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2); 2022 > Article
미용 종사자의 조직지원인식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조직애착의 매개효과

Abstract

Since beauty service work has a high level of dependence on human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secure professional manpower and create working environments that the employees can be satisfied with to achieve the organization’s goals,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nd encourage the employees to work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hus,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beauty service workers’ work performance and attachment to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ir recognition on support from their organization, thereby providing baseline data for improvement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beauty service industry. Accoridng to a survey on the beauty service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do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ir recognition on support from organization on attachment to organization and work performance,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m, an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n support from organization and work performance was found. Considering them, the higher their recognition on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the more emotional attachment and immersion based on trust in the organization, which leads to a positive effect on work performance, so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for social supports that take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service work is expected to positively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Hopefully, the findings will be actively used and supplemented for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to create beauty service workers’ attachment to their organization, stable and long-term employ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미용 서비스 산업을 포함한 서비스 기업들은 새로운 경영환경에 발맞춰 변화하고 있다. 특히 미용 서비스업은 개인의 잠재력과 종사자들의 상호작용으로 조직활동이 이루어지는 인적 자원 의존도가 높은 산업이기 때문에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조직의 목표달성과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하여 종사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직무환경을 조성하여 직무에 임할 수 있도록 협조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Eisenberger et al.(1986)은 구성원들은 조직이 자신에게 관심 및 존중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행동한다고 하였고, Lee(2010)은 조직의 지원을 인지한 구성원은 지원에 대한 보상으로 애착심 및 일체감으로 조직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취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조직지원인식은 개인의 기여와 복리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총제적 믿음으로(Jo, 2010), 구성원의 헌신을 가치 있게 생각하고, 복리를 위해 노력한다면 구성원들은 조직에 대한 애착과 몰입에 긍정적인 효과로 이어지고 나아가 조직의 결속력 및 이직률 또한 완화 될 것이다.
이에 미용 산업의 차별화 된 경쟁력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종사자들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인 조직지원인식이 업무성과와 조직애착에 대해 알아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Park & You(2020)는 미용 종사자의 조직문화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조직문화가 높아질수록 업무성과가 높아진다고 하였고, Noh & Jin(2017)은 미용실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코칭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이 직무만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코칭은 근무환경, 업무만족, 업무성과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im & Oh(2017)은 리더의 카리스마와 개별적 배려가 미용종사자의 직무몰입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가 높을수록 직무몰입이 높게 나타나며, 직무몰입이 높을수록 업무성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미용 산업의 조직문화와 업무성과 및 직무만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타 분야에 비해 근무환경과 조건이 열악한 미용현장에서의 조직지원인식을 통한 업무성과와 조직애착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 산업에서의 조직지원인식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조직애착의 매개효과를 연구함으로써, 조직지원인식과 업무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조직에 대한 애착심을 강화하여 미용운영 조직의 목표달성 및 서비스 질 향상에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조직지원인식(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DS)

사회적 교환이론에 기초를 둔 조직지원인식의 정의로 Carley(1998)는 조직에서 제공하는 지원에 대해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정도 또는 총체적 믿음이라고 하였고, Gouldner(1960)은 조직이 제공하는 혜택에 구성원들의 인식에 따라 내적 가치가 달라지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의무감을 갖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Rhoades & Eisenberger(2002)은 구성원들의 업무, 역할수행, 지원, 평가, 관리하는 과정에서 조직에 갖게 되는 긍정적, 부정적 정서의 정도라고 하였다(Lee, 2019).
조직지원인식의 구성요인으로 McMillan(1997)은 정서적지원과 수단적지원등 2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고, Rhoades et al.(2001)은 조직의 보상, 절차의 공정성, 관리자의 지원등 3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으며, Lee(2010)은 직무만족, 성과인정, 능력 활용지원, 불편사항 지원등 4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Eisenberger et al.(1986)의 연구에서 조직지원인식은 결근율을 줄이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Seo(2002)의 연구에서 조직지원인식이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ark(2016)의 연구에서 조직지원인식은 직무몰입을 높이기 위한 조절역할로 조직지원인식이 필요하다고 하였다(Woo, 2020).
이처럼 조직의 효과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고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근면, 직무만족 및 수행능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이직의도를 감소 시키는 점에(Eisenberger et al., 1990) 조직인식지원은 조직의 성공적인 운영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인식을 우호적으로 향상시키고 도모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정서적지원은 구성원들의 존중 및 지지에 대한 무형의 지원으로 정의하고 수단적지원은 업무수행에 있어 도움을 주는 물질적, 비물질적 지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2. 업무성과

업무성과란 업무에 대한 특정의 기대, 목적, 목표의 달성정도의 조직행동으로(Jo, 2010) Pincus(1986)는 조직 구성원의 직무가 성공적인 달성여부를 결정하는 개념이라 하였고, Miller(1990)는 조직의 목표, 과업달성을 위한 노력의 결과이자 구성원들의 역할수행 행동에서 나타나는 다면적인 행동이라고 개념화 하였으며, Yu & Yoon(2004)은 성과에 대한 기능 및 업무를 개인, 집단, 기관의 목표의 결과라고 하였다.
이러한 업무성과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양적인 측면의 재무적 성과는 수익성, 생산성, 매출액 성장 등 계량분석이 가능한 점에서 신뢰성이 높은 반면, 질적인 측면인 비재무적 성과는 재무적 지표가 어려운 경우 제한적으로 사용 되고 있으며, 편견 및 왜곡이 되는 여지가 적다는 점에서 연구의 활용에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2019).
이처럼 업무성과는 조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목표달성에 직접적인 관련을 갖으며, 조직구성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역할 및 업무만족에 많은 기여를 한다(Jung, 2006).
한편, 업무성과는 조직 관리에 있어 유효한 지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개념적 모호성으로 인하여 생산성과 동일 시 하기도 하며 직무성과, 업무성과, 작업성과라는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Han,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업무만족은 종사자들이 업무를 통해 얻은 결과로 정의하고, 업무수행은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정도로 정의하고자 한다.

3. 조직애착

조직애착은 조직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조직적 몰입 및 의도를 의미하고(Abouraia & Othman, 2017), 구성원 각 개인이 직무에 몰두하고 만족하며, 조직에 대한 소속감과 목표달성 및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기여하고자 하는 심리적인 상태로 정의되고 있으며(Mowday et al., 1979),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구성하여 직무에 대한 목적과 방향을 제공한다(Ng & Alle, 2018).
Sheldon(1971)은 조직애착을 조직구성원 개인이 지닌 정체성을 조직과 연결지어 투영 또는 동기화시키는 조직 지향적 태도라 하였고, Buchanan(1974)은 조직애착에 대해 조직구성원이 조직의 가치관, 목표, 조직 그 자체에 대해 느끼는 열렬한 감정적 애착이라고 하였다. Allen & Meyer(1990)은 정서적 애착, 지속적 애착, 규범적 애착으로 정의하였고,
Staw & Salancik(1977) 태도적 애착, 행위적 애착으로 정의하였다.
Lee(2017)의 연구에서 직무애착과 조직애착은 구성원의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Kang & Lee(1994)의 연구에서 조직애착은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몰입을 높이며 경영성과를 높여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조직과의 일체감을 만드는 것은 직무에 대한 몰입과 만족을 높일 수 있으며,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낮추어 조직의 목표 및 성과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조직애착은 연구방향에 따라 조직행동론 관점에서 조직몰입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직무애착으로 연구되기도 한다(Lee & Kim, 2011).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문제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의 조직지원인식과 업무성과를 분석하고 조직애착에 대한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본다.
둘째. 조직지원인식, 업무성과, 조직애착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본다.
셋째. 조직지원인식, 업무성과, 조직애착의 관계를 알아본다.
넷째. 조직지원인식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조직애착의 매개효과를 알아본다.

2.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조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미용 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9년 01월 19일부터 03월 2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 500부를 배포하여 분석에 부적절한 설문지 16부를 제외한 48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 및 검정하기 위하여 SPSS 22.0이 사용되었고,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하였다.
둘째, 조직지원인식, 업무성과, 조직애착의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방법으로 주성분분석법이 사용되었고, 요인의 회전 방법으로는 베리믹스(Varimax)가 사용되었다.
셋째, 조직지원인식, 업무성과, 조직애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넷째, 조직지원인식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조직애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매개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본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 관한 문항은 성별, 학력, 월 수입, 근무 시간 등의 9문항으로 연구자가 구성하였고, 둘째,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12문항은 Kim(2018), Park(2017), Lee(2017)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응용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하였으며, 셋째, 업무성과에 대한 12문항은 Kim(2015), Eu(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응용하여 재구성하였고, 넷째, 조직애착에 대한 5문항은, Allen & Meyer(1990), Hwang(2013)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응용하여 재구성하는 등 총 34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IV. 결과 및 고찰

1. 조사 대상의 일반적 사항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 결과는 다음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성 82.4%, 남성 17.6%로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51.0%, 30대 32.2%, 40대 13.4%, 50대 이상 3.4% 순으로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미혼 68.0%, 기혼 30.8%, 기타 1.2% 순으로 미혼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전문대학 재학/졸업 35.1%, 대학교 재학/졸업 29.5%, 대학원 재학/졸업 15.1%, 고졸이하 14.3%, 기타 6.0% 순으로 전문대학 재학/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기간의 경우 1년에서 3년 미만 35.5%, 3년에서 5년 미만 26.0%, 1년 미만 14.5%, 9년 이상 10.7%, 5년에서 7년 미만 9.2%, 7년에서 9년 미만 4.1% 순으로 1년에서 3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직책은 디자이너(실무자, 강사, 관리사) 44.6%, 인턴(스탭, 보조0 25.8%, 실장(팀장) 19.4%, 점장 6.8%, 기타 0.5% 순으로 디자이너(실무자, 강사, 관리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급여형태는 급여 42.1%, 급여+인센티브 28.9%, 인센티브 24.9%, 기타 4.1% 순으로 급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직원 수는 5명에서 10명 미만 39.0%, 5명 미만 33.1%, 10명에서 15명 미만 16.5%, 20명 이상 7.5%, 15명에서 20명 미만 3.9% 순으로 5명에서 10명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업무분야를 알아본 결과로는 헤어 53.8%, 피부&체형관리(병원) 21.1%, 메이크업 15.2%, 네일(반영구& 속눈썹) 8.9%, 기타 1.0% 순으로 헤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조직지원인식, 업무성과, 조직애착의 타당성 및 신뢰도

1) 조직지원인식의 타당성 및 신뢰도

조직지원인식 문항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Table 2>와 같이 두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3979.881(df=66, Sig=.000), KMO값 0.926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510이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은 ‘정서적지원’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63~0.872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4.407, 분산설명비율은 38.3%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수단적지원’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04~0.824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768, 분산설명비율은 31.4%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두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69.7% 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결과,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는 0.878~0.935로 신뢰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업무성과의 타당성 및 신뢰도

업무성과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Table 3>와 같이 두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1811.726(df=28, Sig=.000), KMO값 0.877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612이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은 ‘업무만족’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47~0.832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901, 분산설명비율은 36.2%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업무수행’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66~0.806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577, 분산설명비율은 32.2%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두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68.4%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성과에 대한 신뢰도 검증 결과,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는 0.822~0.853로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직애착의 타당성 및 신뢰도

조직애착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Table 4>과 같이 하나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2059.937(df=10, Sig=.000), KMO값 0.884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783이상, 전체설명력은 79.8%로 나타났다.
조직애착에 대한 신뢰도 검증 결과,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는 0.936로 나타났다.

3. 조직지원인식, 업무성과, 조직애착의 관계

1)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조직지원인식의 하위요인인인 정서적지원, 수단적지원이 유의미하게(p<.001)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46.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들의 공헌을 인정 및 존중하고 지지하는 정서적지원과 업무수행에 있어서 도움을 주는 물질적·비물질적 지원인 수단적지원 변수가 높아질수록 조직애착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정서적지원 β=.518, 수단적지원 β=.441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19)의 연구에서 조직으로부터 충분한 지원과 인정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 구성원의 경우 더 믿음을 가지고 이를 따를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고 하여 본 연구를 뒷받침 하고 있으며, 조직지원인식을 통하여 미용종사자들은 미용운영조직과의 일체감 및 의무감을 느끼고 조직 지향적인 태도로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2) 조직지원인식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업무성과의 하위요인인 업무만족은 조직지원인식의 하위요인인인 정서적지원, 수단적지원이 유의미하게(p<.001)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지원, 수단적지원 변수가 높아질수록 업무만족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정서적지원 β=.349, 수단적지원 β=.285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성과의 하위요인인 업무수행은 조직지원인식의 하위요인인인 정서적지원, 수단적지원이 유의미하게(p<.01)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6.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지원, 수단적지원 변수가 높아질수록 업무수행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정서적지원 β=.221, 수단적지원 β=.124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m(2008)의 연구에서 조직이 구성원의 공헌을 인정, 배려하고 있다는 구성원의 신념이 조직에 이익을 주는 성과 지향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으며, 정서적 측면에서 미용운영조직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심리적 일체감과 조직에 남기 원하는 지속적 몰입 또한 높아져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업무수행과 나아가 이직율이 높은 미용 산업에서의 장기근속으로 이어질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3) 조직애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애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업무성과의 하위요인인 업무만족은 조직애착이 유의미하게(p<.001)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18.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애착 변수가 높아질수록 업무만족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β=.347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성과의 하위요인인 업무수행은 조직애착이 유의미하게(p<.001)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7.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애착 변수가 높아질수록 업무수행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β=.269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wday et al.(1982)의 연구에서 조직애착은 조직과 과업에 대한 애정과 애착을 강화 시켜준다고 하였고, Sheldon(1971)의 연구에서 조직애착은 조직과 개인을 연결시켜 고객 지향적 태도를 강화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으며, 이는 조직애착을 통하여 미용종사자의 감정노동에 대한 스트레스를 낮추고 고객 지향적인 업무몰입과 만족을 높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조직의 성과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조직지원인식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조직애착의 매개효과

조직지원인식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조직애착의 매개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 <Table 8>과 같다.
1단계 검증에서 정서적 지원, 수단적 지원 요인은 조직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 관계를 보였다.
2단계 검증에서 정서적지원, 수단적지원은 업무만족, 업무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 정(+)의 관계를 보였다.
3단계 검증에서 독립변인인 조직지원인식 요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매개변인인 조직애착이 업무성과의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 관계를 보였다.
4단계 검증에서 2단계에서 나타난 독립변인인 조직지원인식의 표준화된 회귀계수(β)값을 비교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직지원인식의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원이 업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2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4단계에서 조직애착을 투입했을 때, β=.349>β=.169 로 회귀계수 값이 줄어들었으므로 조직애착의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정서적지원이 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2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4단계에서 조직애착을 투입했을 때, β=.221>β=.112로 회귀계수 값이 줄어들었으므로 조직애착의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조직지원인식의 하위요인인 수단적지원이 업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2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4단계에서 조직애착을 투입했을 때, β=.285>β=.115 로 회귀계수 값이 줄어들었으므로 조직애착의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수단적지원이 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2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4단계에서 조직애착을 투입했을 때, β=.124>β=.007로 회귀계수 값이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조직애착의 완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Dang(2018)의 연구에서 조직지원인식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조직과의 상호적인 지지를 형성하여 조직에 대한 애착심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업무성과에 유효성을 증진시켜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의 조직지원인식과 업무성과에 관계에서 조직애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미용 산업의 조직문화를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서적지원과 수단적지원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지원은 종사자 각 개인에 대한 자긍심과 정서적인 애정을 갖도록 소속감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미용 운영관리자의 관심과 지원, 후원적인 근무환경 및 종사자들을 위한 배려와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 등 미용서비스업에 적용가능한 제도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여 정서적 몰입을 통한 애착심을 높이도록 한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서적지원과 수단적지원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종사자들의 원활한 업무성취가 이루어지고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미용운영조직 및 관리자는 종사자들의 성과에 관해 적절한 배려와 공정한 보상을 제시 할 수 있도록 상여금 및 인센티브요소를 통하여 형평성 있는 제도를 공정하게 적용하도록 한다.
셋째, 조직 애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업무만족과 업무수행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과 과업에 대한 애정과 애착은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자발적 참여 및 의지를 이끌어 내기 때문에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조직지원인식과 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조직애착의 매개역할를 알아본 결과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상호주의 규범을 비롯한 조직으로부터 인정 및 지원을 받는다는 인식은 사회적인 교환 과정을 통해 조직에 대한 책임감과 애착심을 가지게 되고, 미용운영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조직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정서적 애착심과 몰입을 가져오게 되고 이를 통하여 업무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미용운영조직은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종사자들에게 자발적인 상호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매월 성과에 대한 포상을 배분하고 체계적인 예약시스템을 통하여 종사자들의 식사 시간 및 개인시간을 제공하게 된다면 업무능률이 향상 될 것이다.
또한 감정노동이 심한 종사자들에게 직업관, 커뮤니케이션 기법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여 대인관계 대처능력을 키워주고 나아가 마인드 컨트롤 및 심신 안정 프로그램을 통하여 태도역량과 가치역량을 키울 수 있게 지원을 한다면 업무성과 및 애착심 또한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 산업의 조직문화 향상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조사지역이 서울, 경기지역으로 국한되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 연구 조사 지역을 확장하면 연구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미용 산업의 조직문화 구축 및 발전에 영향을 미치길 기대해 본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N=484,%)
Category Sum
frequency (N) percent (%)
Gender Man 85 17.6
Woman 399 82.4
Age 20s 247 51.0
30s 156 32.2
40s 65 13.4
Over 50s 16 3.4
Marital status Single 329 68.0
Married 149 30.8
Besides 6 1.2
Education High school Below graduation 69 14.3
College school student/above graduation 170 35.1
University school student/above graduation 143 29.5
Graduate school student/above graduation 73 15.1
Besides 29 6.0
Work period Less than 1 years 70 14.5
Less than 1~3 years 172 35.5
Less than 3~5 years 126 26.0
Less than 5~7 years 44 9.2
Less than 7~9 years 20 4.1
More than 9 years 52 10.7
For position Chief Manager 33 6.8
General Manager 94 19.4
Manager 14 2.9
Designer 216 44.6
Staff 125 25.8
Besides 2 .5
For salary Salary 204 42.1
Incentive 120 24.9
Salary+Incentive 140 28.9
Besides 20 4.1
Employed members Less than 5 people 160 33.1
Less than 5~10 years people 189 39.0
Less than 10~15 years people 80 16.5
Less than 15~20 years people 19 3.9
More than 20 people 36 7.5
For job Hair 260 53.8
Skin & Body Care (Hospital) 102 21.1
Nail (Eyelashes) 43 8.9
Make up 74 15.2
Besides 5 1.0
Total 484 100.0
Table 2.
Perspective of recognition on support from organization
Items about recognition on support from organization Factors1
Factors2
Commonality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My organization is a good listener. .872 .191 .798
My organization comforts me in my hour of need. .851 .155 .748
My organization knows and understands me well. .847 .263 .787
My organization treats me warmly. .846 .223 .765
My organization encourages me when I am despaired or frustrated. .823 .272 .751
My organization makes me feel comfortable mentally. .763 .355 .708
I am paid overtime for extra work. .160 .824 .704
My organization provides benefits such as monthly-paid holiday proportional to years of experience. .119 .821 .689
My organization provides regular benefits for cultural life. .162 .775 .627
My organization provides rewards for suggesting ideas. .284 .761 .660
My organization provides benefits and advantages that match the workload. .372 .700 .628
My organization provides tools and products needed for work. .381 .604 .510
Eigenvalue 4.607 3.768
Distriduted description (%) 38.391 31.402
Cumulative description (%) 38.391 69.794
Reliability (Cronbach's α) .935 .878
Table 3.
Perspective of work performance
Items about work performance Factors1
Factors2
Commonality
Work satisfaction Work performance
I achieve performance above the level required by the salon. .832 .139 .712
My colleagues recognize my work performance. .804 .282 .726
I consider myself as an employee obtaining high performance. .798 .287 .718
When doing my duties, I am correctly aware of the values that our salon has and share them. .747 .232 .612
I am a punctual and diligent employee with no unexcused absence. .051 .806 .653
I abide by the salon’s rules and regulations whether there is anyone who supervises me or not. .284 .796 .730
I complete given tasks in the allotted time. .339 .784 .715
I promptly solve problems at work. .413 .666 .614
Eigenvalue 2.901 2.577
Distriduted description (%) 36.268 32.214
Cumulative description (%) 36.268 68.482
Reliability (Cronbach's α) .853 .822
Table 4.
Perspective of attachment to organization
Items about attachment to organization Factors1
Commonality
Attachment to organization
I am glad that I joined this organization instead of having another job. .912 .831
I tell others about my organization with pride. .897 .804
I intend to work in my organization as long as possible. .887 .787
My organization is the best workplace for me. .886 .786
I think that my organization is a desirable workplace. .885 .783
Eigenvalue 3.990
Distriduted description (%) 79.803
Cumulative description (%) 79.803
Reliability (Cronbach's α) 0.936
Table 5.
Influence of recognition on support from organization on attachment to organiza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Coefficient (B) Standard error of coefficients (SE B) β t p
Attachment to organization (Constant) .000 .033 .000 1.000
Emotional support .518 .033 .518 15.484 *** .000
Instrumental support .441 .033 .441 13.195 *** .000
adj R²=.460 F=206.941 p=.000

*** p<.001

Table 6.
Influence of recognition on support from organization on work performanc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Coefficient (B) Standard error of coefficients (SE B) β t p
Work satisfaction (Constant) .000 .041 .000 1.000
Emotional support .349 .041 .349 8.585 *** .000
Instrumental support .285 .041 .285 7.010 *** .000
adj R²=.200 F=61.421 p=.000
Work performance (Constant) .000 .044 .000 1.000
Emotional support .221 .044 .221 5.003 *** .000
Instrumental support .124 .044 .124 2.808 ** .005
adj R²=.060 F=16.458 p=.000

** p<.01,

*** p<.001

Table 7.
Influence of attachment to organization on work performanc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Coefficient (B) Standard error of coefficients (SE B) β t p
Work satisfaction (Constant) .000 .041 .000 1.000
Attachment to organization .437 .041 .437 10.656 *** .000
adj R²=.189 F=113.541 p=.000
Work performance (Constant) .000 .044 .000 1.000
Attachment to organization .269 .044 .269 6.120 *** .000
adj R²=.070 F=37.458 p=.000

*** p<.001

Table 8.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to organization on 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n support from organization and work performance
Antecedent Variables Resulting variable β t F
Stage 1 Emotional support Attachment to organization .518 15.484 *** 0.460 206.941 ***
Instrumental support .441 13.195 ***
Stage 2 Emotional support Work satisfaction .349 8.585 *** 0.200 61.421 ***
Instrumental support .285 7.010 ***
Emotional support Work performance .221 5.003 *** 0.060 16.458 ***
Instrumental support .124 2.808 **
Stage 3 Attachment to organization Work satisfaction .437 10.656 *** 0.189 113.541 ***
Work performance .269 6.120 *** 0.070 37.458 ***
Stage 4 Emotional support Work satisfaction .169 3.561 *** 0.208 64.485 ***
.349 7.384 ***
Attachment to organization Work performance .112 2.184 * 0.077 21.261 ***
.211 4.126 ***
Instrumental support Work satisfaction .115 2.534 * 0.198 60.619 ***
.386 8.499 ***
Attachment to organization Work performance .007 .138 0.068 18.700 ***
.266 5.426 ***

* p<.05,

** p<.01,

*** p<.001

References

Abouraia, M. K., & Othman, S. M. (2017). Transformational leadershi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The direct effects among bank representative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and Business Management, 7(4), 404-423.
crossref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 exi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organizarion. Journal of Occupatoonal Psychology, 63(1), 1-8.
Buchanan, B. (1974).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4), 533-546.
crossref
Carley, W. W. (1998). 1997 executive director's report.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0(1), 9.
crossref
Choi, W. S. (2019). The Influence of Emotional Competence Perceived by Hotel Employees on Burn-Out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23(6), 1-31.
crossref
Dang, S. H. (2018).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86.
Eisenberger, R., Fasolo, P., & Davis-La Mastro, V. (1990).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diligence, commitment, and innov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51-59.
crossref
Eisenberger, R., Huntington, R., Hutchison, S., & Sowa, D.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3), 500-507.
crossref
Eisenberger, R., Stinglhamber, F., Vandenberghe, C., Sucharski, I. L., & Rhoades, L. (2002).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Contributions t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reten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3), 565-573.
crossref pmid
Eu, Y. S.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Food Service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Creativity and Organizatizational Commitment: Focus on the Moderated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e.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115-119.
Gouldner, A. W. (1960). The norm of reciprocity: A preliminary stat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5(2), 161-178.
crossref
Han, B. H. (2012).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of Leader of Food Service Enterprise on the Creative Behaviorand. Master’s thesis, Cho-dang University, 18-19.
Hwang, J. W. (2013).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Attachment on Correlation amo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86.
Jo, M. H. (2010).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for Civil Servants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With a focus on the policy for civil servants 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job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60-65.
Jung, M. G. (2006). Effect of changes in leisure sports due to the five-day workweek on work performance.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5-27.
Kang, I. H. (1994). The stress of hotel employees is their job commitment, organizational attachment, Effect on turnover tendency.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2(1), 5-24.
Kim, H. E. (2015). The effects of goal orientation and cre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in the beauty industry.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84.
Kim, H. E. (2018).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Beliefs of Hairdressers on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and Resilience.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1-78.
Lee, H. M. (2017).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ork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mong IT Sales Person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86.
Lee, J. C. (2010).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Affective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3(20), 893-908.
Lee, J. W. (2017).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Job Crafting, Attachment and Customer-Orientation: Focused on Franchise Employee.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Lee, S. H., & Moon, M. J. (2011).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 Focused on the Nurse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8), 300-310.
crossref
Lee, Y. J. (2019).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ype Factors of the Hotel Supervisor on the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54.
Lee, Y. J. (2019).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Knowledge Sharing, Job Satisfaction and Work Engagement. Doctoral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8.
Lim, J. S. (2008). A Study of Influences of Fairness Perception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Emphasis on the Comparison between 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Doctoral dissertation,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116.
McMillan, R. C. (1997). Custom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for service provider.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Miller, K. (1990). The experience of emotion in the workplace.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5(4), 571-600.
crossref
Mowday, R. T., Porter, L. W., & Steers, R. (1982). Organizational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San Diego, CA: Academic Press.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224-247.
crossref
Ng, T. W., & Allen, T. D. (2018).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healt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07:1-14.
crossref
Noh, Y. J. (2017).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aching of Beauty Sho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 Member on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Society of Cosmetology, 23(5), 1015-1024.
Park, B. C. (2017).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Competency: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ion and Work Engagement.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80.
Park, K. H., & You, S. E. (2020).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Hairdressers on Work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2), 437-444.
Park, S. (2016).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WLB) Support system and Performance-Based HRM system on Employee Engagement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94-101.
Park, S. D. (2021).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Doctoral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7-18.
(1986).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2(3), 395-334.
crossref
Rhoades, L., Eisenberger, R., & Arneli, S. (2001). Affective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al Support: The contribu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5), 825-836.
crossref pmid
Rhoades, L., & Eisenberger, R. (2002).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698-714.
crossref pmid
Seo, J. H. (2002).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Korea Business Review, 29(3), 451-472.
Sheldon, M. E. (1971). Investments and involvements as mechanisms producing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6(2), 143-150.
crossref
Staw, Barry M. (1977). Motivation in organizations: Toward synthesis and redirection. New Directions in Organizational Behavior. Oxford, England: St Clair.
Woo, T. G. (2020). The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and Work Engagement on Innovative Behavior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octoral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28-34.
Yu, H. K., & Yoon, J. H. (2004). The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Performance Distribution System, Group Cohesiveness and Performance in a Food Service Corporation.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7(1), 83-97.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