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Cosmetol > Volume 28(2); 2022 > Article
미용전공 유학생의 온라인-오프라인 수업 방법에 대한 경험 연구를 통한 효과적인 수업방안 모색

Abstract

The study was analyzed on experie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eauty that consists of academic and practical courses, in remote and in-person classes to make suggest directions on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going forward. There were six participants who are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hina and Vietnam. This research was conducted semi-structured survey and FGI. It was categorized class types into in-person and remote, and further categorized remote class into recording contents and being live. It was summarized the participants' class experience as following: First, in classes that recording contents, participants mentioned improvement in their Korean utilizing pause and play feature for video recordings, the spatial and temporal convenience, and relief from health concerns during the pandemic. However, they mentioned difficulty of not getting full experience from practical courses, struggle to ask for help to professors or classmates when needed, and technical difficulty from unstable internet connection or conflict with exam schedule. Second, in live remote classes, there was positive experience with being able to ask questions during class period, but participants expressed difficulty to present in class weekly. The data showed that participants felt low self-confidence and loneliness while presenting in class or engaging in group projects. Third, with in-person classes, the participants reflected their improvement in Korean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higher concentration in class, satisfaction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and socializing and being closer to Korean friends as positive experience. However, not having play and pause feature to review and also the anxiety on health and safety were mentioned as negative experience. Through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was suggested directions on class management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learn ability and adaptation.

I. 서 론

전 세계적으로 한류에 대한 관심이 K-POP, K-뮤지컬, Kmovie, K-beauty 등 여러 방면에서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열풍은 우리나라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정부와 대학의 유학생 유치 노력 등이 추가되어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KESS, 2022; Noh, 2021). 2020년 COVID-19의 팬데믹 현상으로 유입된 유학생 수는 줄어들었지만 서서히 마스크를 벗고 위드 코로나가 되면 다시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등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면서 유학생들의 K-beauty 요구도 증가하고 있는데(Xu & Lee, 2018) 유학생들은 생활과 학업에 대한 적응이 필요하므로 세심하게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전통적인 대면 수업은 학생들과의 접촉으로 수업 진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학생들과의 소통이 용이했지만 COVID-19 팬테믹으로 수업방식이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되면서 유학생들은 대면 수업에서 경험하지 못 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이 LMS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었지만 COVID-19 이전에 일반대학의 온라인 수업 비율은 전체 강좌 대비 1.7% 정도로 미비하였다(Hwang & Kim, 2020). 모든 강좌를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해서 감당할 수준의 온라인 플랫폼을 준비한 대학들은 많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부는 수업 결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기로 하였다(Han, 2021). 온라인 수업은 PPT를 활용해서 녹화한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수업과 ZOOM, Teams, Hangout 같은 실시간 동영상 수업 그리고 이 두 가지를 혼합한 수업의 유형들이 활용 되었다. 일부 실습과목은 방역수칙 준수와 학생들의 동의하에 대면 수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교수자들은 이론 과목과 실습 과목의 다양한 수업 방법에 대하여 고민하였다. 그러나 일부 대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의 질에 불만을 표출하였고 실습 과목의 경우 실습비 환불 등의 집단행동도 언론을 통해 보도되었다. 온라인 수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요구로 인해 대학생의 미술교과목을 실시간 동영상 수업만 진행한 경험 연구(Kwon, 2021), 실시간 비대면과 비실시간 동영상 수업의 혼합 수업에 대한 비교 연구(Shin, 2021),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음악 온라인 원격 수업에 대한 연구(Lim & Kwon, 2020) 그리고 초임 체육교사의 온라인 비대면 체육수업에 대한 연구(Im & Cho, 2021) 등이 진행되었다. 지금까지도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살려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온라인 수업의 불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Min, Kim, & Nam, 2021)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학습과 관련 없는 동영상 및 학습 자료, PPT만 올려주거나 PPT내용을 그대로 읽는 등의 성의 없는 수업 운영, 교수-학생 간의 의사소통 부족 등을 불만족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한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의 수업 경험을 다룬 선행연구(An, 2021; Park et al., 2021)를 살펴보면, 유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의 편의성과 학습량 및 학업 투자 시간의 증가를 긍정적인 경험으로 언급한 반면 학습동기와 집중력의 저하, 수업 공지 및 안내 미흡, 수업환경에 어려움을 부정적인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미용교육에서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습 교과와 이론 교과에 대한 경험을 녹화형 콘텐츠, 실시간 비대면 수업, 대면 수업 등 다양한 수업 방법 측면에서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미용학과 교과목은 이론 과목도 있지만 실습 과목의 비중도 적지 않기 때문에 미용학과 유학생의 온라인 수업 및 대면 수업에 대한 경험을 연구하는 것은 효과적인 수업 방법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필요하다.
COVID-19가 지속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교육부(Minister of Education, 2022)는 대학에서 대면으로 수업을 진행 할 경우의 철저한 방역수칙을 안내하고 있으며 교수자가 확진이 된 경우나 격리 대상자인 경우에 학습결손이 생기지 않도록 재택근무로 사이버 수업을 진행하거나 융통성 있는 수업운영을 지침으로 전달하였다. 게다가 교육부는(Minister of Education, 2022)는 대학의 온라인 학위과정 운영을 국내대학과 외국대학이 공동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석사학위과정의 경우 국내대학이 단독으로 또는 공동으로 운영하도록 훈령(제 397)을 변경하였다. 이것은 온라인 수업의 확대로 해석할 수 있다. 교육부(Minister of Education, 2021)가 코로나 사태가 종식된 이후에도 전면 대면 수업을 요구하기 보다는 원격교육을 통해 외국 유학생의 유치와 원격 수업 활성화를 위해 규정을 재정립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미용학과 유학생들의 온라인-오프라인 수업 방법의 경험 탐색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은 더욱 강화시키고 부정적인 경험은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법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상황에서 미용학과에 재학 중인 유학생의 온라인 수업 즉 녹화형 콘텐츠 수업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경험과, 대면 수업에 대한 경험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여 앞으로의 수업 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외국 유학생의 현황

최근 4년간 우리나라의 외국인 유학생 수는 Tab le 1에 제시하였다. 전체 유학생 수를 살펴보면 2018년 약 14만 명에서 2019년 약 16만 명까지 증가하다가 전 세계적으로 COVID-19가 확산 되면서 2020년과 2021년에는 약 15만 명으로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구대상 학교의 단대별 학생 수는 Table 2와 같다. 연구를 진행한 K대학의 코로나 전후 각각 2년간의 추세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유학생의 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미용학과가 소속되어 있는 자연과학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수업 유형

전통적인 수업의 방법은 교수자와 학생이 교실에서 얼굴을 마주 대하고 진행하는 대면수업의 유형이다. 그러나 전파력 강한 COVID-19의 팬데믹 현상으로 준비 없이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온라인 수업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온라인 수업의 정의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온라인 수업은 우리에게 익숙한 이러닝(e-learning)으로 쓰이지만 원격수업, 온라인 수업, 비대면 수업 등 다양한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원격수업(remote learning)은 방송, 통신에 의한 수업의 한 형태(교육부, 2020)로 정의하고 있으며 온라인 수업은 이러닝을 해석한 용어로서 원격교육의 일종으로 정보통신매체를 활용한 동시적, 비동시적 형태를 포함하는 유형(Park et al., 2021)을 의미한다. 혹은 인터넷을 매개체로 이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이루어지는 교육(Han, 2021)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온라인 수업은 ‘사이버 수업’ 혹은 ‘비실시간 동영상 수업’이라고 명명되는 수업들이 개발되어 활용되었지만 여기서는 수업유형을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하고자 한다. 첫째, 대면(오프라인)수업이다. 대면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교육적인 환경에서 교육내용으로 학습하는 수업형태를 의미한다. 둘째, 비대면(온라인)수업이다. 기존의 원격수업이 여기에 해당된다. 원격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직접 만나지 않고 매체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Baek et al., 2010).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수업을 녹화형 콘텐츠 수업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으로 나누어 연구하고자 한다. 전자는 교수자들이 PPT 자료 등을 이용하여 수업을 미리 녹화해서 영상 자료로 편집 후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교수자가 일방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녹화해서 LMS에 업로드 하므로 정보통신 매체를 활용한 일방적인 강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후자는 수업으로 배정된 시간에 교수자와 학습자가 동시에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공간은 다른 곳에 있지만 동시에 접속해서 수업을 진행하므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수업의 형태이다.

III.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K대학 미용학과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선정은 우선 외국인 학생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미용학과의 담당교수님께 연구의 목적 및 배경을 설명하였다. 미용학과 교수님이 유학생에게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였고 연구 대상자로 동의한 학생들을 선별하였다. 학과 소속 유학생은 2021년 기준으로 11명이었고 처음에는 7명의 학생이 참여를 표시하였으나 인터뷰 당일에는 한 명이 결석을 하여 연구대상은 6명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실시된 자녀의 온라인 ‘수업 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Seo & Jung, 2021)와 외국인 학부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의 연구(Park, 2021)에서는 5명을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초등교사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과 관련한 연구(Im & Cho, 2021)에서는 3명을 연구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대상의 국적, 학년, 한국체류기간 및 한국어 급수와 관련된 인구통계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미용학과 유학생들의 수업유형별 학년별 평균비율은 Tab le 4와 같다. 녹화형 콘텐츠 수업의 비율이 7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연구 절차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연구자가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취지 및 반구조화 된 설문지와 FGI에 대한 연구방법을 설명하였고 설문지에 대한 응답 및 FGI에 참여는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다고 안내하였다.

3. 연구 방법

연구 진행은 두 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진행하였고 설문지 응답 내용을 바탕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였다. FGI는 마스크를 쓰고 방역 수칙을 지키면서 대면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 작성 시간을 제외한 인터뷰 시간은 38분이었고 학생들의 동의하에 인터뷰 내용을 녹음하였다.

IV. 결과 및 고찰

1. 녹화형 콘텐츠 수업의 경험

1) 비실시간 동영상 수업의 긍정적인 경험

유학생들은 녹화형 콘텐츠 수업의 경우 멈춤 기능을 활용해서 한국어 실력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대답하였다. 즉 수업 중에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사전 찾기 기능을 활용해서 그 단어 이해할 수 있었고 한국어 관련 앱도 잘 배우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국어 타자도 빨라졌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이론 수업의의 경우 복습기능을 이용하여 모로는 부분을 다시 들을 수 있고 편안 시간과 장소에서 공부할 수 있다고 반응하였다. 또한 COVID-19로부터 안전하다고 언급하였다.

(1) 온라인 수업으로 한국어 관련 능력 향상

비대면 수업이 모르는 단어를 외국인으로써 사전에 찾아서 더 좋은 점입니다.(A)
비대면 수업을 많이 듣고 한국어를 잘 들 수 있다.(A)
“한동안 온라인으로 공부했더니 한국어 타자가 더 빨라졌어요”.(A)
한국 앱을 잘 배우고 잘 사용한다.(A)

(2) 콘텐츠 업로드 수업의 시간적 공간적 편리함

동영상 수업이 들면 복습할 때 다시 동영상을 볼 수 있다. 모르는 것은 다시 이해할 수 있다.(A)
“동영상 수업은 편안 시간에 공부할 수 있고 언제든지 어디든지 볼 수 있어요.”(C)
“집중도는 떨어지지만 언제든지 공부할 수 있어요. 비대면 수업은 시간이 편리해서 언제든지 공부할 수 있어요.”(D)
“동영상 수업은 반복적으로 학습을 볼 수 있어요. 배운 내용을 천천히 이해할 수 있어요.” (E)
언제나 시간이 있으면 수업이 들 수 있다.(F)
“동영상 수업은 더 좋았습니다. 왜냐하면 수업은 이해 못했을 때 다시 볼 수 있어요.”(F)

(3) 코로나 -19로 부터 건강 안전

코로나 때문에 동영상 수업만 들면 더 안전하다.(A)
“대면수업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있어요.”(E))

2) 콘텐츠 업로드 수업의 어려움

유학생들은 전공의 실습수업을 비실시간 동영상 수업으로 진행한 경우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즉 실습과목의 경우 비실시간 동영상의 수업 방법은 첫째, 실습 부분을 따라하지 못해서 힘들었고 둘째, 교수님에게 직접 물어보지 못하는 점 셋째, 친구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힘들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불안정한 인터넷 상황과 소음이 있었고, 다섯째, 전공과 교양 시험 시간에 겹치는 상황이 발생해서 시간 조정이 어려웠다고 반응하였다.

(1) 수업 이해와 진도의 어려움

“동영상 수업은 이론은 잘 이해했는데 실습은 따라 못해서 힘들었어요.”(B)
“학교가지않으면 숙제가 많아요. 많은 한국말을몰라요.”(D)
실시간 수업이 조금 힘들었다. “못 일어났어요. 질문이 있으면 못 물어 볼 수 있어요.”(F)

(2) 관계의 어려움

“교수님과 한국 친구에게 제때 도움을 청할 수 없어요.”(E)
만날 수 없으니 교수님과 서로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없다.(A)
얼굴을 맞대고 수업할 경우 모르는 것을 교수님께 직접으로 물어볼 수 있다. “친구들이 전반적인 생활에 도움을 주면 좋겠어요.”(A)
“저는 병원 가야하고 진단서, 날짜 있어도 결석이어서 힘들었어요.”(B)

(3) 불편한 환경 여건

“힘들었던 점은 가끔 인터넷이 잘 안되고 수업 못 들어서 결석이었어요.”(B)
“집에서 수업을 들으면 인터넷이 불안정하고 커피숍은 소음이 있었어요.”(B)
“인터넷이 불안정하였다. 마이크를 켜면 소음이 컸어요.”(C)

(4) 시간합의의 어려움

시험 시간이 잘 맞출 수 없다.(A)
“교양 수업과 시험이 중복되었는데 교수님 연락처를 몰라서 연락처가 필요해요.”(B)

2.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경험

1) 실시간 비대면 수업의 긍정적 경험

유학생들은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으로 교수자에게 궁금한 것을 바로 물어볼 수 있고 선생님과 학생이 서로 호흡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있었다.

(1) 소통과 호흡

실시간 수업은 궁금하면 바로 물어볼 수 있다.(C),
“실시간 수업은 좋았어요. 이해 못한 걸 교수님께 직접 여쭤 볼 수 있었어요.”(B)
“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선생님과 학생들이 서로 호흡할 수 있어요.”(D)

2) 실시간 비대면 수업의 부정적 경험

실시간 비대면 수업의 부정적인 경험으로는 한국말의 이해에 대한 어려움. 떨어지는 집중력, 조별 작업 할 때 방해가 될 것 같아서 외롭고 자신감이 떨어져서 힘들었다는 의견이 있었다.

(1) 부정적인 감정들

“실시간 수업에서 한국어 잘 못해서 자신감이 떨어지고 힘들었어요. 조별 활동에서는 방해될 것 같아 외로웠어요.”(C)
“과제 쓰는 것과 발표하는 것이 어려웠어요. 의료뷰티상품기획 켑스톤디자인의 경우 온라인 실시간 수업으로 매주 발표 수업이 있었어요. 학교에 가지 않으면 숙제가 많아요. 많은 한국말 몰라요.”(D)

(2) 제한된 집중력 시간

집중력이 떨어진다.(C)

(3) 병결 미인정에 대한 불만

실시간 비대면 수업 시간에 병원 예약이 있었어요. 교수님이 병원에 다녀오는 것을 인정해 주지 않아서 결석으로 되었어요.(F)

3. 대면 수업에 대한 경험

1) 대면 수업의 긍정적 경험

대면 수업의 긍정적인 경험으로는 교수님께 직접 물어볼 수 있다는 점, 집중력이 더 높아지는 점, 실기수업의 경우 기술을 직접 배울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한국 친구와 더 친해져서 한국어 실력이 향상 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1)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효과

얼굴을 맞대고 수업할 경우 모른 것을 교수님께 직접으로 물어 볼 수 있다(A).
대면 수업은 교수님이 직접 강의해 주셔서 잘 이해했습니다.(F)
“언제나 교수님한테 물어보도 돼요. 대면 수업은 나쁜 점이 많이 없어요.”(E)
“한국어 말하기 성장할 수 있어요.”(F)

(2) 집중력

“궁금한 것이 있으면 바로바로 물어볼 수 있어요. 집중력이 높아요.”(C)
“집중도가 더 높아 선생님과 함께 공부할 수 있어요.”(D)
“학교가면 집중도가 더 높아요.”(D)

(3) 기술의 직접적 시연

“학교 가서 기술을 배울 수 있어요.”(D)

(4) 한국 친구와의 관계

한국 친구랑 더 친할 수 있고 한국어 말하기도 성장 할 수 있다.(E)

2) 대면 수업의 부정적 경험

유학생들은 대면수업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재생기능이 없어 복습할 방법이 없다는 점, 코로나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다는 점을 언급되었다.

(1) 재생기능 없어서 이해하기 어려움

“수업하고 배운 지식은 복습할 방법 없어요. 많은 한국말을 몰라요. 교수님이 수업을 너무 빨리 하면 이해할 시간이 없다.”(E)

(2) 건강 염려

“학교 왔다가 코로나 확진자가 나와서 무서웠고 검사해야 되고 격리해야 되서 힘들었어요.”(B)
대면 수업은 코로나 때문에 조금 무섭다.(F)

4. 수업 방법의 방향

1) 수업 운영 방식

이론적 수업이 들면 동영상 수업이 더 좋다. 만약 실제로 하는 수업이 있다면 역시 학교에서 하는 것이 좋다.(A)
“다음 학기 이론 할 때 동영상을 하면 좋겠습니다. 실습할 때 대면 수업 하면 좋겠습니다.”(B)
“다음 학기에는 이론 수업은 비대면, 기술 수업은 대면 수업으로 했으면 좋겠습니다.”(C)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 결합하는 것이 더 좋다.(E)
“실기시간은 학교에서 대면 수업을 하고 이론은 동영상으로 비대면 수업을 하면 좋겠습니다.”(E)
실기는 좀 조금 대면 수업이 있으면 더 좋겠다. 이론은 상관이 없다. (F)

2) 친구의 도움

포트폴리오나 노트필기에 친구들이 도움을 주면 좋겠다.(F)
생활에 도움을 주면 좋겠다.(F)

V.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학과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녹화형 콘텐츠 수업, 실시간 비대면 수업, 대면 수업 방법에 대한 경험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즉, 적응이 필요한 환경에서 익숙하지 않은 수업 방법으로 이론 및 실습 과목을 수강하면서 느낀 경험을 통해 앞으로의 수업 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학생들은 녹화형 콘텐츠 수업, 실시간 비대면, 대면 수업 각각의 방법에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의 경험을 이야기 하였다. 우선 녹화형 콘텐츠 수업을 살펴보면, 한국어 타자 속도, 한국어 앱 사용, 한국어 사전 찾기 등의 한국어 사용과 관련 있는 영역에서 실력이 향상 된 것과 시간 및 공간의 제한 없이 수업을 수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다. 그러나 미용학과의 실습 과목을 녹화형 수업으로 진행하는 경우 수업진도를 따라가기가 어려웠고 궁금한 점도 바로 물어보기 힘들었으며 교수와 친구의 관계, 인터넷 망의 불안전, 그리고 시험 시간이 중복된 경우 해결 방법을 찾기 힘들었던 점이 부정적인 경험으로 언급되었다. 이것은 대면 수업에서는 교수자에게 질문하기 어색하거나 어려웠으나 온라인 수업에서는 이메일을 통해 쉽게 물어볼 수 있어서 좋았다는 연구 결과(Kim et al., 2021)와는 다른 응답이었다. 일부 내성적이고 소심한 학생들은 매체를 통해 질문을 하면서 자신이 덜 주목받는다고 느끼는 반면 유학생들 중 한국어 실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은 메일로 질문하는 것 자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얼굴을 보고 말로 직접 질문을 하는 것과 글로 모르는 것을 표현해서 의사전달을 하는 것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학생들은 시험 시간의 중복에 대한 해결이 어려웠다고 언급하였는데 교수님의 메일 주소나 유학생 담당 조교 선생님 등에게 사전에 이러한 일이 발생했을 경우에 대비한 게시판 활용 혹은 학교 메일 주소 안내 등의 사전 대책이 필요한 사항이라고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교수님의 개인 연락처는 개인 정보이기 때문에 알려주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소통의 통로를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즉, 수업안내 및 공지사항의 문제 그리고 출석 인정 등의 불이익이 발생한 경우 학교에서 이메일을 통한 직접적인 방법으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실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개별적인 학습 도움의 방안도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시간 비대면의 수업방법에 대해 유학생들은 녹화형 콘텐츠 수업 보다 직접 물어볼 수 있어서 소통과 호흡하는 측면이 긍정적인 경험이었다고 언급하였다. 반면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발표를 하거나 조별 작업을 할 때는 방해가 될까봐 자신감이 떨어지거나 외로움을 느끼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즉 유학생들은 발표나 조별 활동에서 부정적인 정서를 많이 언급하였는데 이것은 Shin(2021)과 다소 유사한 결과이다. Shin(2021)의 연구결과는 수업자료를 녹화 하는 수업 방법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함께 실시한 혼합형 수업이 학업성취도나 수업에 대한 만족도, 수업효과성, 수업 적절성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녹화형 컨텐츠 수업의 편리함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소통을 병행할 수 있는 장점들이 있기 때문이다.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조별 작업과 발표의 경우 앞으로는 VR 혹은 메타버스을 활용해서 수업의 효과를 높이면서 학생들의 긴장감을 낮추는 방법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미용 전공 여대생들은 VR의 인식이 높을수록 VR 적용 미용 교육에 대한 기대감이 높게 나타났다(Lee, 2021). 현재 미용 교과 수업에 4차 산업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VR과 메타버스 등을 활용한 수업 방법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면 수업에 대해 유학생들은 직접적인 의사소통, 집중력, 직접적인 실습을 긍정적인 경험으로 이야기 하였다. 이들은 교수님께 직접 물어보는 것과 한국 친구들에게 학습과 생활에서 도움을 받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대면 수업은 재생기능이 없어서 복습하기 힘든 점과 코로나로 부터의 불안감을 부정적인 경험으로 이야기 하였다. 이것은 수업의 운영 방법을 이론 과목이냐 실습 위주의 과목이냐에 따라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로 학습 성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수업을 대면 수업으로 수강한 2019학생과 온라인 수업 방식으로 수강한 2020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결과를 비교한 연구(Cho, 2020)에 의하면 대면 수업보다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성적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론 과목의 경우 복습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면 오히려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이론 수업을 녹화형 콘텐츠 수업으로 진행하면 모르는 단어가 나왔을 때 찾아보면서 공부할 수 있고 반복해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대학은 코로나 팬데믹의 상황을 겪으면서 원격수업에 대한 기반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플립드 러닝이나 블렌디드러닝의 수업 방법을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도 고려 해 볼 필요가 있다. 즉, 플립드 러닝 수업방법을 활용할 경우 이론 수업은 미리 녹화형 콘텐츠로 수업 하고 대면 수업에서는 실습이나 토론 위주의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블렌디드 러닝 역시 이론 수업은 녹화형 콘텐츠로 수업하고 실습은 대면 수업으로 융통성 있게 운영한다면 유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수업의 효과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 하는 경우에도 유학생 대상의 튜터 혹은 퍼실리테이터를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녹화형 콘텐츠 수업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의 경우 유학생들은 학습과 생활 측면에서 친구들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과제나 조별 활동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준다면 유학생들 학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유학생들의 다양한 수업 방법에 대한 경험을 연구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특정 대학의 미용학과 유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다양한 지역의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질적 접근의 연구로만 진행되었기 때문에 추후에는 양적 연구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교수자의 교수법 등의 특성에 따른 경험의 차이를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유학생들의 수업 지원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able 1.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year (Unit : N)
year 2018 2019 2020 2021
International of students 142,205 160,165 153,635 152,281
International of students in K Uni. 135 109 81 72

Source: https://kess.kedi.re.kr/index (2022). Statistics of Foreign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in 2021.

Table 2.
Colleg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year in K University (Unit : N)
year Humanities Social science Engineering Natural science Medical science Total
2018 72 40 9 14 135
2019 69 15 11 14 109
2020 58 6 11 5 81
2021 54 1 12 5 72

Source: https://kess.kedi.re.kr/index (2022). Statistics of Foreign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in 2021.

Table 3.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No Citizenship Name Grade (2021) Stay duration in Korea TOPIK Method of instruction
Recording Contents Live remote In person class
1 China A 4 4 year level 4 O X X
2 Vietnam B 3 4 year level 3 O O O
3 Vietnam C 1 1year 9month level 4 O O O
4 China D 4 3 year level 4 O O O
5 China E 3 4year 6month level 4 O X O
6 China F 4 3 year level 5 O O O
Table 4.
Proportion of class Types (Unit: %)
Recording Contents Live Remote In-Person
1st Year 90 0 10
3rd Year 70 8.3 21.7
4th Year 61.1 32.2 6.6
Total 73.7 13.5 12.8

References

An, H. K. (2021).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Online Classes in College Beauty Education Caused by COVID-19.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5), 1184-1195.
crossref
Baek, Y. K., et. al. (2010). Instructional Method and Teaching, Seoul: Hakjisa.
Cho, S. (2020). Comparison of Academic Achievement of Classroom Learning and On-line Learning : A Case Study.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4(6), 23-39.
Han, J. (2021). A Study on Instructors and Learners Perception of Synchronous Online Classes: A Case Study of C University. Culture and Convergence, 34(5), 1-20.
crossref
Hwang, S. W., & Kim, B. (2020). A Study on the Response of Learners to University Online Education after Corona 19. Culture and Convergence, 42(10), 155-172.
crossref
Im, S. K., & Cho, O. S. (2021). Case study on no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online non face to face class.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6(5), (2021). 12;73-90.
crossref
KESS (2021). https://kess.kedi.re.kr/index Statistics of Foreign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in 2021. 02/01/2022. withdrawal.
Kim, J., Koo, Y., Bai, C., & Park, J. (2021). Qualitative Analysi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Online Learning Experience in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2(3), 633-642.
Kwon, H. I. (2021). A Study on Online Art Practical In The NonFace-To-Face Era, Art and Education, 22(2), 139-158.
Lee, J. H. (2021).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VR on the Expectation of VR-using Beaut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6), 1506-1512.
Lim, E. J., & Kwon, S. (2020). A Study on the Status of Non-Face-To-Face Music Online Remote Classes, The Korean Journal of Arts Education, 18(3), 165-184.
Min, H., Kim, K., & Nam, M. (2021). A Study on the Best Practices for Online Class in COVID-19 Situa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12(6), 599-613.
Minister of Education. (2020.07.20.). Issues and disputation on remote higher education based educational technology, Congress discussion on remote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during non-contact age.
Minister of Education. (2021). Minister of Education Announcement No 2021-483.
Minister of Education. (2022. 01. 17). Advisory on Remote Class Management in College.
Minister of Education. (2022. 03. 04). Guidance on COVID-19 Prevention in College.
Noh, Y. H. (2021). Beauty Related Graduate Fields Activation Methods for International Student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5), 1267-1277.
Park, H. J. (2021). International Learners’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a focus on the environmemt of the major degree course, Studi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35(1), 187-202.
Park, Y. J., Kim, J. M., & Kim, K. S. (202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Quality Assurance Program for Enhancing Online Classes-Focused on the Case of University A,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8(1), 245-272.
Seo, H., & Jung, J. (2021).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Online ‘Class Caring’ of Children in Corona-19,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21, 12(6), 991-1002.
Shin, I. (2021). Performance and Perception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Blended E-Learning and Asynchronous Learning,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21, 12(6), 3067-3080.
Xu, H. Y., & Lee, J. A. (2018).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Beauty,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6), 1256-1267.
TOOLS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0 Scopus
  • 1,113 View
  • 14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10-2825-6735   Fex: +82-62-950-3797    E-mail: beauty2007@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