variable: Stability (Model 4)
Psychological happiness on sociality constant 1.888 0.182 10.396*** 55.491*** .145
Psychological well-being 0.381 0.051 0.380 7.449***
Dependent variable: Activity (Model 5)
constant 1.897 0.197 9.652*** 52.272*** .137
Psychological well-being 0.400 0.055 0.371 7.230***
Dependent variable: Sociability (Model 6)
constant 2.435 0.167 14.568*** 51.945*** .137
Psychological well-being 0.339 0.047 0.370 7.207***
Dependent variable: Stability (Model 7)

* p<.05,

** p<.01,

*** p<.001;

Controll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ferences

Ahn, C. E., Song, Y. S., & Lee, K. K. (2020).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ccording to Hair Dye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1), 140-148.
An, C. Y. (2019). Body Image Management Behavior, Self Respect, the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For adult mal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6), 620-631.
Bae, H. S., Son, J. A., & Kim, S. H. (2018). The Effects of Self-Efficiency and Gray Hair Stress on Satisfaction after Gray Hair Coloring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2), 372-377.
Bradburn, N..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Aldine, p.79-81.
Chae, K. S., & Jong, Y. J. (2016). The Influence of Life Incident Stress on Mid - life Crisi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social Maturity.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1(2), 201-227.
Hong, H. R. (2016). A Meta-Analysis of Music Activity Research for Improving Social Skill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7.
Hwang, J. W., Kwon, D. S., Kim, S. O., & Choi, Y. J.. (2002). Hair Color Design Seoul, Gomunsa, p.72.
Jeon, H. J., & Chung, M. S. (2008). The Influence of a Physical- Related Stres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iddleaged Wome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1), 115-129.
crossref
Jeon, H. J., & Chung, M. S. (2019).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n the Behavior of 20-30's Women for Appearanc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2), 590-601.
Jin, K. H. (2010).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Soci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according to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1.
Jin, Y. M., & Kim, S. N. (2007). Research of Hair Designers’ Social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3(1), 180-188.
Jong, Y. J. (2021). Study on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Crisison Psychosocial Maturity.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7(3), 93-110.
crossref
Kang, P. M., & Park, K. (2016). The Effects of Sociality and Selfesteem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1), 189-196.
Kang, P. M., & Park, K. (2017). The Effects of Sociality on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5), 1042-1050.
Kim, B. M., & Kim, J. H. (2001). A Study on Hair Dyeing. Gongju National University Science Research Institute, 32(1), 57-67.
Kim, C. W. (2015).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of Office Worke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6.
Kim, K. S. (2001). Effect of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on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Chungnam, 12.
Kim, S. H.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Effectiveness of Beauty Care Behavior and Stress Relief.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43.
Kim, S. N., & Lee, K. S. (2007). A Research of Appearanc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4), 29-41.
Lee, D. Y. (2015). Effects of Saxophone Playing on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Sociality, and Stress of Baby Boomers.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34-35.
Lee, H. K. (2021).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Hair Dye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19.
Lee, S. H. (2012). Effect of College Students' Sports Club Activities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Soci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Kyungki, 14.
Lee, S. W.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Clubs and Social Development.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7.
Levinson, L.. (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Random House LLC.
Neulinger, J.. (1981). To Leisure: An Instruction Boston, Allyn and Bacon, Inc, p.32-43.
Park, S. J. (2011).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Sports on Self-Esteem and Social Development. Master's thesis, Kyungki University, Kyungki, 43.
Shin, D. C., & Johnson, D. M. (1978).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5(4), 475-492.
crossref
Shin, H. J. (2001). A Qualitative Study on the Beautiful Appearance of Modern Women: Focusing on makeup, hairstyle, body image, plastic surgery, and clothing.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12.
Shin, J. S., Song, S. H., & Ryoo, K. M. (2019).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Selfconfidenc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3(12), 19-31.
crossref
Song, B. K. (2009). Effect of College Students' Club Sports Activitie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ociality.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Chungbuk, 11.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