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3); 2022 > Article
블로킹 포인트 위치에 따른 투 블록 커트의 형태변화

Abstract

This study is a female haircut work applying two blocks that are popular as male cut in the hair beauty industry. The point points of the block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Goldenback Medium Point, Back Point, and Back Medium Point. The point starting point was named as the top, and parallel line, A line, V line, right angle distribution, natural distribution, natural angle of treatment 0, and onelining cut were performed. The lower part of the head was named as the lower part, and the head angle was cut at 30 degrees and the gradation. The cut start started from the point of the nape point, but the lower part of the head was excluded from the measurement and the length change of the upper part of the head was measured and compared. The point point was the longest when the point point point A line was used. The length was the shortest when the Golden Back Medium V line was used.,It was observed that weight, volume, smoothness, and straightness increased and expansion and volume were decreased depending on where the point point is located.

I. 서 론

헤어스타일은 시대의 흐름과 함께 지속적인 변화를 거듭해 왔다. 헤어스타일은 바디 이미지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외모를 돋보이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Park, 2019). 헤어스타일은 개인의 만족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호감지수, 매력지수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Sun et al., 2011).
헤어커트는 헤어스타일을 완성하기 위한 기초이다. 헤어커트를 설계하기 위해 헤어디자이너는 고객에게 어울리고, 손질하기 편리한 디자인 형태를 제작해야한다. 즉 고객 얼굴형의 장단점과 두상의 장단점을 파악해서 보완하고, 모발특성에 맞는 헤어디자인을 계획하여 길이를 정하고, 양감 및 질감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Park & Kim, 2015). 헤어커트는 헤어디자이너가 커트형태를 어떻게 구상하고, 설계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커트가 완성된다(Jung & So, 2008). 이러한 헤어커트 디자인을 원활하고 편리하기 위해 블로킹, 섹션을 계획하고 두상영역분할의 포인트 위치에 따라, 변화를 주면서 커트를 제작할 수 있다. Kim & Lee(2017)은 두상영역분할 위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형태와 디자인이 다르게 표현된다고 하였다.
최근 남성들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는 커트, 일명 투 블록커트를 선호하고 있다(Park & Seo, 2009). 투 블록커트는 두상을 두 개로 나눈다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투 블록커트는 디자인 라인을 의도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기법을 말한다. 기존의 객관적, 합리적, 조화, 통일, 연결되는 틀을 모두 파괴한 것이다(Yun, 2005). 이러한 투 블록커트는 커트라인을 역동적인 형태로 디자인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Lim & Lee, 2017). 투 블록커트의 용어로는 섹션, 구역, 분할, 파트, 부분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즉 미들 존을 중심으로 언더 존을 짧게 자른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 블록커트는 두 파트를 나누어 시작하며, 옆머리와 뒷머리를 짧게 커트하고, 윗머리는 모발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커트할 수 있다(Sim & Lim, 2020). 현재 남성커트에서 투 블록 커트는 커트의 한 유형, 스타일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즉 두상영역방식이라고 볼 수 있고, 두상영역분할을 두 개로 분할하여 커트하는 방식, 서로 연결되지 않는 방식, 블로킹 방식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두상영역분할 연구에서 불일치시킨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im(2020)은 남성 투 블록커트에서 고객들은 언더 존으로 9mm를 선호하고, 선호하는 이유는 깔끔해 보이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남성의 투 블록커트의 또 다른 연구로 Sim & Lim(2020)은 고객들의 관심과 경험, 만족도에 관한 연구에서 92,3%가 만족하다고 발표하였다. Kim & Lee(2017)는 남성 헤어커트 섹션분할 연구에서 헤어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가 있었는데, 섹션을 사용함으로써 완성도가 높고, 섹션분할 위치에 따라 달라야 된다고 하였다.
두상영역분할에 관한 또 다른 연구로는 분할위치에 따라 무게감, 매끄러운 질감, 거친 질감이 다르고, 볼륨감과 실루엣이 변화한다고 규명하였다(Jang & Jung, 2020). Jang & Jung(2020)의 또 다른 연구로는 두상분할위치에 따라, 슬라이스 라인과 모발길이의 높낮이가 달라진다고 보고하였다. Kim(2016)는 블록의 범위, 섹션라인, 모발길이를 변화시키면 전혀 다른 헤어 커트를 창출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이 이미지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검증하였다. Ha & Youn(2019)는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두상분할을 적용하면 보다 빠르고, 쉽게 커트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헤어커트 디자인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두상영역분할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두상영역분할을 활용하여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를 수용하고, 창의적인 커트스타일을 제안한다.
따라서 현재 남성들이 즐겨하는 투 블록커트를 여성커트에 활용하였다. 커트의 가장 기본이고 초석인 원랭스 커트(Moon & Jung, 2018)와 그래쮸에이션 커트를 혼합하였다. 두상 포인트 기점을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백 포인트(Back Point),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를 기점으로 두상 위를 상단, 자연시술각도 0도, 슬라이스 라인은 평행라인, A라인, V라인으로 커트하였고, 두상 아래를 하단, 두상시술각도 30도로 커트하였으며, 이것은 모두 측정에 제외되었다. 두상영역 분할방식을 변화시켜가면서 여성 투 블록커트 형태변화를 제안하였고, 실측을 통해 구체화시켰으며, 창의적인 헤어커트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I. 내용 및 방법

1. 측정도구 및 방법

1) 측정도구

본 연구를 하기 위해 사용된 마네킹은 M(Korea)사의 14인치를 사용하였다. 모발길이 실측을 위해 측정도구로는 디지털 자(BL-DM; Bluetec, Korea)와 디지털 각도계(Starbox, Korea)를 사용하였다. 헤어커트한 후 작품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80cm에서 휴대폰 카메라(Galaxy S10)를 사용하여 앞모습, 옆모습, 뒷모습을 촬영하여 기록하였다. 커트를 하기 위한 도구로는 커트 가위, 커트 빗, 핀셋, 분무기를 사용하였고, 가위 테크닉은 모두 블런트 기법을 사용하였다. 헤어스타일 연출은 블로우 드라이기와 롤 브러시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연출하였다.

2) 두상영역분할

본 연구는 두상영역분할을 두 개로 나눈 여성 투 블록 헤어 커트이다. 후면 즉 상단의 블록은 예비실험을 거쳐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G.B.M.P.), 백 포인트(Back Point: B.P.),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B.N.M.P.)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투 블록의 상단 원랭스 커트를 남기고, 하단을 묶었을 때 가장 적합하였다. 앞면과 전면은 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 E.B.P.)를 선정한 이유로 옆머리의 모량을 많게 보이기 위해서였다.
두상영역분할을 세 개로 하였고, 슬라이스 라인을 세 가지인 평행라인, A라인, V라인으로 총9개의 작품을 완성시켰다. 먼저 커트의 기본분할인 4등분으로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C.P.)에서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 N.P.)까지 정중선을 연결하였고, 탑 포인트(Top Point: T.P.)에서 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 E.B.P.)까지 측중선을 연결하였다. 투 블록커트를 하기위해 블록을 기점으로 위 영역을 상단이라 명명하였고,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하단으로 명명하였다.
투 블록에서 첫 번째, 두상영역분할인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C.P.)에서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그리고 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 E.B.P.)로 분할하여 GBM-1존으로 명명하였다. 두 번째, 두상영역분할인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C.P.)에서 백 포인트(Back Point: B.P.), 그리고 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 E.B.P.)로 분할하여 B-1존으로 명명하였다. 세 번째, 두상영역분할인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C.P.)에서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B.P.), 그리고 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 E.B.P.)로 분할하여 BNM-1존으로 명명하였다. 블록의 기점을 두고 두상 위를 상단(GBM-1, B-1, BNM-1)으로 명명하였고, 나머지 부분을 두상하단(GBM-2 B-2, BNM-2)으로 명명하였다.
두상상단부분의 길이 20cm, 자연시술각도 0도, 평행라인, A라인, V라인을 커트하여 실측하였고, 두상하단부분의 길이 25cm, 두상시술각도 30도로 커트하였으며, 측정에서 제외시켰다. 두상영역분할에 관한 Table 1은 다음과 같다.

3) 측정방법

(1) 모발길이

본 연구에서 모발길이 측정은 두상상단부분에 해당되는 GBM-1존, B-1, BNM-1존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두상하단부분인 GBM-2존, B-2, BNM-2존은 25cm의 두상시술각도 30도로 동일하게 커트한 관계로 길이측정에서 제외시켰다.
두상상단부분에서 GBM-1존, B-1존, BNM-1존 모발 기준길이는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G.B.M.P.), 백 포인트(Back Point: B.P.),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B.N.M.P.)에서 20cm로 임의 설정하였다. 기준설정은 예비실험을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는 정원지, 윤천성(2008)가 제시한 롱 길이 25cm를 선정하였고, GBM-1존, B-1존, BNM-1존은 임의로 선정하였다.

(2) 슬라이스 라인 또는 디자인 라인

평행라인은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G.B.M.P.), 백 포인트(Back Point: B.P.),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B.N.M.P.)에서 각각 20cm 기준길이를 정해놓고, 위로 2cm 간격으로 일직선 또는 일자선으로 커트하였다.
A라인은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G.B.M.P.), 백 포인트(Back Point: B.P.),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B.N.M.P.)에서 20cm 기준길이 정해놓고, 3cm 위 지점에서 전경사 또는 전대각으로 커트하였다.
V라인은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G.B.M.P.), 백 포인트(Back Point: B.P.),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B.N.M.P.)에서 20cm 기준길이 정해놓고, 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 E.B.P.), 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 S.C.P.)에서 후경사 또는 후대각로 커트하였다. V라인의 특성상 얼굴 쪽에 가까운 곳부터 커트를 시작하였다.

(3) 시술각도

원랭스 커트는 헤어미용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면서, 커트 디자인의 형태 선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는 초석이므로 매우 중요하다(Moon & Jung, 2018). 그러므로 가장 기본인 원랭스커트를 선정하여 자연시술각도 0도를 적용하였고, 낮은 시술각도를 적용하다보니 그래쥬에이션 커트, 두상시술각도 30도를 예비실험을 통해 선정하였다.

2. 블로킹 포인트에 따른 투 블록커트의 형태변화

롱 헤어 투 블록커트에 관한 연구로 블로킹 포인트 기점을 다르게 변화해 가면서 두상영역분할을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었다. 두상상단영역을 자연시술각도 0도, 슬라이스 라인은 평행라인, A라인, V라인 원랭스 커트하였고, 두상하단영역을 두상시술각도 30도, 그래쥬에이션 커트하였다.
두상상단부부인 GBM-1존, B-1존, BNM-1존의 블로킹 포인트 기점인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G.B.M.P.), 백 포인트(Back Point: B.P.),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B.N.M.P.)를 기점으로 20cm, 자연시술각도 0도, 슬라이스 라인은 평행라인, A라인,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두상하단부분인 GBM-2존, B-2존, BNM-2존은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 N.P,)를 기점으로 25cm, 두상시술각도 30도, 그래쥬에이션 커트하였으며, 이것은 측정에서 제외시켰다.
블록에 따라 자연시술각도 0도와 두상시술각도 30도를 적용하였고, 커트 기법은 모두 블런트 기법을 사용하였다. 커트 한 후에는 롤 브러시와 드라이기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완성시켰다.
커트의 시작점은 블록을 정해놓은 기점에서 두상상단부분인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G.B.M.P.), 백 포인트(Back Point: B.P.),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B.N.M.P.)에서 20cm로 임의 설정하였고, 두상하단부분인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 N.P,)에서 롱 길이 25cm로 설정하였다. 두상의 포인트 기점인 센터 포인트(C.P.), 탑 포인트(T.P.), 골든 포인트(G.P.), 백 포인트(B.P.), 사이드 포인트(S.P.),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 이어 포인트(E.P.), 이어 백 포인트(E.B.P.)인 지점을 측정하여, 모발길이 변화를 제시하였다. 모든 작품은 헤어커트 전개 표를 제시하였으며, 완성된 작품은 앞모습, 옆모습, 뒷모습을 촬영하여 실증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GBM존에 따른 투 블록커트의 형태 변화

1) GBM존의 원랭스 커트와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전개 표

헤어커트 전개 표란 커트를 시술하기 전 단계과정에서 하는 작업으로 헤어디자인을 구상한다. 그리고 시술하는 방법을 설계하여 작성하는 과정으로 커트하는 시술과정을 미리 체크하고 수정, 보완할 수 있다(Jang & Jung, 2020).
블로킹 포인트 지점인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G.B.M.P.)를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었다. 두상 위를 상단영역 GBM-1존, 두상 아래를 하단영역 GBM-2존을 적용한 커트 전개 표는 Table 2와 같다.
GBM-1존의 커트형태는 원랭스 커트이고, 기준길이는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G.B.M.P.)에서 임의로 20cm를 적용하였다. 커트의 슬라이스 라인은 평행라인, A라인, V라인, 자연시술각도 0도로 커트하였다. GBM-2존의 커트형태는 그래쥬에이션 커트이며, 두상시술각도 30도,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 기점에서 25cm를 적용하여 커트하였으나 측정에서 제외시켰다.

2) GBM의 원랭스 커트와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시술결과

자연시술각도 0도, 평행라인, A라인, V라인과 두상시술각도 30도를 적용한 시술결과는 Table 3과 같다.
Table 3의 앞모습을 보면 평행라인일 때는 일직선의 반듯한 형태, A라인일 때는 A라인의 고유한 얼굴 쪽이 길어진 형태, V라인일 때는 V라인의 고유한 얼굴 쪽이 짧아진 형태로 관찰되었다. 커트의 질감은 매끄러운 질감, 가지런한 질감, 무거운 질감이 나타났다.
옆모습을 보면 블록 나눈 관계상 서로 연결되지 않은 투 블록커트 형태로 관찰되었다. A라인일 때 길이가 가장 길게 나타났고, V라인일 때 길이가 가장 짧게 나타났다. 모발길이가 짧아질수록 팽창감, 리듬감, 볼륨감, 생동감이 증가하였다.
뒷모습을 보면 투 블록 형태로 탑으로 갈수록 매끄러움, 가지런함이 증가하였다. 또한 투 블록 상단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팽창감, 리듬감, 볼륨감, 생동감이 증가하였다.
블로킹의 관계상 가장 짧은 관계로 경쾌한 느낌과 발랄한 느낌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Moon & Jung(2018)의 원랭스 커트 스타일이라고 하여도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헤어스타일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의견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2. B존에 따른 투 블록 커트의 형태변화

1) B존의 원랭스 커트와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전개 표

두상상단분할을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백 포인트(Back Point) -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 두상하단분할을 백 포인트(Back Point)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 커트한 작품 전개 표는 Table 4와 같다.
상단영역을 백 포인트(Back Point)에서 20cm 기준길이, 자연 시술각도 0도, 평행라인, A라인,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하단 영역은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25cm, 두상시술각도 30도로 커트하였다.

2) B존의 원랭스 커트와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시술결과

두상상단 슬라이스 라인은 평행라인, A라인, V라인, 자연시술각도 0도로 커트하였고, 두상하단은 두상시술각도 30도로 커트하였으며, 커트한 작품 시술결과는 Table 5와 같다.
시술결과를 나타낸 Table 5의 앞모습을 보면 평행라인일 때는 동일한 길이로 평행선 단발형태의 무거움, 가지런함, 매끄러운 질감이 관찰되었다. A라인은 얼굴 쪽이 길어져 샤프한 형태, 가름한 형태로 가장 길게 나타났고, V라인은 얼굴 쪽이 짧아져 귀여운 형태, 발랄한 형태로 가장 짧게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보면 얼굴 쪽은 보브 형태로 슬라이스 라인만 다르게 평형라인, A라인, V라인으로 관찰되었다. 뒤쪽은 긴 머리 그래쥬에이션 커트형태로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이 혼합하여 나타났다. 또한 서로 연결되지 않아 율동감, 생동감, 리듬감이 관찰되었다.
뒷모습을 보면 두상상단은 무거움, 매끄러움, 가지런함이 관찰되었고, 두상하단은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이 동시에 나타났다. 또한 서로 조화롭지 않아 생동감, 율동감, 리듬감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Jang & Jung(2020)는 두상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모발길이의 높낮이가 변화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하였다.

3. BNM존에 따른 투 블록 커트의 형태변화

1) BNM존의 원랭스 커트와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전개 표

상단을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 하단을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로 나누었다. 커트한 작품 전개 표는 Table 6과 같다.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에서 20cm, 자연시술각도 0도, 평행라인, A라인, V라인으로 커트하였고, 하단은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25cm, 두상시술각도 30도로 커트하였다.

2) BNM존의 원랭스 커트와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시술결과

두상영역분할을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 기점으로 상단의 슬라이스 라인을 평행라인, A라인, V라인 자연시술각도 0도로 하였고, 하단은 두상시술각도 30도, 시술결과는 Table 7과 같다.
앞모습을 보면 평행라인, A라인, V라인, 모두 원랭스가 갖는 각진 모양형태, 탑으로 갈수록 길어진 형태, 부피감, 무게감이 증가하였다. 또한 블로킹 관계상 길이가 길어 처진 형태로 나타났다.
Table 7에서 옆모습을 보면 두발표면이 매끄러움, 가지런한 질감 형태로 관찰되었다. 또한 밑에는 그래쥬에이션의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이 동시에 나타났다. V라인은 둥근 형태, 평행라인은 일직선 형태, A라인은 얼굴 쪽이 길어져 가름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뒷모습을 보면 두상상단은 평행라인, A라인, V라인일 때 원랭스 커트가 갖는 매끄러움, 무거움, 가지런함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두상하단은 그래쥬에이션 커트가 갖는 거친 질감과 매끄러운 질감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커트결과로 Kim(2015)는 같은 길이여도 두 가지 커트 혼합하는 위치만으로 헤어커트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이와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4. GBM존, B존, BNM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길이변화

두상영역분할을 GBM존, B존, BNM존으로 상단과 하단으로 분할하였고, 상단의 슬라이스 라인은 평행라인, A라인,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커트한 후 각 지점의 길이를 측정하여 값은 Table 8에 나타냈다.
GBM존 평행라인은 센터 포인트(C.P.)는 28.0cm, 탑 포인트(T.P.)는 32.0cm, 이어 포인트(E.P.)는 16.5cm, A라인은 센터 포인트(C.P.)는 30.0cm, 탑 포인트(T.P.)는 32.0cm, 이어 포인트(E.P.)는 19.5cm, V라인은 센터 포인트(C.P.)는 23.0cm, 탑 포인트(T.P.)는 29.0cm, 이어 포인트(E.P.)는 15.5cm이다.
B존 평행라인은 센터 포인트(C.P.)는 34.5cm, 탑 포인트(T.P.)는 37.0cm, 골든 포인트(G.P.)는 28.0cm, 이어 포인트(E.P.)는 21.5cm, A라인은 센터 포인트(C.P.)는 36.5cm, 탑 포인트(T.P.)는 37.0cm, 골든 포인트(G.P.)는 28.0cm, 이어 포인트(E.P.)는 24.0cm, V라인은 센터 포인트(C.P.)는 26.5cm, 탑 포인트(T.P.)는 34.5cm, 골든 포인트(G.P.)는 28.0cm, 이어 포인트(E.P.)는 18.5cm이다.
BNM존 평행라인은 센터 포인트(C.P.)는 34.5cm, 탑 포인트(T.P.)는 40.0cm, 골든 포인트(G.P.)는 32.0cm, 백 포인트(B.P.)는 24.0cm, 이어 포인트(E.P.)는 25.5cm, A라인은 센터 포인트(C.P.)는 36.5cm, 탑 포인트(T.P.)는 40.0cm, 골든 포인트(G.P.)는 32.0cm, 백 포인트(B.P.)는 24.0cm, 이어 포인트(E.P.)는 26.5cm, V라인은 센터 포인트(C.P.)는 28.5cm, 탑 포인트(T.P.)는 37.5cm, 골든 포인트(G.P.)는 32.0cm, 백 포인트(B.P.)는 24.0cm, 이어 포인트(E.P.)는 19.5cm이다.
GBM1존, B1존, BNM1의 분할을 비교하였을 때 비교분석은 다음과 같다.
탑 포인트(T.P.)에서 골든 포인트(G.P.)는 두상경사도에 따라 일정한 길이의 차이가 나타났고, 슬라이스 라인의 기울기는 정중앙을 포인트 지점으로 한 관계로 평행라인과 A라인에서는 차이가 없고, V라인에서는 확연히 차이가 관찰되었다.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 이어 포인트(E.P.), 이어 백 포인트(E.B.P.)는 두상경사도에 따라 길이차이가 조금 나타났고,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길이변화는 확연히 관찰되었다.
블로킹 포인트 지점을 위로 두면 볼륨감, 팽창감, 리듬감, 생동감이 증가하고, 단발머리와 긴 머리의 차이가 확연이 나타났다. 두상 포인트 지점을 아래로 두면 무게감, 부피감, 매끄러움, 가지런함, 무거움이 증가하고 모발의 길이차이가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슬라이스 라인의 포인트 지점을 두정부, 후두부 즉 뒷면 정중앙에서 시작하였을 때, 기울기는 조금 나타났다. 측두부 즉 측면의 기울기는 확실한 A라인, V라인으로 관찰되었다. 슬라이스 라인을 길게 진행하면 할수록 경사도의 기울기가 더 확실해 진다고 사료된다.
Jang & Jung(2020)는 두상을 분할하여 적용한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모발길이의 높낮이가 달라지고 변화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도 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IV. 결 론

본 연구는 두상영역분할을 두 개로 나누어, 서로 연결시키지 않는 투 블록 여성헤어커트이다. 두상영역분할인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B.M.P.), 백 포인트(B.P.),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N.M.P.)를 기점으로 위를 상단으로 명명하였고, 자연시술각도 0도의 평행라인, A라인,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그리고 아래를 하단으로 명명하였고, 두상시술각도 30도로 커트하였다. 커트 한 후 길이변화를 실측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투 블록 포인트 기점을 어디에 두냐에 따라 원랭스 커트가 갖는 무거움, 매끄러움, 가지런함의 량이 적게 또는 많게 관찰되었다. 또한 모발의 길이가 길수록 무게감 때문에 처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투 블록의 위치를 선정할 때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B.M.P.)는 발랄함, 생동감, 팽창감, 리듬감, 볼륨감, 경쾌함,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N.M.P.)는 길이가 길고 무거워 처지는 형상으로 부피감, 무게감이 증가하였다.
둘째, 헤어커트 디자인을 할 때 연결해야만 된다는 고정 사고방식을 버리고, 연결하지 않고도 멋스러운 헤어커트가 나올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연결부분을 파마, 질감, 양감을 사용함으로써 연결선이 매끄러울 수 있다고 짐작한다.
셋째,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형태와 길이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행라인은 길이가 같아 일직선, A라인은 페이스 라인으로 갈수록 길어져 샤프하고 세련된 형태로 얼굴길이가 짧은 고객에게 권장하며, V라인은 페이스 라인으로 갈수록 짧아져 귀여운 형태로 얼굴길이가 긴 고객에게 권장하는 바이다.
넷째, 슬라이스 라인을 선정할 때 후면에서 시작하느냐 측면에서 시작하느냐는 매우 중요하다. 기울기의 경사도에 따라 A라인은 부피감, 무게감의 증가하고 볼륨감, 리듬감, 팽창감, 율동감, 생동감이 증가한다.
다섯째, 골든 포인트(G..P.) -백 미디엄 포인트(B.N.P.)까지는 슬라이스 라인과 상관없이 일정한 간격이 나타났으나, 센터 포인트(C.P.) -골든 포인트(G..P.)는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길이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이드 코너 포인트(S.C.P.) -이어 백 포인트(E.B.P.)는 두상형태가 완만하여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길이차이가 나타났다. 실제 고객은 마네킹보다 두상이 크고, 넓고, 튀어나오고, 들어갈 수도 있다는 것을 밝히는 바이다.
여섯째,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B.M.P.), 백 포인트(B.P.), 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N.M.P.)를 기준으로 하단부분인 그래쥬에이션 커트를 묶거나 땋으면 원랭스 커트의 단발형태만 남는다. 긴 머리카락을 단발커트로 자르고 싶은데, 두려울 경우 작은 변화부터 시도하시길 권장한다. 또한 머리카락 손질하는데 있어 시간소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이것으로 두상영역분할 및 블로킹 위치에 따른 투 블록, 디스커넥션 커트 형태변화를 실증하였다. 혼합하는 커트 종류, 두상영역분할의 위치, 슬라이스 라인, 모발길이, 연결 형태 등에 따라 헤어커트는 다양하게 변화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가발과 고객 두상의 형태 및 크기, 모발의 모량 및 굵기, 모발의 성질 및 방향, 부피감, 팽창감, 볼륨감, 무게감, 페이스 라인의 형태 및 위치점 등이 다르므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가발은 실과 같은 느낌이고, 실제 사람모발은 탱탱함, 거칠고 푸석함, 윤택함, 탄력감 등이 모두 다르므로 드라이하는 하는 방식에 따라, 표현이 다를 수 있다. 셋째, 젖은 모발상태와 마른 모발상태에서 커트하는 것에 따라, 포인트 기점을 측정하는 사람에 따라, 손가락 기울기에 따라 길이가 다소 1-2cm, 달라질 수 있다. 넷째, 카메라를 촬영하는 날씨, 계절, 시간에 따라 음영이 달라진다.
이것으로 여성헤어커트, 두상영역분할, 투 블록커트에 관한 연구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투 블록커트, 투 블록컬러 염색, 발레아쥬 또는 호일워크기법염색, 투 블록믹싱파마를 함으로써 나만의 독특한 헤어스타일이 나올 수 있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현재 고객의 취향과 요구는 다양하지만, 헤어디자인에서는 획일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여자는 원랭스 긴머리, 남자는 투 블록 커트, 그래서 다양한 헤어커트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것으로 투 블록 여성 헤어커트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작품헤어커트에 관한 체계화, 수치화가 계속 이루어질 바라는 바이다. 향후 연구로는 보브 투 블록커트, 보브 볼륨커트, 비대칭 커트 등에 관한 디자인 커트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란다.

Table 1.
Head region division
JKSC-2022-28-3-509i1.jpg
Table 2.
The deployment table of one-length cut and grajuation cut according to GBM zone
Zone Shape Length Slice line Angle
GBM-1 One length G.B.M.P. : 20cm Parallel line, A line, V line Natural angle 0°
GBM-2 Grajuation N.P. : 25cm unapplied Head angle 30°
Table 3.
Treatment results of 1-length cut and grajuation cut by GBM zone
JKSC-2022-28-3-509i2.jpg
Table 4.
The deployment table of one-length cut and grajuation cut according to B zone
Zone Shape Length Slice line Angle
B-1 One length B.P. : 20cm Parallel line, A line, V line Natural angle 0°
B-2 Grajuation N.P. : 25cm unapplied Head angle 30°
Table 5.
Treatment results of 1-length cut and grajuation cut by B zone
JKSC-2022-28-3-509i3.jpg
Table 6.
The deployment table of one-length cut and grajuation cut according to BNM zone
Zone Shape Length Slice line Angle
BNM-1 One length B.N.M.P : 20cm Parallel line, A line, V line Natural angle 0°
BNM-2 Grajuation N.P. : 25cm unapplied Head angle 30°
Table 7.
Treatment results of 1-length cut and grajuation cut by BNM zone
JKSC-2022-28-3-509i4.jpg
Table 8.
Length variations of two blocks, three segments, and slice lines
Zone Slice line C. P. T. P. G. P. B. P. E. P. E.B.P. S.C.P. S. P.
GBM-1 Parallel line 28.0 32.0 24.0 - 165 15.0 16.5 23.0
A 30.0 32.0 24.0 - 19.5 16.5 20.0 26.0
V 23.0 29.0 20.0 - 15.5 13.5 13.5 19.5
B-1 Parallel line 34.5 37.0 28.0 20.0 21.5 20.5 21.0 28.0
A 36.5 37.0 28.0 20.0 24.0 22.5 24.5 31.5
V 26.5 34.5 28.0 20.0 18.5 18.5 17.5 23.5
BNM-1 Parallel line 34.5 40.0 32.0 24.0 25.5 24.5 25.0 31.0
A 36.5 40.0 32.0 24.0 26.5 25.5 27.5 34.0
V 28.5 37.5 32.0 24.0 19.5 20.0 19.0 26.0

References

Ha, S. K., & Youn, C. S. (2019). A study on the Hair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 71-83.
Jang, S. M., & Jung, W. J. (2020). Changes in Shape of to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and Slice Lin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2), 221-233.
crossref
Jang, S. M., & Jung, W. J. (2020). Changes in Haircut Shapes by Mixing One Length Haircut and Same Layer Hair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Slice Lines during Hair Cutting.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4), 559-570.
crossref
Jung, I. S., & So, Y. J. (2008). The Influence of Vidal Sassoon and Pivot Point Education on the Style Shape of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1), 68-69.
Jung, W. J., & Youn, C. S. (2008). Factors of Form Change by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3), 893-899.
Kim, H. M., & Lee, J. S. (2017). A Study on the Male Hair 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4), 811-823.
Kim, S. H. (2015). A Study on Form Changes of Hair Styles after Adjustment in Hair Cut Section Line and Combination Pos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6), 1173-1181.
Kim, S. H. (2016). A study on Hair style Changes by Changes in the Volume of Hair Cut Blocks, Hair Length and Section Line in Hair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6), 1341-1351.
Lim, H. S., & Lee, S. J. (2017). Deconstructivism Analysis in Men's Disconnection cut: Focused on Years 2001 to 2017 Collections by Toni and Gu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5), 1051-1062.
Moon, S. J., & Jung, W. J. (2018). Changes in Shape Line and Length in Accordance with Inclination of Slice Line in One-Length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4), 743-751.
Park, C. R., & Kim, S. H. (2015). Analysis of the Hair Cut on the Formal Form Appeared from 2001 to 2010 Beauty Bullet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4), 773-881.
Park, M. S. (2019). A Study of Utilization of Haircut Tools, along with Need and Understanding of Texturizing Technique. A Master's Degree at Hannam University.
Park, S. G., & Seo, Y. K. (2009). A Study on Hair Design avail of Sections Chang. Korean Human Body Art Journal, 10(2), 127-138.
Sim, E. H. (2020). Curren t2-Block Haircut Styles and Preferences in Men: Focusing on men in the 20-40s. A Master's Degree at Dongshin University.
Sim, E. H., & Lim, S. N. (2020). Current 2-Block Haircut Styles and Preferences in Men. Korea Industry Management Society, 18(4), 111-123.
crossref
Sun, S. O., Lee, J. M., & Park, E. J. (2011). The Effect of Their Perception of Hair Style on Motives of Purchasing, Information Resource and Selection Criteria Beauty Service. Journal of lnvesbigative Cosmetology, 7(2), 99-106.
Yun, M. H. (2005). A Study of Various aspects of Pos-Mdern Design. Korean Journal of Illustration, 11(1), 25-40.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